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영재의 집단창의성 발현 모델 개발
A Study on the Manifestation Process Model Development of Group Creativity amo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7 no.3, 2017년, pp.557 - 580  

성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종희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수학영재의 집단창의성 발현 모델을 이론적으로 구안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여 모델을 확인하고 정교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역 일반적인 집단창의성에 대한 선행연구와 수학영재의 창의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집단창의성 발현 모델을 구안하였다. 또한 이 모델을 수학영재학급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이 보인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집단창의성 발현 모델의 각 단계에 따른 수학영재의 반응과 집단창의성에 작용하는 주요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수학적 정당화를 위해 추측 또는 문제해결 아이디어 공유 단계로 되돌아가는 과정과 집단 수준의 창의적 시너지가 일어날 수 있는 발생 및 긴장 상태에서 추측 또는 문제해결 아이디어 공유단계로 되돌아가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발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the manifestation process model of group creativity amo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Therefore, I designed the manifestation process model of group creativity by researching the existing literatures on group creativity and mathematical creativity. The ma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단을 통한 창의성 발현은 무엇을 말하는가? 이와 관련하여 최근 집단을 통한 창의성 발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Zhou, 2015). 집단을 통한 창의성 발현이라 함은 집단 내 개인 창의성의 시너지로 인한 창의적 산출과 집단의 영향을 받은 개인 창의성의 발현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수학교육 연구에서는 집단보다는 수학영재 개인의 창의성에 초점을 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김기연, 2008; 김판수, 2014; 이대현, 2014; Leikin, 2010).
수학적 창의성 극대화의 과정에서 학문적 원리는 수학영재들이 수학자처럼 학문적 활동을 하는 경험을 해 보아야 한다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어떤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가? 수학영재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동료들에게 검증받고, 아이디어가 잘못되었더라도 위험을 감수할 수 있어야 한다. 학문적 원리는 수학영재들이 수학자처럼 학문적 활동을 하는 경험을 해 보아야 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의견에 대해 논쟁하거나 질문할 수 있는 교실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즉, 수학영재의 수학적 창의성 극대화를 위해서는 자신의 의견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논의하거나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는 집단에서의 학습 과정이 수학영재의 수학적 창의성 극대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riraman은 수학 영재성에 수학적 창의성이 포함되고 극대화 되는 과정에서 희생의 원리, 학문적 원리 등을 제시하였는데, 이중 희생의 원리는 어떤 것을 말하는가? Sriraman(2005)은 학교수학에서 수학 영재성에 수학적 창의성이 포함되고 극대화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보고, 이를 위한 원리로 희생의 원리, 학문적 원리 등을 제시하였다. 그 중 하나인 희생의 원리는 문제해결을 위해 오랜 시간 인내하며 위험을 감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리이다. 수학영재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동료들에게 검증받고, 아이디어가 잘못되었더라도 위험을 감수할 수 있어야 한다. 학문적 원리는 수학영재들이 수학자처럼 학문적 활동을 하는 경험을 해 보아야 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의견에 대해 논쟁하거나 질문할 수 있는 교실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기연(2008). 수학영재의 창의적 생산력 신장을 위한 학습 지도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 김영채(2007). 집단창의의 가능성과 한계. 사고개발, 3(1), 1-26. 

  3. 김판수(2014). 문제설정에서의 수학적 창의성 평가 요소에 대한 소고. 영재교육연구, 24(6), 1053-1071. 

  4. 김현진(2014). 개인창의성과 집단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통합능력과 지식공유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5. 우정호(200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6. 유경훈(2015). 초중고 학생들의 개인창의성과 집단창의성 및 환경변인의 집단별 영향력 비교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4(1), 201-222. 

  7. 이대현(2014). 다양한 해결법이 있는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안 탐색. 학교수학, 16(1), 1-17. 

  8. 최승현.박지현.남금천(2013). 핵심역량에 기초한 중학교 수학 수업 방안 탐색. -수학영재 수업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논문집, 27(2), 99-119. 

  9. Adams, M. L., & Chen, J.-Q. (2012).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kinds of creating. In O. N. Saracho (Ed.),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research in creativity in early childhood. (pp. 343-354). Charlotte: Information Age Publishing. 

  10.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New York, NY: Springer. 

  11. Balka, D. S. (1974).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Arithmetic Teacher, 21, 633-636. 

  12. Catmull, E. (2008). How pixar fosters collective creativity.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ublishing. 

  13. Creswell, J. W. (201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저는 2013년 출판). 

  14. Dorniak-Wall, K. (2016). A review of integrated approaches to the study of creativity: A proposal for a systems framework for creativity. In G. E. Corazza, & S. Agnoli (Eds.), Multidisciplinary contributions to the science of creative thinking. Singapore: Springer. 

  15. Ervynck, G. (2007). 수학적 창의성. 수록처: 고등 수학적 사고. (류희찬, 조완영, 김인수 공역). (pp. 55-71). 서울: 경문사. (원저는 1991년 출판). 

  16. Gebert, D., Boerner, S., & Kearney, E. (2006). Cross-functionality and innovation in new product development teams: A dilemmatic structure and its consequences for the management of diversity.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5, 431-458. 

  17. Hadamard, J. (1990). 수학 분야에서의 발명의 심리학. (정계섭 역). 서울: 범양사. (원저는 1945년 출판). 

  18. Hinsz, V. B., Tinndale, R. S., & Vollrath, D. A. (1997). The emerging conceptualization of groups as information processors. Psychological Bulletin, 121(1), 43-64. 

  19. Leikin, R. (2010). Teaching the mathematically gifted.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27, 161-175. 

  20. Moran, S., & John-Steiner, V. (2004). How collaboration in creative work impacts identity and motivation. In D. Miell, & K. Littleton (Eds.), Collaborative creativity. Contemporary perspectives. (pp. 11-25). London: Free Assocation Books. 

  21. Paulus, P. B., & Dzindolet, M. (2008). Social influe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Social Influence, 3(4), 228-247. 

  22. Paulus, P. B., & Nijstad, B. A. (2003).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3. Sheffield, L. J. (2003). Extending the challenge in mathematics: Developing mathematical promise in K-8 students.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24. Siau, K. L. (1995). Group creativity and technolog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9(3), 201-216. 

  25. Silver, E. A. (1994).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4(1), 19-28. 

  26. Singer, F. M., & Voica, C. (2015). Is problem posing a tool for identifying and develop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F. H. Singer, N. F. Ellerton, & J. Cai (Eds.), Mathematical problem posing. (pp. 141-174). New York, NY: Springer. 

  27. Sriraman, B. (2005). Are giftedness and creativity synonyms in mathematics? The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7(1), 20-36. 

  28. Woodman, R. W., Sawyer, J. E., & Griffin, R. W. (1993).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2), 293-321. 

  29. Zhou, C. (2015). Bridging creativity and group by elements of problem-based learning. Advances in Intelligent Systems and Computing, 355, 1-9. 

  30. Zhou, C., & Kolmos, A. (2013). Interplay between individual creativity and group creativity in problem and project-based learning (PBL) environment in engineering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9(4), 866-8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