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골프 종목의 엘리트 선수들을 대상으로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136명 (남 75명, 여 61명)의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면담 및 설문을 통해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과 완벽주의성향, 지각된 동기 분위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성 골프선수들은 코치의 차별대우가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경쟁의식은 부적인 영향을 주고, 여성 골프선수들은 코치의 비난이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핑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골프 종목의 엘리트 선수들에게 효율적인 반도핑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로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골프 종목의 엘리트 선수들을 대상으로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136명 (남 75명, 여 61명)의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면담 및 설문을 통해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과 완벽주의성향, 지각된 동기 분위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성 골프선수들은 코치의 차별대우가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경쟁의식은 부적인 영향을 주고, 여성 골프선수들은 코치의 비난이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핑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골프 종목의 엘리트 선수들에게 효율적인 반도핑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로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s and dispositions of doping in elite golf players. 136 elite golfers (75 male, 61 femal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responded to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rfectionism in Sport Scale and Perceiv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s and dispositions of doping in elite golf players. 136 elite golfers (75 male, 61 femal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responded to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rfectionism in Sport Scale and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Sport Questionnaire-2. Data that were collected analyzed by hierarchical multi regression. In male golfers, unequal recognition (UR) of coach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s and dispositions of doping, and rivalry (R) had a negative effect on that. In female golfers, Coach's criticism (CC)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s and dispositions of doping. The effective anti-doping program which refl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elite golf players who need the anti-dopi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s and dispositions of doping in elite golf players. 136 elite golfers (75 male, 61 femal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responded to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rfectionism in Sport Scale and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Sport Questionnaire-2. Data that were collected analyzed by hierarchical multi regression. In male golfers, unequal recognition (UR) of coach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s and dispositions of doping, and rivalry (R) had a negative effect on that. In female golfers, Coach's criticism (CC)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s and dispositions of doping. The effective anti-doping program which refl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elite golf players who need the anti-doping educa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러기 위해서는 운동선수들의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과 함께 이와 관련된 개인적 및 사회적 요인들을 고려한 반도핑 정책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핑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골프종목의 엘리트 선수들을 대상으로 개인적인 요인인 완벽주의성향과 상황적인 요인인 지각된 동기 분위기가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효율적인 반도핑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유용한 정보와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들의 연령, 성별 등의 인구통계학적 자료수집과 함께 금지약물 및 반도핑에 대한 인지여부에 대해 답변하도록 하였다. 금지약물에 대한 연구대상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경기력 향상을 위한 약물/방법은 세계반도핑 기구 (WADA) 및 한국도핑방지위원회 (KADA)에서 제시하고 있는 금지 약물 및 방법이라는 설명과 함께 기분전환을 위한 약물 (recreational drugs)은 운동 목적뿐만 아니라 유흥을 목적으로 하는 흥분제 및 환각제 등의 약물이라는 설명을 추가하였다.
세계 반도핑 기구 (WADA)는 국제적이고 효율적인 반도핑 시스템을 개발을 위해 운동선수들의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요인과 상황적인 요인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29]. 본 연구는 이러한 국제적 흐름에 따라 도핑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골프종목의 엘리트 선수들을 대상으로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뿐만 아니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요인인 완벽주의성향과 상황적인 요인인 지각된 동기 분위기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러나 성장과정에서 주변의 상황에 더 큰 영향을 받는 청소년 엘리트 골프선수[14]를 성인 엘리트선수와 구분하지 않고 포괄적으로 분석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청소년 엘리트 골프선수에게 적용할 때에는 주의가 요구될 것이다.
제안 방법
골프선수들의 완벽주의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Anshel& Eom[16]이 개발한 척도인 Perfectionism in Sport Scale (이하 PSS)를 김명주[17]가 한국어로 번역한 설문지를 본 연구대상자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PSS는 ‘실수에 대한 염려 (Concern over Mistakes, 이하 CM)’, ‘개인적 기준 (Personal Standards, 이하 PS)’, ‘부모의 비난 (Parental Criticism, 이하 PC)’, ‘코치의 비난 (Coach’s Criticism, 이하 CC)’ 등 네 개의 요인에 대해 8문항씩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에 대해 5점 리커트 척도 (매우 동의하지 않음 1→매우 동의함 5)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엘리트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절차 등을 상세히 설명을 듣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14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고, 개별면담 및 소그룹별 집단면담을 통해 연구대상자들이 설문 문항에 대한 설명과 이에 대해 응답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이 과정 중 설문 문항에 대해 응답을 거부한 1명의 설문지와 응답이 불성실한 3명의 설문지를 제외[13]한 136명 (남 75명, 55.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국내 엘리트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절차 등을 상세히 설명을 듣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14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고, 개별면담 및 소그룹별 집단면담을 통해 연구대상자들이 설문 문항에 대한 설명과 이에 대해 응답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이 과정 중 설문 문항에 대해 응답을 거부한 1명의 설문지와 응답이 불성실한 3명의 설문지를 제외[13]한 136명 (남 75명, 55.1%; 여 61명, 44.9%)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Table 1]와 같다. 설문지 응답 중 민감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응답자의 신분이 유추되지 않도록 모든 문항에 대한 응답의 내용에 대해 철저하게 익명성을 유지하였다[14].
