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앱을 활용한 수학 토론학습
Learning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 Discussion-based learning of mathematic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3 no.2, 2014년, pp.239 - 261  

채재선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강윤수 (순천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discussion-based learning of mathematics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6 open problems suitable for learning mathematical reasoning and five 3rd grade middle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aggoner(1992)는 웹기반 토론을 무엇이라 규정하였나? Waggoner(1992)는 웹기반 토론을 ‘인터넷을 매개로 네트워크 상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적 상호작용이나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그룹 토론’으로 규정하였다.
어떤 성취도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이 세계 최고 수준임을 알 수 있는가? OECD가 주관한 2012국제학업성취도평가(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결과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은 수학 1위를 기록했다. 이것은 일시적인 성과가 아니어서 국제교육성취도평가협회(IEA)의 2011년 ‘수학·과학성취도변화국제비교연구(TIMSS)’와 PISA 2009 결과에서도 우리나라 초,중학생들은 수학 1~2위를 차지하였다. 이처럼 성취도 결과만 보면 우리 나라 학생들의 수학은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09개정수학과교육과정에서 무엇을 강조하였나? 이런 점을 감안하여, 2009개정수학과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2011)에서는 “수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 수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긍정적인 태도 등 정의적 영역의 개선”을 강조하였다. 또한, “복잡하고 전문화되어가는 미래 사회에서 사회 구성원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은 창의적 사고 능력, 문제해결 능력, 정보처리 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이라고 규정하고 이들은 주로 “수학적 추론, 수학적 문제해결, 수학적 의사소통과 같은 수학적 과정의 교수․학습을 통해 증진된다”고 명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강향임 (2011). GeoGebra 환경에서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미분 지도. 수학교육논총 제40집, 449. Kang, H.I. (2011). Teaching differentiation using mathematical model under the environment of GeoGebra, A collection of treatises about mathematics education 40, 449.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2011).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3. 교육과학기술부?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2011). 교과부보도자료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교육과학기술부.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National Committee of Strategies of Information. (2011). Propulsion strategy of smart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4. 권성룡 (2006). 'Polyhedron'을 활용한 다면체 학습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 45(2), 191-204. Kwon, S.Y. (2006). A study on the learning polyhedra using "Polyhedr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45(3), 191-204. 

  5. 권소영 (2009). Fathom을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 자료개발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Kwon, S.Y. (2009).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athematics materials using computer software Fathom, Master's degree, Ewha womans university. 

  6. 권오남, 김인숙 (2003). 웹기반 온라인 토론을 통한 수학적 의사소통 지도에 관한 사례연구, 학교수학 5(1), 77-95. Kwon, O.N. & Kim, I.S. (2003). A case study on teach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via web-based online discussion , School Mathematics 5(1), 77-95. 

  7. 권해름 (2000). 계산기 사용이 수학적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Kwon, H.R. (2000). A study of the influence on mathematical inference ability by using a calculator, Master's degre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8. 김남희 (2002). '문제 해결' 관점에서의 GSP활용, 학교수학 4(1), 111-125. Kim, N.H. (2002). A study on the GSP in the viewpoint of problem solving, School Mathematics 4(1), 111-125. 

  9. 김부미 (2012). 우리나라의 ICT환경 기반 수학 학습 현황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6(3), 657-687. Kim, B.M. (2012). Analysis of mathematical learning based the ICT-environment, Subject Pedagogical Research 16(3), 657-687. 

  10. 김화영 (2005). 그래픽계산기를 활용한 미적분영역의 교수 학습 자료 개발.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Kim, H.Y. (2005).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of calculus using graphic calculator, Master's degre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1. 노명완, 김라연 (2008). 웹 게시판을 이용한 독서 토론에서의 학습자 반응 양상 분석, 독서연구 제20권, 171-199. Noh, M.W. & Kim, R.Y. (2008). A study on analysis of leaner responses in web board-based reading discussions, Journal of Reading Research 20, 171-199. 

  12. 류희찬 (2004). 수학교육에서 탐구형 소프트웨어 활용 방안, 청람수학교육 제14집, 1-15.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연구소. Lew, H.C. (2004). Using plan of inquiry type software in mathematics education, KNUE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14, 1-15. 

