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창의적 산출물 의미 척도의 개선 및 창의적 산출물의 구조 탐색
A Study on Improvement of MCPSS and Searching Structure of the Concept of Creative Produc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4 no.4, 2015년, pp.317 - 334  

홍주연 (경상대학교) ,  김민수 (경남과학고등학교) ,  한인기 (경상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article we study structure of the concept of creative products in mathematics using mathematical creative products. We develop MCPSS1 that improv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CPSS(Creative Product Semantic Scale in Mathematics). And we search structure of the concept of creative products 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PSS의 정교성 및 종합성의 하위요소는 어떤 것들로 구성되어 있는가? CPSS의 정교성 및 종합성의 하위요소는 유기적 조직성, 우아함, 복합성, 이해가능성, 완성도로 구성되어 있지만, MCPSS에서는 우아함과 이해가능성이 제거된 나머지 3개 하위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CPSS에서 우아함의 문항으로 ‘보기 흉한-우아한’, ‘역겨운-매력적인’, ‘볼품없는-멋들어진’, ‘매력적이지 않은-매력적인’, ‘난잡한-정제된’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수학 영역의 창의적 산출물의 특징을 표현하는 형용사로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와 우아함을 측정하는 문항들이 하나의 요인으로 묶이지 못한 것 등을 원인으로 분석할 수 있다.
창의적 산출물 분석 매트릭스는 무엇인가? 초기 연구로 Besemer &Treffinger(1981)는 다양한 산출물의 창의적인 측면을 평가하기 위하여 창의적 산출물 분석 매트릭스(The Creative Product Analysis Matrix, CPAM)를 만들었다. 이는 창의성, 창의적 산출물과 관련된 다양한 문헌을 분석하여 산출물의 창의적 속성을 14개 요소로 정리하고 이를 3개 범주로 묶은 것이다. CPAM은 창의적 산출물 개념의 구조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뒷받침하고는 있으나 연역적으로 검증되지는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강인주, 한인기 (2012). 삼각형의 변들에 대한 등식을 탐구하는 한 방법에 대한 연구,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8(2), 197-213. Gang, I.J. & Han, I.K. (2012). A Study on a Investigation Method of Equalities Related with Sides of Triangle,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8(2), 197-213. 

  2. 고대현, 박정민, 백은하, 김문섭, 한인기 (2014). 기본대칭 다항식으로의 매개를 통한 부등식의 생성 및 증명에 대한 연구,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0(2), 93-121. Ko, D.H., Park, J.M., Baek, E.H., Kim, M.S. & Han, I.K. (2014). A Study on Generating and Proving Inequalities using Parameterization to Elementary Symmetric Polynomials,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0(2), 93-121. 

  3.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4. 김대업 (2009). AMOS A to Z :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경기도: 학현사. Kim, D.U. (2009). AMOS A to Z: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by paper procedure of writing up, Gyeonggi-do: Hakhyunsa. 

  5. 김석우 (2010).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SPSS.AMOS 활용의 실제, 서울: 학지사. Kim, S.W. (2010). A actual utilization with SPSS?AMOS for a study of social sciences, Seoul: Hakjisa. 

  6. 김선희 (2005). 수학사에 근거한 수학영재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준거 개발, 한국수학사학회지 18(2), 75-94. Kim, S.H. (2005).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Criter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Creative Product in View of Mathematical History,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8(2), 75-94. 

  7. 김진호 (2004).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일 논의-창의적인 사람, 창의적인 산물, 창의적인 과정이란 관점으로부터, 수학교육 논문집 18(3), 45-56. Kim, J.H. (2004). A Discussion of Mathematical Creativity-From the View Points of Creative Person, Creative Product, Creative Proces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8(3), 45-56. 

  8. 박종률, 이헌수 (2012). 초등수학 영재학생의 자연수의 연산을 활용한 원형 디자인-GSP를 활용한 원 디자인을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15(1), 31-40. Park, J.Y. & Lee, H.S. (2012). A study on the Circular art using a numeral operation for the mathematical gifted-Focused on the design of a circle using GSP,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5(1), 31-40. 

  9. 방승진, 최중오, 임진아, 고정호, 이정승, 남주강, 전규민 (2007). 수학분야 영재 수업 프로그램 연구-기둥이 4개인 하노이 탑의 규칙성과 일반항, 수학교육 논문집 21(1), 19-31. Bang, S.J., Choe, J.O., Im, J.A., Ko, J.H., Lee, J.S., Nam, J.G. & Jeon, G.M. (2007). The Study on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The regularity and generalization of Hanoi Tower with 4 pillar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1(1), 19-31. 

  10. 신동연 (2015). 삼차방정식을 이용한 영재학생들의 대수식 생성 가능성에 대한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Shin, D.Y. (2015).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Polynomial by a Cubic Equation for Gifted Students, Master's Thesis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1. 우종필 (2014).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출판사. Woo, J.P. (2014).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professor Woo,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12. 유익승, 한인기, 신현용 (2006). 삼각형의 높이와 방접원 의 개념유추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20(1), 9-18. Lew I.S., Han, I.K. & Shin, H.Y. (2012). A study on concept analogy of altitude and escribed circle of triangl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0(1), 9-18. 

  13. 이종희, 김기연 (2010). 수학영재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준거 개발 및 적용, 학교수학 12(3), 301-322. Lee, J.H. & Kim, K.E.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riteria of Evaluating Creative Product in Mathematical Gifted Education, School Mathematics 12(3), 301-322. 

  14. 조도흔, 표명지, 장영수, 이세찬, 김기수, 한인기 (2011). 삼각형 넓이 공식의 다양한 변형에 대한 연구, 수학 교육 논문집 25(2), 381-402. Cho, D.H., Pyo, M.J., Chang, Y.S., Lee, S.C., Kim, K.S. & Han, I.K. (2011). A Study on Various Transformations of Triangle's Area fonnula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5(2), 381-402. 

  15. 홍동화, 서보억, 박은익, 유성훈,, 최은서 (2015). 학교수 학에서 정다각형의 재구조화에 대한 귀납적 연구,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1(4), 483-503. Hong, D.H., Suh, B.E., Park E.I., Yoo, S.H. & Choe, E.S. (2015). Inductive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regular polygons in school mathematics,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1(4), 483-503. 

  16. 홍주연 (2014). 수학 영역에서 창의적 산출물 개념의 구조 탐색,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Hong, J.Y. (2014). Structure-Search of the Concept of Creative Products in Mathematics, Doctorial Thesis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7. 홍주연, 한인기 (2014). 수학 영역에서 창의적 산출물 의미 척도, 수학교육 53(2), 291-312. Hong, J.E. & Han, I.K. (2014). A study on creative product semantic scale in mathematic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3(2), 291-312. 

  18. Besemer S. R. & O'Quin K. (1986). Analsis of creative products: refinement and test of a judging instrument.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0(2), 115-126. 

  19. Besemer S. R. & O'Quin K. (1999). Confirming the Three-Factor Creative Product Analysis Matrix Model in an America Sample. Creative Research Journal 12(4), 287-296. 

  20. Besemer S. R. & Treffinger D. J. (1981). Analsis of creative products: review and synthesis,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5(3), 158-178. 

  21. Besemer S. R. (1998). Creative product analysis matrix: testing the model structure and a comparison among products-three novel chair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1(4), 333-346. 

  22. O'Quin K. & Besemer S. R. (1989). The development, reliabiility, and validity of the revised creative product semantic scal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 267-278. 

  23. Soltan V.P. & Meidman S.I. (1982). Tozdestva i Neravenstva v Treugolike, Moldova: Shtiint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