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엘리트 선수의 도핑 사고성향 분석을 위한 한국형 PEAS의 타당도 검증: Rasch 모형 적용
Study on the validity of PEAS for analyzing doping attitude and disposition of Korean elite player through Rasch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5 no.3, 2014년, pp.567 - 578  

김태규 (대한체육회 태릉선수촌) ,  김세형 (충북대학교 체육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엘리트 선수의 도핑 사고성향 분석을 위한 PEAS의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PEAS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는 Petroczi (2006)이 제시한 선수들의 도핑 (doping)에 대한 사고방식과 성향을 측정하는 척도로 17문항 6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국가대표 엘리트 선수 438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고,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우선 Rasch 모형의 기본가정인 일차원성을 검증하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항의 적합도 검증과 측정척도 범주의 타당도, 그리고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을 추출하기 위해 Winstep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에 모든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자료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17문항으로 구성된 PEAS는 일차원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범주 수의 타당도는 6점척도보다 5점척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항의 적합도는 17문항 중 7문항 (문항1, 문항9, 문항10, 문항12, 문항13, 문항14, 문항17)이 통계적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 분석 결과 3문항 (문항3, 문항12, 문항13)이 추출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우리나라 엘리트 선수의 도핑 사고성향분석을 위한 PEAS는 9문항 5점척도가 타당한 것으로 구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AS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has been used to measure attitude and disposition toward doping in elite athlete. It is constructed of 17-item, 6-point sca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validity of the PEAS for Korean elite player through Rasch model. The scale was admini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대한민국 엘리트 운동선수의 도핑사고 성향을 분석을 위해 한글로 번역된 PEAS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Rasch 모형을 이용하여 대한민국 엘리트 운동선수에게 부적합한 문항을 확인하고 PEAS에서 사용된 6점 척도가 적합한지 확인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문항반응이론의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대한민국 엘리트 운동선수에게 적합한 도핑인식 측정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Rasch 모형의 기본가정인 일차원성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1.
  • 이 연구는 대한민국 엘리트 운동선수들에게 적합한 PEAS 측정척도에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동일한 심리속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별에 따라 차별이 되는 부적합한 문항 (DIF)을 통계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성별에 따라 도핑사고성향 (17문항 평균)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지를 검증한 결과는 Table 3.
  • 이 연구는 엘리트 운동선수의 도핑 사고성향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한국형 PEAS 측정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심리측정척도의 구인타당도 (construct validity)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탐색적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요인분석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을 적용할 수 있다.
  • 이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엘리트 선수의 도핑에 대한 사고성향을 분석하기 위해 적용되고 있는 PEAS의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17문항으로 구성된 PEAS는 제 1요인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분산지수 (%)가 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핑이란? 18세기경 남아프리카의 부족 의식에서 사용된 음료인 ‘Dop’에서 유래 된 도핑 (doping)은 운동선수들이 경기력 증가를 위해 금지된 약물 복용하거나 금지된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2013 도핑방지교육 표준교재에 따르면, 현재 도핑의 범위는 금지약물의 복용과 흡입, 주사, 피부 접착뿐만 아니라 산소 운반 능력 향상, 화학적·물리적 조작, 유전자 도핑과 함께 이러한 금지 약물 및 금지 방법 사용을 은폐하기 위한 부정 거래까지 포함되어 있다 (Verroken, 2000; Kim 과 Kim, 2014; Korea Anti Doping Agency, 2013).
도핑의 범위는? 18세기경 남아프리카의 부족 의식에서 사용된 음료인 ‘Dop’에서 유래 된 도핑 (doping)은 운동선수들이 경기력 증가를 위해 금지된 약물 복용하거나 금지된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2013 도핑방지교육 표준교재에 따르면, 현재 도핑의 범위는 금지약물의 복용과 흡입, 주사, 피부 접착뿐만 아니라 산소 운반 능력 향상, 화학적·물리적 조작, 유전자 도핑과 함께 이러한 금지 약물 및 금지 방법 사용을 은폐하기 위한 부정 거래까지 포함되어 있다 (Verroken, 2000; Kim 과 Kim, 2014; Korea Anti Doping Agency, 2013).
PEAS는 어떻게 구성되어있는가? PEAS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는 Petroczi (2006)이 제시한 선수들의 도핑 (doping)에 대한 사고방식과 성향을 측정하는 척도다. 이 척도는 17문항에 대해 모두 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6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구성되어져 있고, 응답한 점수의 총합이 최소 17점에서 최대 102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선수가 도핑에 대해 관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을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Petroczi, 2007). 미국과 헝가리의 대학 운동선수들과 엘리트 운동선수, 코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PEAS의 자료를 분석한 선행연구에서는 PEAS가 내적일치도 (internal consistency)가 높고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과 성향을 측정하기 적합한 모형이라고 언급하였다 (Petroczi,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ck, A. T., Steer, R. A. and Garbin. M. G. (1988).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wenty-five years of evaluat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8, 77-100. 