  13. 맹종만 (2001). 탐구형 기하소프트웨어 활용을 통한 도형개념 형성 및 성질 탐구에 관한 연구.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Maeng, J.M. (2001). A study of the inquiry of concept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geometry through the exploratory geometric software, Master's degre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4. 민미영 (2010). CAS 계산기를 적용한 이차방정식 수업이 중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Min M. (2010). Study on influences of quadratic equation teaching using CAS calculator on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KNUE. 

  15. 박은영, 강이철 (2003). 웹기반 토론학습 환경에서 수학영재들의 지식 구축 과정 분석 연구, 교육공학연구 19(2), 179-210. Park, E.Y. & Kang, E.C. (2003). The analysis of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in a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gifted in mathematic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9(2), 179-210. 

  16. 박인우 (2001). Web 활용을 통한 교실수업 방법 개선, 전북교육 22, 6-12. Park, I.W. (2001). An improvement of classroom lesson method through using Web, Jeonbug Education 22, 6-12. 

  17. 박재석 (2010).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수용 요인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Park, J.S. (2010). A study on accept factor of mobile application, Master's degree, Korea University. 

  18. 박재희, 권오남 (2000). 고등학교 미적분 단원에서의 그래픽계산기의 활용, 이화교육논총, Vol 11, 255-277. Park, J.H. & Kwon, O.N. (2000). The use of the graphic calculator in the high-school calculus, Ewha Collection of Treatises of Education 11, 255-277. 

  19. 송정근 (2004). ICT 활용 수학수업에 대한 중학교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 조사.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Song, J.K. (2004). Korean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ICT use in mathematics classroom, Master's degre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 수학동아 (2013). 수학동아 1월호, 동아사이언스. Mathematics Dong-A. (2013). Mathematics dong-a(January), Dong-A Science. 

  21. 윤현미 (2013). 스마트폰 수학앱을 이용한 문제해결 학습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과 태도 및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Youn, H.M. (2013). Eeffects of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in problem solving on students' disposition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recognition of mathematics, Master's degre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22. 이원효 (2008). CAS 계산기를 활용한 일차방정식 수업이 중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Lee, W.H. (2008). Study on influences of linear equation lesson using CAS calculator on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KNUE. 

  23. 임정훈 (1999). 웹기반 문제해결 학습환경에서 소집단 협동학습 전략이 온라인 토론의 참여도와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Leem, J.H. (1999). Effects of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 participation in online discussion and problem solving in a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4. 장경윤 (2007). ICT 시대의 대수교육의 방향과 과제, 학교수학 9(3), 409-426. Chang, K.Y. (2007). New directions for school algebra in ICT based society, School Mathematics 9(3), 409-426. 

  25. 정보나, 류희찬, 조완영 (2002).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할용한 기하영역의 수학화 교수?학습 방법, 수학교육학연구 12(4), 543-556. Jung, B.N., Lew, H.C. & Cho, W.Y. (2002). "Mathematising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using dynamic software in geometry,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2(4), 543-556. 

  26. 정재삼, 임규연 (2000). 웹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16(2), 107-135. Jung, J.S. & Im, K.Y. (2000). Effect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he learner participati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web-based online discuss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6(2), 107-135. 

  27. 정종원, 박인우, 임병노, 고범석 (2009). 미래형 교실의 유형별 표준 모델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RR 2009-11. Jung, J.W., Park, I.W., Im, B.N., Ko, B.S. (2009). A study for the design of technology-enhanced future classroom,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ports RR 2009-11. 

  28. 조일주, 정재엽 (2007). 웹 기반 동시적 토론학습에서 학습능력 및 성격특성에 따른 집단구성이 학습자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2), 233-255. Cho, I. J. & Jung, J.Y. (2007). The effect of learning ability and personality grouping on learners' interaction in web-based learning, Learner Centered Research of Education 7(2), 233-255. 

  29. 차용순 (2001). 그래픽계산기를 활용한 중학교 3학년 대수와 함수영역의 단원 구성.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Cha, Y.S. (2001). Development of units for constructing the 9th grade algebra and function strands integrated with graphing calculators, Master's degree, KNUE. 

