$\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대상자에게 동적 자세 안정성 훈련과 연성 발목 보조기가 다중 한발 뛰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Dynamic Postural Stability Training Versus Soft Ankle Bracing on Multiple Hop Performance in Participan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4 no.1, 2017년, pp.1 - 8  

차윤상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박규남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multiple hop test is an active performance test that has been commonly used to assess individual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insufficiency of dynamic postural stability and passive stability during dynamic activities can have an influe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이 있는 젊은 대상자들에게 보조기를 착용한 그룹과 발목 동적 자세 훈련을 한 그룹의 즉각적 효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두 그룹 모두 유의하고 비슷하게 다중 한발 뛰기 시간을 감소시켰다. 본 연구 결과는 능동적으로 발목의 안정성을 조절 할 수 있는 능력의 저하가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의 원인 중 중요한 요소라고 하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본 연구에서 증명한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동적 자세 안정성 훈련의 효과는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스포츠 선수들에게 발목 안쪽 번짐 손상 없이 다중 한발 뛰기와 같은 동적 퍼포먼스를 향상시키고자 할 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목 불안정성이 있는 사람에게 능동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발목의 동적 자세 안정성 훈련(dynamic postural stability training)과 수동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발목 보조기 적용 중 어떤 것이 다중 한발 뛰기 수행력 향상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능동적 검사인 다중 한발 뛰기 퍼포먼스에 수동적 안정성과 능동적 안정성 중 어떤 것이 발목의 안정성에 더 많이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는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CAIT점수가 24점 이하인 대상자들에게 발목의 불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적 자세 안정성 훈련과 정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보조기가 다중 한발뛰기에 걸리는 시간을 유의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에게 보조기를 착용한 집단과 동적 자세 안정성 훈련을 실시한 집단 모두 한발 뛰기 검사 시간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보였다(p<.
  • 하지만, 뒤꿈치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발 앞부분의 중립 자세를 유지시키는 발목의 동적 자세 안정성 훈련의 효과를 증명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목 불안정성이 있는 사람에게 능동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발목의 동적 자세 안정성 훈련(dynamic postural stability training)과 수동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발목 보조기 적용 중 어떤 것이 다중 한발 뛰기 수행력 향상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능동적 검사인 다중 한발 뛰기 퍼포먼스에 수동적 안정성과 능동적 안정성 중 어떤 것이 발목의 안정성에 더 많이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는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복되는 발목 가쪽 염좌가 유발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활동량이 많은 젊은 연령대에서 주로 나타난다 (Doherty 등, 2014). 반복되는 발목 가쪽 염좌는 신경근 기능 부전으로 인한 기능성 발목 불안정성(functional ankle instability)을 유발할 수 있다. 발목 불안정성이 있는 사람들은 발목 가쪽 번짐근, 발목 관절 고유 수용기, 얕은 종아리 신경의 손상이 동반되고 재발률이 높으므로, 예방을 위한 임상적 검사와 재활 훈련이 필요하다 (Hall 등, 2015; Hertel, 2000; Wikstrom 등, 2013).
발목에 적용하는 반강성 보조기는 테이프와 비교하여 안쪽 번짐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가? 발목 테이핑 또는 보조기 같은 수동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도구의 사용은 가쪽 발목 염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발목에 적용하는 반강성 보조기는 테이프보다 운동할 때나 운동한 이후에 발목 안 쪽 번짐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한시킨다(Greene와 Hillman, 1990). 선행 연구에 따르면 반강성 발목 보조 기와 뻣뻣한 천으로 구성된 보조기가 발목의 기계적인 안정성 및 고유수용성과 감각 피드백을 향상시켜서 발목 염좌 부상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제안했다 (Gross와 Liu, 2003; Mattacola와 Dwyer, 2002).
와블 보드를 이용한 컴퓨터 게임으로 발목의 중심을 유지하는 피드백 훈련을 한 결과 스타 익스커션 밸런스 점수가 향상되었음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와블 보드를 이용한 컴퓨터 게임으로 발목의 중심을 유지하는 피드백 훈련을 한 결과 스타 익스커션 밸런스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증명하였다. 이는 동적 자세 조절 능력의 향상이 발목 불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Fitzgerald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iStefano LJ, Padua DA, Brown CN, et al. Lower extremity kinematics and ground reaction forces after prophylactic lace-up ankle bracing. J Athl Train. 2008;43(3):234-241. 

