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TEAM 기반 수학 수업이 문제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EAM-based Mathematics Class in th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1 no.4, 2017년, pp.663 - 686  

이가은 (대구칠성초등학교) ,  최재호 (대구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STEAM을 적용한 수학 교과 중심의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수학 교육의 융합적 접근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D광역시 소재 C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사전 검사를 통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문제해결력과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결과물과 사후설문지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융합적 사고력과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문제해결력과 관련하여 두 집단 간의 검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수준별 고른 성취수준과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또한 STEAM 기반 수학 수업을 진행한 실험 집단의 자기효능감 t-검정을 실시한 결과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결과물 및 소감문을 통하여 표현력의 향상과 수학적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 STEAM 프로그램 적용은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수학교과 수업 개선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nvergent approach of mathematics education on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by designing and applying mathematics curriculum based on STE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st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di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EAM은 무엇인가? STEAM은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예술(Art), 수학 (Mathematics)이 융합된 개념으로서 학문 간의 벽을 허물고 통합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이다. 하지만 수학에서 STEAM이 교육과정을 통해 구현되기에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어떤 프로그램이 필요한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생 참여 중심 수업을 통한 창의적 사고 과정으로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의 취지에 맞는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수학의 필요성을 알고 가치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영역의 소재 발견과 더불어 수학의 내적․외적 연결성을 강화할 수 있는 융합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학교 현장의 수학 수업도 교육과정의 개편에 따라 STEAM 요소가 다소 반영(류성림, 2015; 2016)되어 진행되는 편이나 과학요소 등과의 보다 확장된 융합이 미흡한 실정이다.
전미수학교사협의회에서 강조한 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학생들이 수학 학습의 과정에서 다양한 학문 영역의 소재를 활용하게 하고, 보다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게 하여 수학 학습의 필요성과 융합적 사고를 접하도록 해야 한다. 전미수학교사협의회(NCTM, 2000)에서는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서 연결성 (Connections)을 강조하여 수학 내에서의 연결성, 타 교과와의 연결성, 그리고 우리의 일상 생활과의 연결성을 강조하였다. 특히, 교육과학기술부(2012)가 발표한 수학교육선진화 방안에서는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수학”을 위하여 “수학과 타 교과간 통합 교수학습을 통해 정치, 경제, 음악, 미술 등 주변의 다양한 분야에 녹아있는 수학적 개념·원리들을 탐색·이해함으로써, 수학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통합적·입체적 시각 및 실생활에서의 문제해결능력 배양”을 강조하여 수학과 타 학문 간의 통합 또는 융합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수현(2013). 초등 교사의 STEAM 교육에 대한 교육적 요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영욱(2014). 수학 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2012). 수학교육선진화방안.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4. 교육부(2014). 2009 개정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수학 3-1. (주)천재교육. 

  5. 권순범, 남동수, 남태욱(2012). STEAM기반 통합교과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7(2), 79-86. 

  6. 김경아(2010). 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학 흥미 및 태도와 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경희(2013).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 중심의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근옥(2014). 수학 중심의 융합 수업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아영, 박인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 연구, 39(1), 95-123. 

  10. 김은지(2015). 스토리메이킹을 활용한 융합인재교육이 초등 저학년의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진수(2012). STEAM 교육론. 양서원. 

  12. 남승인, 류성림(2004). 문제 해결 학습의 원리와 방법. 서울: 형설출판사. 

  13. 류성림(2015).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수학교과서의 STEAM 요소분석: 3-4학년군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18(3), 235-247. 

  14. 류성림(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수학교과서의 STEAM 요소분석: 5-6학년군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2), 333-351. 

  15. 백윤수, 박현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한혜숙, 김영민, 박종윤(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16. 부경임(2012). 초등학교 6학년에 활용할 수 있는 STEAM 학습 자료 개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부은영(2012). 초등 수학 STEAM 자료 개발-초등학교 5학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서보라(2012). 수학에 기반을 둔 STEAM 교수학습 내용 개발:건축 속의 수학원리 탐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서주희, 신영준(2012).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과학교육논총, 25(1), 1-14. 

  20. 이효녕, 오영재, 권혁수, 박경숙, 한인기, 정현일, 이성수, 오희진, 남정철, 손동일, 서보현, 안혜령(2011). 통합교육과 STEM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교원교육, 27(4), 117-139. 

  21. 우정희, 유미현(2013). 영재융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초등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융.통합 유형 사례 분석. 과학영재교육, 5(2), 82-95. 

  22. 이정헌(2012). STEAM 교육 적용 수업이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현정(2015). 수학 교과 중심의 STEAM 교육을 적용한 입체도형 단원 수업이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임이랑(2012). 초등 수학 STEAM 자료 개발-초등학교 3학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윤회(2013).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수업이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최윤석(2004). 초등 수학에서 문제 만들기를 적용한 수업이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최지은, 배종수(2011). 융합형 STEAM교육과 초등수학교육의 연계 방안.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연구발표대회 논문집. 

  28. 한국과학창의재단(2015). 융합인재교육 STEAM 학습 준거 검색(틀). Retrieved from http://steam.kofac.re.kr. 

  29. 홍유경(2016). 수학교육에서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Psychlogical Review, 84, 191-215. 

  31. Davis, J. H. (1964). The solution of simple and compound word problems, System Research and Behavioral Science, 9(4), 359-370. 

  32. Maes, B. (2010). Stop talking about "STEAM" education! "Teams" is way cooler. Retrieved from http://bertmaes.wordpress.com/2010/10/21/teams. 

  33.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VA: NCTM, Inc. 

  34. Polya, G. (1981). Mathematical discovery: on understanding, learning, and teaching problem solving. Combine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35. Thorndike, R. L. (1950). How children learn the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problem solving. In N. B. Henry (Ed.), The forty-nin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Chicago, IL, US. 

  36. Yakman, G. (2008). $ST{\Sigm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rgrative education, PATT. http://www.steamedu.com/2099_PATT_Publication.pdf 

  37. Yakman, G. & Kim, J. (2007). Using BADUK to teach purposefully Integrated STEM/STEAM education. 37th Annual Conference International Society for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Atlanta, Georgia. (Oct. 11-1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