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엘리트 선수들의 한국형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대한 태도 척도에 관한 연구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Korean version for Elite Athletes원문보기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대한 태도 척도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AS)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사용하여 요인구조 (factor structure)를 확인함으로써, 한국 엘리트 선수들에게 적합한 한국형 PEAS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355명의 핸드볼 선수를 대상으로 17문항의 PEAS를 자기기입식으로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17문항과 11문항, 9문항, 8문항 및 6문항에 대해 각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6문항의 PEAS가 한국 엘리트 운동선수들에게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청소년 선수에 비해 성인 선수에게 더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선수의 도핑에 대한 태도는 6문항의 PEAS를 사용하여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을 의미하고, 청소년 선수의 도핑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대한 태도 척도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AS)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사용하여 요인구조 (factor structure)를 확인함으로써, 한국 엘리트 선수들에게 적합한 한국형 PEAS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355명의 핸드볼 선수를 대상으로 17문항의 PEAS를 자기기입식으로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17문항과 11문항, 9문항, 8문항 및 6문항에 대해 각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6문항의 PEAS가 한국 엘리트 운동선수들에게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청소년 선수에 비해 성인 선수에게 더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선수의 도핑에 대한 태도는 6문항의 PEAS를 사용하여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을 의미하고, 청소년 선수의 도핑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various factors structure of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AS)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o provide a suitable questionnaire for elite athletes to measure attitudes toward doping. Three hundred and fifty-five handball players participated i...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various factors structure of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AS)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o provide a suitable questionnaire for elite athletes to measure attitudes toward doping. Three hundred and fifty-five handball play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filled out a self-administrated 17-items PEAS. And 17-items, 11-items, 9-items, 8-items and 6-items PEAS were examined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pectively. 6-items PEAS was suitable to measure attitudes toward doping for adult athletes, and PEAS for adolscent should be developed by being consisted of suitable questions for adolscent athlet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various factors structure of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AS)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o provide a suitable questionnaire for elite athletes to measure attitudes toward doping. Three hundred and fifty-five handball play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filled out a self-administrated 17-items PEAS. And 17-items, 11-items, 9-items, 8-items and 6-items PEAS were examined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pectively. 6-items PEAS was suitable to measure attitudes toward doping for adult athletes, and PEAS for adolscent should be developed by being consisted of suitable questions for adolscent athlet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17]의 연구에서는 17문항의 PEAS보다 8문항의 PEAS가 더 적합하다고 주장하는 등 설문지의 적합도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사용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PEAS에 대한 요인구조 (factor structure) 를 확인함으로써, 한국 엘리트 선수들에게 적합한 한국형 PEAS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도핑에 대한 태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국내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버전의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AS)를 확인적 요인분석 (CFA)을 통해 요인구조를 확인함으로써, 한국 엘리트 운동선수들에게 적합한 한국형 PEAS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Gucciardi et al.
최근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도핑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사회심리학적 요인을 분석하는 사회과학적인 연구가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는데[1,7,13,15-17],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효율적인 반도핑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도핑에 대한 태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많은 연구에서 운동선수의 도핑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PEAS 설문지를 바탕으로 한국 성인 및 청소년 핸드볼 선수에게 적합한 한국형 PEAS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한국 핸드볼 선수로 한정하였으나 더 다양한 스포츠 종목에 적합한 PEAS를 확인하여 이를 활용한다면 국내 반도핑 전략을 마련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생각되고 도핑예방을 위한 다양한 질적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 질것으로 생각된다.
제안 방법
이에 반해 Petroczi[11]에 의해 개발된 후 Petroczi & Aidman[12,25]에 의해 17문항으로 완성된 PEAS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생애 주기 모형 (life-cycle model)을 기반으로 개발되었고 도핑에 대한 태도를 정량화할 수 있어 여러 대상자들의 도핑에 대한 태도를 비교분석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도핑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학적인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7,11,13-17]. 그러나 17문항의 PEAS는 미국 대학 운동선수 및 코치와 헝가리 대학 및 엘리트 운동선수, 그리고 영국 학생 선수를 대상으로 개발되고 완성된 설문지로, 한국어로 번역한 PEAS가 한국 엘리트 선수의 도핑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Gucciardi et al.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대한핸드볼협회에 등록된 선수로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참여한 355명 (범위: 13세-42세, 평균±표준편차:19.20±5.14세)의 선수에 대해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였고, 만 18세 이하의 청소년 선수 189명에 대해서는 보호자의 동의를 얻은 후 자료분석을 하였다.
데이터처리
17문항의 PEAS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11문항[16]과 9문항[19], 8문항[17] 및 6문항[15,16]의 PEAS (Table 2 참고)에 대한 요인구조 (factor structure)를 확인하기 위해 AMOS 20.0 (2011 Amos Development Corporation) 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시행하였고, 이후, 성인 선수와 청소년 선수를 분류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는 카이제곱/자유도 (χ2/df),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 Tucker Lewis index (TLI) 및 Comparative fit index (CFI) 등의 변수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이론/모형
모형의 적합도는 카이제곱/자유도 (χ2/df),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 Tucker Lewis index (TLI) 및 Comparative fit index (CFI) 등의 변수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Kim & Kim (4)에 의해 한국어로 번역된 17문항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대한 태도 척도, 즉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AS)를 사용하였다 (Table 1 참고).