  2. Docherty CL, Arnold BL, Gansneder BM, et al. Functional-Performance deficits in volunteer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J Athl Train. 2005;40(1):30-34. 

  3. Docherty CL, Moore JH, Arnold BL. Effects of strength training on strength development and joint position sense in functionally unstable ankles. J Athl Train. 1998;33(4):310-314. 

  4. Doherty C, Delahunt E, Caulfield B, et al.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ankle sprain inju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epidemiological studies. Sports Med. 2014;44(1):123-140. 

  5. Donovan L, Hart JM, Saliba SA et al. Rehabilitation for Chronic Ankle Instability With or Without Destabilization Devic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thl Train. 2016;51(3):233-251. 

  6. Eechaute C, Vaes P, Duquet W. Functional performance deficits in patients with CAI: Validity of the multiple hop test. Clin J Sport Med. 2008;18(2):124-129. 

  7. Fitzgerald D, Trakarnratanakul N, Smyth B, et al. Effects of a wobble board-based therapeutic exergaming system for balance training on dynamic postural stability and intrinsic motivation level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0;40(1):11-19. https://doi.org/10.2519/jospt.2010.3121 

  8. Gauffin H, Tropp H, Odenrick P. Effect of ankle disk training on postural contril in patients with functional instabilities of the ankle joint. Int J Sports Med. 1988;9(2):141-144. 

  9. Greene TA, Hillman SK. Comparison of support provided by a semirigid orthosis and adhesive ankle taping before, during, and after exercise. Am J Sports Med. 1990;18(5):498-506. 

  10. Gross MT, Liu HY. The role of ankle bracing for prevention of ankle sprain injurie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3;33(10):572-577. 

  11. Hall EA, Docherty CL, Simon J, et al. Strength-training protocols to improve deficits in participa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thl Train. 2015;50(1):36-44. 

  12. Hertel J. Functional instability following lateral ankle sprain. Sports Med. 2000;29(5):361-371. 

  13. Hiller CE, Refshauge KM, Bundy AC, et al. The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A repor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ing. Arch Phys Med Rehabil. 2006;87(9):1235-1241. 

  14. Kosik KB, McCann RS, Terada M, et al.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improving self-reported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A systematic review. Br J Sports Med. 2017;51(2):105-112. https://doi.org/10.1136/bjsports-2016-096534 

  15. Mattacola CG, Dwyer MK. Rehabilitation of the Ankle After Acute Sprain or Chronic Instability. J Athl Train. 2002;37(4):413-429. 

  16. Moore S, Woollacott MH. The use of biofeedback devices to improve postural stability. Phys Ther Practice. 1993;2(2):1-19. 

  17. Nyska M, Shabat S, Simkin A, et al. Dynamic force distribution during level walking under the feet of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Br J Sports Med. 2003;37(6):495-497. 

  18. Riemann BL, Lephart SM. The sensorimotor system, part I: The physiologic basis of functional joint stability. J Athl Train. 2002;37(1):71-79. 

  19. Richie DH Jr. Functional instability of the ankle and the role of neuromuscular control: A comprehensive review. J Foot Ankle Surg. 2001;40(4):240-251. 

  20. Ross SE, Guskiewicz KM. Examination of static and dynamic postural stability in individuals with functionally stable and unstable ankles. Clin J Sport Med. 2004;14(6):332-338. 

  21. Sekir U, Yildiz Y, Hazneci B, et al. Reliability of a functional test battery evaluating functionality, proprioception, and strength in recreational athlete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Eur J Phys Rehabil Med. 2008;44(4):407-415. 

  22. Wikstrom EA, Hubbard-Turner T, McKeon PO. Understanding and treating lateral ankle sprains and their consequences: A constraints-based approach. Sports Med. 2013;43(6):385-393. https://doi.org/10.1007/s40279-013-0043-z 

  23. Wright CJ, Linens SW, Cain M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rehabilitation efficacy in chronic ankle instability. J Sport Rehabil. 2016;24: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원문 보기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