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미네랄골분이 첨가된 알지네이트 스펀지에서 조직공학적 연골 재건
Tissue Engineered Catilage Reconstruction with Alginate Sponge Containing Demineralized Bone Particle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8 no.3, 2014년, pp.278 - 285  

김혜민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박진영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김은영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송정은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  권순용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여의도성모병원 정형외과) ,  정진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여의도성모병원 정형외과) ,  강길선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알지네이트와 탈미네랄골분(DBP) 하이브리드 스펀지는 각각 DBP가 0, 10, 20, 40 및 80% 첨가된 스펀지로, 연골 재건을 위해 제작되었다. 세포의 증식은 MTT를 통해 관찰했으며, 형태학적, 조직학적, 생물학적 관찰 그리고 RT-PCR을 1, 2, 및 3 주에 실시하였다. 세포생존율에 있어서 20% DBP/알지네이트 스펀지에서 다른 스펀지보다도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광학전자현미경 관찰에서 또한 20% 스펀지에서 가장 좋은 세포부착률과 증식률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학적 평가에서 20% 스펀지에서 연골세포의 표현형이 가장 잘 유지됨과 동시에 산성뮤코 다당류와 제2형 콜라겐이 잘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DBP/알지네이트 하이브리드 스펀지는 연골 조직공학을 위한 지지체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mineralized bone particles (DBP) and alginate hybrid sponges were fabricated at 10, 20, 40 and 80% DBP/alginate hybrid ratios for seeding chondrocyte.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via MTT assay. Morphological observation, histology, biological assay and RT-PCR were performed at each time point ...

주제어

참고문헌 (33)

  1. S. Yang, K. F. Leong, Z. Du, and C. K. Chua, Tissue Eng., 7, 679 (2001). 

  2. D. W. Hutmacher, Biomaterials, 21, 2529 (2000). 

  3. K. Y. Lee and D. J. Mooney, Am. Chem. Soc., 101, 1069 (2001). 

  4. Z. Lin, C. Willers, J. Xu, and M. H Zheng, Tissue Eng., 12, 1971 (2006). 

  5. N. Isogai, H. Kusuhara, V. Ikada, H. Ohtani, R. Jacquet, J. Hillyer, E. Lowder, and W. J. Landis, Tissue Eng., 12, 691 (2006). 

  6. S. Vijayan, W. Bartlett, G. Bentley, R. W. Carrington, J. A. Skinner, R. C. Pollock, M. Alorjani, and T. W. Briggs, J. Bone Joint Surg Br., 94, 488 (2012). 

  7. J. M. Pestka, G. M. Salzmann, N. P. Sudkamp, and P. Niemeyer, Z. Orthop. Unfall., 151, 278 (2013). 

  8. M. A. Accardi, S. D. McCullen, A. Callanan, S. Chung, P. M. Cann, M. M. Stevens, and D. Dini, Tissue Eng. Part A, 19, 2300 (2013). 

  9. P. M. van der Kraan and W. B. van den Berg, Osteoarthr. Cartilage, 20, 223 (2012). 

  10. R. A. A. Muzzarelli, F. Greco, A. Busilacchi, V. Sollazzo, and A. Gigante, Carbohyd. Polym., 89, 723 (2012). 

  11. K. E. Benders, P. R. van Weeren, S. F. Badylak, D. B. Saris, W. J. Dhert, and J. Malda, Trends Biotechnol., 31, 169 (2013). 

  12. E. M. Darling and K. A. Athanasiou, J. Orthop. Res., 23, 425 (2005). 

  13. J. E. Barralet, L. Wang, M. Lawson, J. T. Triffitt, P. R. Cooper, and R. M. Shelton, J. Mater. Sci. Mater. Med., 16, 515 (2005). 

  14. T. Kimura, N. Yasui, S. Ohsawa, and K. Ono, Clin. Orthop. Relat. Res., 186, 231 (1984). 

  15. C. Bassleer, P. Gysen, J. M. Foidart, R. Bassleer, and P. Franchimont, In Vitro Cell Dev. Biol., 22, 113 (1986). 

  16. B. Beekman, N. Verzijl, R. A. Bank, K. von der Mark, and J. M. Tekoppele, Exp. Cell Res., 237, 135 (1997). 

  17. K. A. Mehta, M. S. Kislalioglu, W. Phuanpradit, A. W. Malick, and N. H. Shah, J. Control. Release, 63, 201 (2000). 

  18. E. J. Caterson, W. J. Li, L. J. Nesti, T. Albert, K. Danielson, and R. S. Tuan, Ann. N. Y. Acad. Sci., 961, 134 (2002). 

  19. H. H. Tonnesen and J. Karksen, Drug. Dev. Ind. Pharm., 28, 621 (2002). 

  20. I. J. Kim, H. W. Kang, and C. N. Jeong, Polymer(Korea), 27, 195 (2003). 

  21. O. Smidsrod and G. Skjak-Braek, Trend Biotechnol., 8, 71 (1998). 

  22. M. R. Urist, Science, 150, 893 (1965). 

  23. C. B. Huggins and M. R. Urist, Science, 167, 896 (1970). 

  24. S. H. Kim, K. S. Park, B. S. Choi, H. J. Ha, J. M. Rhee, M. S. Kim, Y. S. Yang, H. B. Lee, and G. Khang, Adv. Exp. Med. Biol., 585, 167 (2006). 

  25. Y. M. Lee, C. R. Shim, Y. J. Lee, J. E. Song, J. W. Bea, Y. L. Kim, D. Lee, and G. Khang, Inter. J. Tissue Regen., 3, 13 (2012). 

  26. C. R. Shim, Y. J. Lee, H. A. Ko, M. J. Kim, J. W. Bae, J. H. Lee, J. E. Song, and G. Khang, Inter. J. Tissue Regen., 3, 50 (2012). 

  27. S. J. Yoon, S. H. Kim, H. J. Ha, Y. K. Ko, J. W. So, M. S. Kim, I. Y. Yang,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Tissue Eng. Part A, 14, 539 (2008). 

  28. M. Otterlei, A. Sundan, G. Skjak-Braek, L. Ryan, O. Smidsrod, and T. Espevik, Infect Immun., 61, 1917 (1993). 

  29. H. Y. Lin and C. T. Yeh, J. Mater. Sci: Mater. Med., 21, 1611 (2010). 

  30. C. G. van Hoogmoed, H. J. Busscher, and P. de Vos, J. Biomed. Mater. Res. A, 67, 172 (2003). 

  31. J. P. Soares, J. E. Santos, G. O. Chierice, and E. T. G. Cavalheiro, Ecletica Quimica, 29, 57 (2004). 

  32. E. H. Jo, Y. J. Kim, H. Yu, S. C. Yoo, Y. S. Kang, D. Lee, and G. Khang, Inter. J. Tissue Regen., 1, 46 (2010). 

  33. T. G. Tienen, R. G. Heijkants, P. Buma, J. H. Groot, A. J. Pennings, and R. P. Veth, Biomaterials, 23, 1731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