  30. 하양희 (2000). 그래픽계산기를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들의 이차함수 학습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Ha, Y.H. (2000). The effect of graphic calculator-based instruction on the learning of quadratic function in middle school, Master's degree, KNUE. 

  31. 황우형, 차순규 (2003).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고등학교 해석 기하 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41(3), 341-360. Whang, W.H. & Cha, S.K. (2003).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dynamic geometry software in solving high school analytic geometry problem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1(3), 341-360. 

  32. Bannert, M. (2004). Designing metacognitive support for hypermedia learning. In H. M. Niegemann, D. Leutner, & R. Brunken (Eds.), Instructional design for multimedia learning (19-30). Munster, Germany: Waxmann. 

  33. Bowker, A., Hennessy, S., Dawes, M., & Deaney, R. (2009). Suppor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CT use in mathematics using the T-MEDIA multimedia resource. Joubert, M. (Ed.), Proceedings of the British Society for research into Learning Mathematics 29(1), 19-24. 

  34. Boyd, D.M. & Ellison, N.B. (2007).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 210-230. 

  35. Chen, M. (1995). A methodology for characterizing computer-based learning environments, Instructional Science 23(1), 183-220. 

  36. Drijvers, P., Doorman, M., Boon, P., Reed, H., & Gravemeijer, K. (2010). The teacher and the tool: instrumental orchestrations in the technology-rich mathematics classroom,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5(2), 213-234. 

  37. Ganis, F. (2009). "Social learning" buzz masks deeper dimensions, Washington D. C.: Gilfus Education Group. 

  38. Greenhow, C. (2009). Tapping the wealth of social network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Learning & Learning with Technology 36(8), 10-11. 

  39. Mayer, R.E. (2003). The promise of multimedia learning: using the same instructional design methods across different media, Learning and Instruction 13(2), 125-139. 

  40. Mayer, R.E. & Moreno, R. (2002). Aids to computer-based multimedia learning, Learning and Instruction 12(1), 107-119. 

  41. Narciss, S., Proske, A., & Korndle, H. (2007). Promoting self-regulated learning in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3), 1126-1144. 

  42.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43. Oldknow, A., & Knights, A. (2011). Mathematics education with digital technology, UK: Continuum Publishing Corporation. 

  44. Oliver, R. (1996). Interactions in educational multimedia: the things that matter. In C. McBeath & R. Atkinson (Eds.), The learning superhighway:new world, new worries. Proceedings of Third International Interactive Multimedia Symposium. Retrieved June 11, 2007, from http://elrond.scam.ecu.edu.au/oliver/docs/96/IMMS.pdf 

  45. Proske, A., Narciss, S., & Korndle, H. (2007). Interactivity and learners' achievement in webbased learning, Journal of Interactive Learning Research 18(4), 511-531. 

  46. Roerden, L. P. (2000). 인터넷 활용 수업의 이론과 실제(홍명희, 김갑수, 전우천 역), 서울: 한빛미디어. (원저 1997년 출판), Roerden, L. P. (2000). Theory and its application of classroom lesson using internet(trans: Hong, M.H., Kim, K.S. & Jun, W.C.), Seoul: Hanbit Media. 

  47. Ruthven, K., Deaney, R., & Hennessy, S. (2008). Using graphing software to teach about algebraic forms : A study of technology-supported practice in secondary-school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1(3), 279-297. 

  48. Sims, R. (1997). Interactivity: a forgotten art? Retrieved June 11, 2007, from http://www2.gsu.edu/-wwwitr/docs/interact/ 

  49. Trouche, L., & Drijvers, P. (2010) Handheld technology for mathematics education: flaschback into the future. ZDM Mathematics Education 4, 667-681. 

  50. Waggoner, M. D. (1992). Introduction. In M. D. Waggoner(Ed.), Empowering networks:computer conferencing in education. New Jersey :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51. Yacci, M. (2000). Interactivity demystified: a structural definition. Educational Technology 40(4), 5-16. 

  52. Young, J. R. (2009). 10 high fliers on twitter.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55(31), A1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