본 연구에서는 엘리트 골프선수들의 금지약물에 대한 지식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에 19명 (14.0%)의 선수들만이 정보를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117명 (86.0%)은 금지약물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여러 국가의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Moran et al.
데이터처리
본 연구에서 얻어진 자료들은 SPSS ver. 19.0 (IBM, Armonk, NY, USA)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였고, 성별에 따른 나이, PEAS 점수, 완벽주의성향 및 지각된 동기 분위기의 하부요인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 (independentt-test)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라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정보인 나이와 심리학적인 변인인 완벽주의 성향, 그리고 사회적인 변인인 지각된 동기 분위기 등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고, 독립변인들의 다중공선성 (multicollinearity)을 평가하기 위해 분산팽창계수(Variance inflation factor, 이하 VIF)를 확인하였다.
0 (IBM, Armonk, NY, USA)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였고, 성별에 따른 나이, PEAS 점수, 완벽주의성향 및 지각된 동기 분위기의 하부요인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 (independentt-test)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라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정보인 나이와 심리학적인 변인인 완벽주의 성향, 그리고 사회적인 변인인 지각된 동기 분위기 등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고, 독립변인들의 다중공선성 (multicollinearity)을 평가하기 위해 분산팽창계수(Variance inflation factor, 이하 VIF)를 확인하였다. 모든 통계의 유의 수준은 α=0.
이론/모형
골프선수들의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Petroczi[15]가 소개한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이하 PEAS)를 김태규와 김은국[14]이 한국어로 번역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PEAS는 17문항에 대해 6점 리커트 척도 (매우 동의하지 않음 1→매우 동의함 6)를 사용하여 긍정도 부정도 아닌 중간 응답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고, 모두 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척도에 대해 응답자가 스스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골프선수들의 지각된 동기 분위기를 측정하기 위해 Newton et al.[19]이 개발한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Sport Questionnaire-2 (이하 PMCSQ-2)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PMCSQ-2는 과제중심의 동기 분위기 (task involving climate, 17문항)와 자아중심의 동기 분위기 (ergo involving climate, 16문항)를 측정하는 3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에 대해 5점 리커트 척도 (매우 동의하지 않음 1→매우 동의함 5)를 사용하였다.
성능/효과
834). 나이와 완벽주의성향의 하부요인에 지각된 동기 분위기의 하부요인을 투입한 3단계에서는 분산설명력이 16.2%로 2단계보다 1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귀모형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F=1.239, p=.284). 그러나 지각된 동기 분위기의 하부요인 중 코치의 차별대우(UR, β=0.
018)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각 독립변수의 분산팽창계수 (VIF)를 확인할 결과, 다중공선성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016)이 PEAS 점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나이와 완벽주의 성향의 하부요인에 지각된 동기 분위기의 하부요인을 투입한 3단계에서는 분산설명력이 28.5%로 2단계보다 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귀모형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F=1.985, p=.055). 각 독립변수의 분산팽창계수 (VIF)를 확인할 결과, 다중공선성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99). 나이에 완벽주의성향의 하부요인을 투입한 2단계에서는 분산설명력이 23.1%로 1단계보다 22.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유의하게 나타났다 (F=4.190, p=.005). 완벽주의 하부요인 중 코치의 비난 (CC, β=0.