  2. Chi, E. L. (2001). Comparing holistic and analytic scoring for performance assessment with many facet Rasch model. Journal of Applied Measurement, 2, 279-388. 

  3. Chi, E. L. (2003). Constructing the scale of information mind using IRT and evaluating the level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19, 111-130. 

  4. Cho, J. H. and Song, K. J. (2003). Rasch calibration and evaluation of perceived barriers to exercise and walking among college women.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5, 29-31. 

  5. Chung, H. (2005). The Rasch model: An alternative method for analyzing ordinal data. Korea Coaching Development Center, 3, 133-141. 

  6. Chung, H. and Noh, E. Y. (2006). Calibration of the extraversion scale using the Rasch rating scale model. Korea Sport Research, 16, 949-956. 

  7. Hong, S. H. (200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npublished, Seoul. 

  8. Hong, S. H. and Cho, Y. R. (2006). Construction of a short version of the dysfunctional beliefs test: An application of Rasch rating scale model.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 866-880. 

  9. Kim, E. K. and Kim, T. G. (2014). Attitudes and dispositions toward doping in Korea National Player. The Korean Society of Sport Science, 23, 215-224. 

  10. Kim, J. H., Kim, M. G., Kim, E. J. and Shin, E. J. (2008). Developing a problematic online game use scale: Identifying underlying factors and testing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udies on Korean Youth, 19, 385-415. 

  11. Kim, S. H., Kang, S. J. and Yang, E, S. (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obesity risk measurement scale through Rasch model.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13, 9-22. 

  12. Kim, T. G. and Kim, E. K. (2013). Attitudes and dispositions toward doping in adolescent elite athletes. The Korean Journal of Sport Medicine, 31, 99-106. 

  13. Korea Anti Doping Agency (2013). 2013 Education of anti doping. http://www.kada-ad.or.kr. 

  14. Lee, H. J. (2013). Doping prohibition, why is it reasonable? Critique of doping prohibition and reflection of doping permission. Korean Society for Sport Anthropology, 8, 57-81. 

  15. Lee, S. M. (2000). Basic of factor analysis, Science of Education. Seoul. 

  16. Linacre, J. M. and Wright, B. D. (1994). A user's guide to facets: Rasch measurement computer program, MESA, Chicago. 

  17. McNamara, T. F. (1996). Measuring second language performance, Longman, London. 

  18. Park, C. H. (2010). Item response theory using WinBUGWS program, Korea Education Evaluation Workshop, Seoul. 

  19. Petroczi, A. (2006). Measuring attitude toward doping: Further evidence for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14th Congress of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Sport Management, Nicosia. 

  20. Petroczi, A. (2007). Attitudes and doping: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thletes' attitudes, sport orientation and doping behaviour.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2, 34. 

  21. Petroczi, A. (2009). Measuring explicit attitude toward doping: Review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10, 390-396. 

  22. Reckase, M. D. (1979). Unifactor latent trait models applied to multifactor tests: Results and implications. Journal of Educational Statistics, 4, 207-230. 

  23. Seol, H. (2007). A psychometric investigation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using Rasch measurement.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 Development, 40, 155-168. 

  24. Verroken, M. (2000) Drug use and abuse in sport. Best Practice and Research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14, 1-23.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