성능/효과
특히, 이 6문항 PEAS는 청소년 선수에게도 좋은 적합도를 보이나 (CFI=.95, TLI=.92), χ2/df이 3.48로 수용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성인 선수에게 더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 (χ2 /df=1.57, CFI=.98, TLI=.97, RMSEA=.05).
후속연구
그러므로 도핑 행위를 효율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운동선수의 도핑에 대한 태도를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27].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바와 같이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다양한 유형의 PEAS가 청소년 선수에게 적합하지 않으므로, 청소년 선수의 도핑에 대한 태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하는 데에 있어 PEAS 설문지를 사용하는 것에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국내에서도 PEAS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고 한국 운동선수들에게 적합한 PEAS 유형을 제시하였으나[19], 이 선행연구에서는 문항의 적합도와 척도 및 성별 등의 요인을 고려한 반면 나이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고, 본 연구에서도 Kim & Kim[19]이 제안한 한국형 PEAS가 성인 선수뿐만 아니라 청소년 선수에게도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1]은 PEAS가 처음 개발될 때 성인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개발이 되었으므로 각 문항이 청소년 운동선수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주장하였다. 성인 운동선수와 청소년 운동선수는 도핑에 대한 태도와 도핑에 대한 감수성 (susceptibility)에 미묘한 차이가 있으므로[2], 청소년 운동선수들에게 적합한 문항으로 구성되고 도핑에 대한 태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설문지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많은 연구에서 운동선수의 도핑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PEAS 설문지를 바탕으로 한국 성인 및 청소년 핸드볼 선수에게 적합한 한국형 PEAS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한국 핸드볼 선수로 한정하였으나 더 다양한 스포츠 종목에 적합한 PEAS를 확인하여 이를 활용한다면 국내 반도핑 전략을 마련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생각되고 도핑예방을 위한 다양한 질적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 질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선수의 도핑에 대한 태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유형의 PEAS에 대한 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6문항의 PEAS가 한국 엘리트 선수, 특히 성인 핸드볼 선수에게 더 적합한 설문지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청소년 선수의 도핑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운동선수들에게 적합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16]의 연구에서 사용한 6문항 PEAS가 한국 엘리트 선수, 특히 성인 선수들의 도핑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는 데 에 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자가 핸드볼 종목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다른 스포츠 종목의 선수들에게 본 연구의 결과를 적용하는 데에는 주의가 요구되고 각 스포츠 종목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그들에게 적합한 PEAS를 확인한다면 더 정확한 도핑 태도 분석을 통해 도핑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핑이란 ?
도핑 (doping)은 소변, 혈액과 같이 운동선수가 제공하는 샘플 (sample)에서 금지약물 (prohibited substances), 대사산물 (metabolites) 또는 이와 관련된 표식 (markers)이 검출되는 것을 포함하여 반도핑 규칙 위반 (anti-doping rule violation)이 발생하는 것으로 표현된다[1]. 금지약물은 대부분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약물 (performance enhancing drugs, PEDs)인 것으로 간주되는데[2], 이러한 PEDs의 사용은 페어플레이 (fair play) 정신을 약화시키는 등 스포츠 자체를 위협할 뿐만 아니라, 운동선수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에도 중대한 위협을 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대한 태도 척도는 ?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대한 태도 척도, 즉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AS)는 운동선수들의 도핑에 대한 태도를 정량적 (quantitative)으로 측정하기 위해 2002년 Petroczi에 의해 개발된 설문지로[11], 2009 년 Petroczi & Aidman은 주성분 분석 (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통해 97문항 중 적합하지 않은 80개의 문항을 제거함으로써 17개의 문항으로 이뤄진 PEAS를 완성하였다[12]. 이 설문지는 도핑 행동 모형 (doping behavioural model)을 검사하거나 사회적 바람 직성 (social desirability) 효과 및 도핑에 대한 암묵적 (implicit) 또는 명시적 (explicit) 태도 확인 또는 도핑과 관련된 허위합의 효과 (false consensus effect)를 검사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국외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다[5,13-17].
도핑을 행하는 이유에 대한 해석은 ?
최근 운동선수들이 도핑을 행하는 이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도핑 의도 (intention) 및 행위 (behavior) 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학적인 요소 (psychosocial factor)를 확인하는 연구가 많이 시행되고 있다[1,6]. Petroczi & Aidman[7]은 도핑 행위를 효과적으로 중재하기 위해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생애 주기 모형 (life-cycle model)을 제안하였는데, 이 모형은 도핑 행위가 어떤 근본적인 심리학적 과정 (psychological processes)에 의한 것이 아니라, 운동수행능력 향상과 관련된 의도적 (intentional)이고 자기통제적 (self- regulated)이며 목표지향적 (goal-directed) 행위라고 설명하고 있다[7, 8]. 즉,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선택을 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이를 실행에 옮기고 이에 대한 피드백 (feedback) 을 받아 목표를 평가하고 이를 수정하여 반복하거나 포기를 결정하는 등 여섯 단계를 통해 도핑 행위를 결정하게 되는데[9,10], 각각의 단계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소 (factor)의 조합을 통해 도핑 행위 (behavior)에 대한 선수들의 신념 (belief) 및 성향 (disposition)을 의미하는 도핑에 대한 태도 (attitude)가 형성된다[7].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