본 연구는 엘리트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성향과 지각된 동기 분위기가 PEAS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남성선수들의 PEAS 점수가 여성 선수들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성선수들 경우에는 코치의 차별대우가 PEAS 점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경쟁의식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선수들 경우에는 코치의 비난이 PEAS 점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의 연구에서도 코치의 비난(CC)이 도핑에 대한 태도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언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여성 골프선수들에게서 코치의 비난이 PEAS 점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완벽주의성향의 하부요인인 코치의 비난이 도핑에 대해 관대한 성향을 갖도록 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핑 방지를 위해서는 운동선수들뿐만 아니라 코치 및 관련된 스텝들에게도 이러한 연관성에 대해 교육함으로써 효율적인 반도핑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30]의 연구에서는 코치에 의해 조절되는 동기 분위기는 도핑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언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남성 골프선수에게서 자아중심의 동기 분위기 중 코치의 차별대우는 PEAS 점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과제중심의 동기 분위기 중 경쟁의식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중심의 동기 분위기와 과제중심의 동기 분위기가 각각 도핑에 있어서 상반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동기 분위기는 도핑 예방 전략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엘리트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개인적 요인으로써 완벽주의성향과 상황적인 요인인 지각된 동기 분위기가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엘리트 골프선수들의 14.0%만이 금지약물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었고 여성 골프선수들이 남성 골프선수들보다 도핑에 대해 더 관대한 성향을 보였다. 남성 골프선수들은 코치의 차별대우가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경쟁의식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여성 골프선수들은 코치의 비난이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0%만이 금지약물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었고 여성 골프선수들이 남성 골프선수들보다 도핑에 대해 더 관대한 성향을 보였다. 남성 골프선수들은 코치의 차별대우가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경쟁의식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여성 골프선수들은 코치의 비난이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핑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골프종목의 엘리트 선수들에게 효율적인 반도핑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로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후속연구
남성 골프선수들은 코치의 차별대우가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경쟁의식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여성 골프선수들은 코치의 비난이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핑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골프종목의 엘리트 선수들에게 효율적인 반도핑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로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제적 흐름에 따라 도핑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골프종목의 엘리트 선수들을 대상으로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뿐만 아니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요인인 완벽주의성향과 상황적인 요인인 지각된 동기 분위기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러나 성장과정에서 주변의 상황에 더 큰 영향을 받는 청소년 엘리트 골프선수[14]를 성인 엘리트선수와 구분하지 않고 포괄적으로 분석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청소년 엘리트 골프선수에게 적용할 때에는 주의가 요구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 엘리트선수와 성인 엘리트선수를 구분하여 조사하고 이를 비교분석한다면, 효율적인 반도핑 전략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성장과정에서 주변의 상황에 더 큰 영향을 받는 청소년 엘리트 골프선수[14]를 성인 엘리트선수와 구분하지 않고 포괄적으로 분석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청소년 엘리트 골프선수에게 적용할 때에는 주의가 요구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 엘리트선수와 성인 엘리트선수를 구분하여 조사하고 이를 비교분석한다면, 효율적인 반도핑 전략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핑방지를 위한 국제적 수준에서의 초기 노력은?
도핑방지를 위한 국제적 수준에서의 초기 노력은 1999년 설립된 세계 반도핑 기구 (World Anti-Doping Agency, 이하 WADA)가 도핑검사 방법 및 처벌 등에 대한 반도핑 규약을 제정하는 것이었다[5]. 또한 의학과 생리학 분야의 연구를 바탕으로 소변검사와 혈액검사 및 유전자검사를 통해 금지약물 사용을 감지하는 것이었다[5].
도핑방지를 위한 국제적 수준에서의 초기 노력으로 인해 어떤 효과가 있었는가?
또한 의학과 생리학 분야의 연구를 바탕으로 소변검사와 혈액검사 및 유전자검사를 통해 금지약물 사용을 감지하는 것이었다[5]. 초기의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도핑에 대한 양성반응은 현재까지 2% 이하로 낮게 유지되고 있으나 최근 십수 년 동안 금지약물 사용의 상대적인 수는 감소하지 않는다고 보고되고 있다[6,7]. 이러한 현상에 대해 여러 학자들은 운동선수들의 도핑 행동 결정이 더 이상 금지약물에 대한 지식 여부가 아니라 금지약물 사용에 대한 관용적인 태도와 더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고, 이로 인해 세계 반도핑 기구 (WADA)에서는 생물의학적 분석 연구뿐만 아니라 운동선수들의 도핑에 대한 태도뿐만 아니라 환경, 믿음 등과 같은 심리를 이해하기 위한 사회과학적 연구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6,8].
골프종목의 도핑검사 추세는?
한국도핑방지위원회 (Korea Anti-Doping Agency, 이하 KADA)에 따르면, 골프종목의 도핑검사는 2007년 12건, 2008년 9건에서 2013년 64건, 2014년 46건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3]. 뿐만 아니라, 국민체육진흥법 개정(2015년 11월 19일부터 시행)에 따라 프로골프선수들도 한국도핑방지위원회 (KADA)의 도핑검사를 받게 됨으로써[3], 골프종목의 도핑검사 횟수는 더욱 더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30)
A. Zoeller, "Singh V. PGA Tour: a David V. Goliath battle," Jeffrey S. Moorad Sports Law Journal, Vol. 23, Iss. 1, pp. 1-26, 2016.
H. J. Sung. LPGA of Korea Official Home page, http://www.uslpga.kr/news_view.asp?ns128644, June 29, 2016.
Korea Anti-Doping Agency. Korea Anti-Doping Agency Home page, http://www.kada-ad.or.kr, June 29, 2016.
S. H. Lee, H. W. Lee, “An underlying analysis on elite golf players' anti-doping tendency,” Korean Journal of Golf Studies, Vol. 8, No. 1, pp. 7-17, 2014.
