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불 후 입지에 따른 소나무 분포와 환경 요인 - 강원도 고성군을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Factors and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after Fire in Goseong, Gangwon Province, Korea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7 no.2, 2014년, pp.49 - 60  

신문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수토보전과) ,  임주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수토보전과) ,  공우석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orest fire on natural distribution and regeneration of Pinus densiflora Sieb. & Zucc. in Goseong, Gangwon province, Korea. After 13 years of the last forest fire in 2000, five investigation plots ($10m{\times}10m$) in each of rocky l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지역인 강원도 고성군에서 산불이 소나무의 갱신 및 분포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마지막 산불 발생으로부터 13년 후 입지별로 소나무를 중심으로 한 임분 환경 및 토양 조사를 실시하여 산불 후소나무 분포와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표적 생태계 교란 요인인 산불이 소나무의 자연 분포 및 갱신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소나무의 주요 입지인 암석지와 능선부를 중심으로 산불 발생 13년 후의 임분 및 토양 환경을 조사 및 비교 분석함으로써 산불 후 입지별 소나무의 천이진행 상황을 분석하고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소나무는 토양 수분 함량이 낮고 척박한 암석지에서 참나무류와의 경쟁을 피해 자연 분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산림에서 산불이 대형화 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이유는? 우리나라 산림은 1973년 이래 성공적으로 진행된 치산 녹화 사업으로 가연 물질의 양이 많아져 산불이 대형화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주로 산불에 취약한 소나무림이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Forest service, 2006). 산불과 소나무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들이 다수 진행된 것에 비해 산불이 소나무의 갱신과 분포에 미치는 영향 및 환경 요인과의 관계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는 부족하다.
강원도 고성군 산불 피해 지역의 암석지에 소나무가 다수 분포한 이유는? 산불 발생 13년이 지난 시점에서 강원도 고성군 산불 피해 지역의 암석지에는 능선부 및 사면부와 다르게 소나무가 다수 분포하였다. 이러한 분포 특징은 암석지의 입지 특성 상 토양이 건조하고 배수가 좋으며 얕은 토심과 낮은 토양양분 함량으로 인해 식물 생육이 불리하기 때문에 소나무의 주요 경쟁 수종인 참나무류의 분포가 제한된 점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암석지의 비교적 낮은 수목 개체 밀도와 생장은 소나무와 참나무류 사이에 직접적인 경쟁이 나타나기 힘든 환경을 조성하여 수목 개체의 생존 능력이 암석지 식생 발달에 중요한 요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소나무가 속한 소나무속은 언제부터 우리나라에 분포하였는가? )는 백두산에서 제주도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침엽수로 주로 난대 및 온대 지역에 분포하고 있어 난대․온대성 수종으로 분류된다(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9; 2012). 소나무가 속한 소나무속(Pinus)은 현재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송백류(松栢類, pines) 가운데 가장 먼저 한반도에 정착하였으며 중생대 백악기(약 1억 4천 5백만∼6천 5백만 년 전)에 황해도와 전북 등지에 걸쳐 분포하였다(Kong, 2004). 소나무는 주로 산불이나 산사태, 홍수, 인간간섭 등과 같은 교란 활동으로 인해 퇴행 천이가 나타나는 곳에서 선구 식물(Pioneer plant)으로 나타나며, 암석지나 일부 능선부의 척박한 지역도 대표적 입지로 알려져 있다(Kim,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 H. J.?J. H. Cho?H. S. Seo?M. S. Choi and J. S. Oh. 1998. Early regeneration of vegetation in the burned forest areas in Kosung county, Korea. FRI. J. For. Sci. 59: 133-142. 

  2. Choung, Y.?B. C. Lee?J. H. Cho?K. S. Lee? I. S. Jang?S. H. Kim?S. K. Hong?H. C. Jung and H. L. Choung. 2004. Forest responses to the large-scale east coast fires in Korea. 

  3. Forest service. 2006. 2005 White book for big forest fire during the spring (Korean only) pp. 514. 

  4. Forest service. 2012. 2012 Forest fire statistical yearbook (Korean only) pp. 214. 

  5. Fujiki, T. and Y. Yasuda. 2004. Vegetation history during the Holocene from Lake Hyangho, northeastern Korea. Quaternary International 123-125(2004): 63-69. 

  6. Hungerford, R. D.?M. G. Harrington?W. H. Frandsen?K. C. Ryan and G. J. Niehoff. 1991. Influence of fire on factors that affect site productivity. Proceedings- management and productivity of western-montane forest soils. USDA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INT-280. pp. 32-50. 

  7. Joint investigation group for forest fire in the east coastal region of Korea. 2000. Scrutiny report for the area damaged by forest fire in the east coastal region of Korea I & II (Korean only) pp. 533. 

  8. Kim, J. W. 2005. What is the problem of Pinus densiflora with the eastern coast forest fir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Korea(Korean only). Korean journal of ecology 28(2): 113-120. 

  9. Kim, D. H.?Y. H. Kang and K. I. Kim. 2011. Analysis of forest fires during Chosun dynasty through historical literature survey. J.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24(4): 8-21. 

  10. Koh, J. S. and S. H. Yun. 2005. Petrology on the late Miocene basalts in Goseong-gun, Gangwon province.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1): 78-92. 

  11. Kong, W. S. 2004.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native Korea conifers.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9(4): 528-543. 

  12.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6. Report on ecological investigation of fire damaged area in Gosung. Seoul: KFRI. pp. 169. 

  13.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9. Restoration of fire damaged area. Seoul: KFRI pp. 179. 

  14.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Economic tree species (1) Pinus densiflora. KFRI research book No. 59. pp. 250. 

  15. Lee, C. and S. Hong. 1998. Changes of landscape pattern and vegetation structure in rural area disturbed by fire. Korean J. Ecol., 21(4):389-399. 

  16. Lee, C. and A. Lee. 2003. Ecological importance of water budget and synergistic effects of water stress of plants due to air pollution and soil acidfic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26(3): 143-150. 

  17. Lee, K. S.?Y. Choung?S. C. Kim?S. S. Shin?C. H. Ro and S. D. Park. 2004. Development of vegetation structure after forest fire in the east coastal region,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27(2): 99-106. 

  18. Lee, D. G. 2012. Ecological management of forest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471. 

  19. Lee, W. K.?C. Kim?S. H. Cha?Y. K. Kim? J. K. Byun?K. S. Koo and J. W. Park. 1997. Fire effects on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following the forest fire in Kosung. Korean journal of ecology 20(3): 157-162. 

  20. Lim, J. 2002. Fire situation in republic of Korea. Global Fire Monitoring Center IFFN 26: 61-65.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02. Studies on the ecosystem restoration and the polices in the east coast fire regions. Research report to ministry of environment. pp. 224. 

  22. Park, N. C.?K. S. Lee and S. Y. Jung. 2009. Estimation of site productivity of Pinus densiflora by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2(3): 160-166. 

  23. Rab, M. A. 1996. Soil physical and hydrological properties following logging and slash burning in the Eucalyptus regnans forest of Southeastern Australia. For. Ecol. Manage. 84: 159-176. 

  24. Son, Y. M. and Y. G. Chung. 1994. The effects of the topographical, soil and meterological factors on the tree height growth in the Pinus thunberggi stands. Jour. Korean For. Soc. 83(3): 380-390. 

  25. Wikum, Douglas A. and G. Frederick Shanholtzer. 1998. Application of the Braun-Blanquet cover-abundance scale for vegetation analysis in land development studies. Environmental Management 2(4): 323-329. 

  26. http://www.kma.go.kr/weather/climate/average_regional01.jsp#a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