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영역에서 창의적 산출물 의미 척도
A study on creative product semantic scale in mathematic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3 no.2, 2014년, pp.291 - 312  

홍주연 (경상대학교 대학원) ,  한인기 (경상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to do with creative product in mathematics. We analyze Taylor's creative product according to a different developmental level of creativity, Taylor's creative product inventory, Besemer & Treffinger's creative products analysis matrix, O'Quin & Besemer's creative products semantic sc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명적 창의성은 무엇과 관련되는가? 셋째, 발명적 창의성(inventive creativity)은 기존의 재료들을 가지고 유형의 산출물을 발명하는 것에 관련된다. 즉 발명적 창의성의 대상은 물질적인 재료에 관련된다. 여기에서는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방식으로 재료들 사이의 결합을 통찰하는 능력이 관련된다.
Taylor의 창의성 발달 수준에서 표현적 창의성은 어떤 능력인가? 첫째, 표현적 창의성(expressive creativity)은 훌륭한 음악가처럼 어떤 활동의 형식을 탈피하여 새로운 표현을 수행해낼 수 있는 자발적인 능력(김영봉 외, 2005, p.103) 이다.
수학교육의 목표에서 창의적인 문제해결을 강조한 부분은? 최근에는 학교교육을 통해 길러져야 할 학생들의 중요한 특성의 하나로 강조되고 있다. 특히 수학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2011)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의 하나로,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을 꼽고 있으며, 수학교육의 목표에서도 ‘수학적으로 사고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길러, 생활 주변이나 사회 및 자연의 수학적 현상에서 파악된 문제를 합리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기른다’고 기술하면서,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의 창의적인 문제해결을 강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강완 (2013). 수학적 능력의 구조와 수학 영재아를 위한 창의적 문제 해결 지도 방안, 2013국제수학영재교육학술대회 프로시딩, 7-14. Kang, W. (2013). A stucture of the mathematical ability and a teaching method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for a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Proceedings of the 2013 International Conf. on Math. Edu., 7-14.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권오남, 김정효 (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심의 수학교육과정 적용 및 효과 분석, 수학교육 39(2), 81-99. Gwon, O.N. & Kim, J.H. (2000). Application and examination the effect of mathematics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 Mathematical Education 39(2), 81-99. 

  4. 김기영, 김성수, 이용구, 김현중 (2010). 다변량 분석 입문,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Kim, K.Y., Kim, S.S., Lee, Y.G. & Kim, H.J. (2010). A Introduction to multivariate analysis, Seoul: KNOU-Press. 

  5. 김대업 (2009). AMOS A to Z :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경기도: 학현사. Kim, D.U. (2009). AMOS A to Z: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by paper procedure of writing up, Gyeonggi-do:Hakhyunsa. 

  6. 김석우 (2010).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SPSS.AMOS 활용의 실제, 서울: 학지사. Kim, S.W. (2010). A actual utilization with SPSS.AMOS for a study of social sciences, Seoul: Hakjisa. 

  7. 김선희 (2005). 수학사에 근거한 수학영재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준거 개발, 한국수학사학회지 18(2), 75-94. Kim S.H. (2005).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Criter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Creative Product in View of Mathematical History,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8(2), 75-94. 

  8. 김수경, 김은진, 권혁진, 한혜숙 (2012). 수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델(MG-CPS)을 일반학생의 수학 학습에 적용한 사례연구, 수학교육 51(4), 351-375. Kim, S.K., Kim, E.J., Gwon, H.J. & Han, H.S. (2012).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mathematically gifted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in mathematics learning for ordinary student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1(4), 351-375. 

  9. 김영봉, 강병재, 권순희, 김희대, 문태순, 변종임, 심형진 (2005). 교육학 개론, 경기도: 서현사. Kim, Y.B., Kang, B.J., Kwon, S.H., Kim, H.D., Moon, T.S., Byun, J.I., Shim, H.J. (2005). Introduction to education, Gyeonggi-do: Seohyeonsa. 

  10. 김용대 (2004). 창의적 문제해결과 문제변형을 위한 사고, 수학교육 43(4), 399-404. Kim, Y,D. (2004). Thinking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The Mathematical Education 43(4), 399-404. 

  11. 남영신 (2003). 국어대사전, 서울: 성안당. Nam, Y.S. (2003). Korean dictionary, Seoul: Sungandang. 

  12. 심재봉, 이우식 (2000). 다양한 문제분석을 통한 창의적인 문제해결력 신장, 수학교육학술지 5, 175-194. Sim, J.B. & Lee, W. S. (2000). A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by various analysis of problem, Studies in Mathematical Education 5, 175-194. 

  13. 양태석 (2011). 지역 교육지원청 창의적 산출물 발표회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Yang, T.S. (2011). A Study of creative output presentation in district educational office,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4. 우종필 (2014).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 한나래 출판사. Woo, J.P. (2014).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professor Woo, Seoul:Hannarae Publishing Co. 

  15. 이강섭, 황동주 (2004).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MCPSAT)에 대한 중, 고등학교 급별 적합성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18(1), 191-199. Lee, K.S. & Hawng, D.J. (2004). A compatibility analysis each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by Mathematic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MCPSAT),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8(1), 191-199. 

  16. 이광진 (2011). 중등학교 수학영재교육에서 창의적 산출물의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Lee, K.J. (2011). An analysis of the creative outcomes in the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7. 이대현 (1999). 창의적인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직관과 논리의 역할, 수학교육 38(2), 159-164. Lee, D.H. (1999). The role of intuition and logic in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The Mathematical Education 38(2), 159-164. 

  18. 이명숙, 김미숙, 문은식 (2013). STEAM 수업이 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12(3), 75-94. Lee, M.S., Kim, M.S. & Moon. Y.S. (2013). The effect of STEAM instruction on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e attitude in elementary math gifted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2(3), 75-94. 

  19. 이종희, 김기연 (2010). 수학영재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준거 개발 및 적용, 학교수학 12(3), 301-322. Lee, C.H. & Kim, K.Y.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riteria of Evaluating Creative Product in Mathematical Gifted Education, School Mathematics 12(3), 301-322. 

  20. 조석희, 황동주 (2007). 중학교 수학 영재 판별을 위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영재교육연구 17(1), 1-26. Jo, S.H. & Hawng, D.J. (2007).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for Identifi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7(1), 1-26. 

  21. 한국언론연구원 (1993). 매스컴대사전, 서울 : 한국언론연구원. The Korean Press Institute (1993). Masscom unabridged dictionary, Seoul : The Korean Press Institute. 

  22. Besemer S. P. & Treffinger D. J. (1981). Analysis of creative products: review and synthesis,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5(3), 158-178. 

  23. Besemer S. P. & O'Quin K. (1986). Analyzing creative products: refinement and test of a judging instrument,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0(2), 115-126. 

  24. Besemer S. P. (1998). Creative product analysis matrix: testing the model structure and a comparison among products-three novel chair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1(4), 333-346. 

  25. Brogden, H. E. & Sprecher T. B. (1964). Criteria of creativity. In C. W. Taylor(Eds.), Creativity progress and potential. NYU: McGraw Hill. 

  26. O'Quin K. & Besemer S. P. (1989). The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vised creative product semantic scal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 267-278. 

  27. Taylor I. A. (1975). An emerging view of creative actions. In Taylor I. A. & Getzels J. W.(Eds.), Perspectives in Creativity (297-325). 

  28. Young J.G. (1985). What is creativit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9(2), 77-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