D. F. Gucciardi, G. Jalleh, R. J. Donovan, "An examination of the sport drug control model with elite Australian athletes,"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Vol. 14, pp. 469-476, 2011.
A. Petroczi, "Attitudes and doping: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thletes' attitudes, sport orientation and doping behaviour,"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Vol. 2, No. 34, doi:10.1186/1747-597X-2-34, 2007.
World Anti-Doping Agency. World Anti-Doping Agency Home page, https://www.wada-ama.org, June 29, 2016.
J. Morente-Sanchez, M. Zabala, "Doping in sport: a review of elite athletes' attitudes, beliefs, and knowledge," Sports Medicine, DOI 10.1007/s40279-013-0037-x, 2013.
A. Petroczi, E. Aidman, "Measuring explicit attitude toward doping: review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Vol. 10, pp. 390-396, 2009.
G. Zucchetti, F. Candela, C. Villosio , "Psychological and social correlates of doping attitudes among Italian athl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Drug Policy, Vol. 26, pp. 162-168, 2015.
A. Bloodworth, M. McName, "Clean Olympians? Doping and anti-doping: The views of talented young British athl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Drug Policy, Vol. 21, pp. 276-282, 2010.
A. Alaranta, H. Alaranta, J. Holmila, P. Palmu, K. Pietila, I. Helenius, “Self-reported attitude of elite athletes toward doping: differences between type of s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27, No. 10, pp. 842-846, 2006.
H. J. Kim, D. H. Park, “The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 pp. 241-252, 2016.
T. G. Kim, E. K. Kim, “Attitudes and dispositions toward doping in adolescent elite athletes,”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31, No. 2, pp. 99-106, 2013.
A. Petroczi, "Exploring the doping dilemma in elite sport: Can athletes' attitudes be responsible for doping?"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2002.
M. H. Anshel, H. J. Eom, "Exploring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in s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 Vol. 34, pp. 255-271, 2002.
M. J. Kim, “Construct validity of perfectionism propensity scale for university dancers,”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Vol. 12, No. 3, pp. 45-57, 2010.
A. Moran, S. Guerin, K. Kirby, T. MacIntyr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doping attitudes and behaviour scale. Research report to World Anti-Doping Agency and The Irish Sports Council," UCD School of Psychology, http://www.wadaama.org/rtecontent/document/moran_final_report.pdf., 2008.
M. Newton, J. L. Duda, Z. Yin, "Examination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Sport Questionnaire-2 in a sample of female athletes," Journal of Sport Sciences, Vol. 18, pp. 275-290, 2000.
E. K. Kim, T. G. Kim, “Attitudes and dispositions toward doping in Korean national player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3, No. 1, pp. 215-244, 2014.
P. Peretti-Watel, V. Guagliardo, P. Verger, P. Mignon, J. Pruvost, Y. Obadia, "Attitudes toward doping and recreational drug use among French elite student-athletes," Sociology of Sport Journal, Vol. 21, pp. 1-17, 2004.
H. Muwonge, R. Zavuga, P. A. Kabenge, "Doping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Ugandan athletes': a cross-sectional study,"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DOI 10.1186/s13011-015-0033-2, 2015.
J. H. Kwak, S. H. Lee, “Direction of women's sports for gender equality,”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3, No. 6, pp. 299-311, 2014.
G. L. Flett, P. L. Hewitt, "The perils of perfectionism in sports revisited: Toward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pressure to be perfect and its impact on athletes and danc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 Vol. 45, pp. 395-407, 2014.
D. J. Madigan, J. Stoeber, L. Passfield, “ Perfectionism and attitudes towards doping in junior athletes,” Journal of Sports Sciences, Vol. 34, No. 8, pp. 700-706, 2016.
S. H. Cheon, Y. G. Song, “Korean version of peer motivational climate in youth sport: development and validity,”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Vol. 22, No. 1, pp. 243-260, 2011.
Y. Ommundsen, G. C. Roberts, P. N. Lemyre, D. Treasure,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male youth soccer: relations to social-moral functioning, sportspersonship and team norm perception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Vol. 4, pp. 397-413, 2003.
S. G. Hwa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ivational climate and self-management for elite athlet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5, pp. 493-500, 2016.
J. Allen, J. Taylor, P. Dimeo, S. Dixon, L. Robinson, “Predicting elite Scottish athletes' attitudes towards doping: examining the contribution of achievement goals and motivational climate,” Journal of Sports Sciences, Vol. 33, No. 9, pp. 899-906, 2015.
K. Hodge, E. A. Hargreaves, D. Gerrard, C. Lonsdale, "Psych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Doping Attitudes in Sport: Motivation and Moral Disengagement,"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Vol. 35, pp. 419-423, 201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