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회보험 정책수단의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ology of Social Insurance Policy Instrument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19 no.5, 2014년, pp.109 - 117  

노시평 (서경대학교 공공인적자원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보험정책의 집행에 활용된 정책수단의 유형을 규명하기 위한 논문이다. 본 연구를 위해 지금까지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된 정책수단의 개념 및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근거로 해서 우리나라 사회보험정책의 집행에 활용된 정책수단들의 유형을 강요적 혼합적 자발적 정책수단으로 분류하여 탐색해 보았다. 연구결과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강요적 정책수단의 경우 정부보험, 공기업, 규제라는 정책수단이 모든 사회보험정책 집행과정에서 활용되었다. 둘째, 혼합된 정책수단의 경우는 강요적 정책수단의 경우와는 다른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5대 사회보험정책 모두 사용자 부담금이라는 정책수단이 활용되고 있으나, 보조금의 경우에는 건강보험, 연금보험, 고용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수단 외에 정보와 훈계라는 정책수단은 고용보험정책에서, 파트너십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정책에서 활용되고 있다. 셋째, 자발적 정책수단으로는 가족과 공동체라는 정책수단이 대부분의 사회보험정책에서 활용되고 있다. 다만 산재보험정책은 공동체라는 수단만이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policy instruments that have used in the process of social insurance policy implementat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ase of compulsory policy instrument, the government uses the regulation, public enterprise and government insurance in the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하에 이루어졌다. 즉 정책수단이 무엇이며 어떠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또한 정책수단을 어떻게 유형화할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이론을 탐색해 보는 것이 제 일차적인 연구의 주제이다.
  • 즉 정책수단이 무엇이며 어떠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또한 정책수단을 어떻게 유형화할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이론을 탐색해 보는 것이 제 일차적인 연구의 주제이다. 본 연구의 제 이차적 연구주제는 앞에서 살펴본 정책수단의 유형을 이용해 우리나라 사회보험정책의 집행에 활용된 정책수단들을 분류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정부가 사회복지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수단 도입과정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에게 실용적인 측면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alamon은 정책수단을 무엇이라고 파악하였는가? 이들과는 달리 정책수단을 광의적인 의미로 파악한 학자들도 있다. 가령, Salamon[10]은 정책수단을 공공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앙과 지방 정부 등 각급 수준의 정부기관들, 그리고 정부기관들과 민간기관들이 서로 협력하여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물(vehicle)로 파악하였는데, 이러한 개념적 이해는 공공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정부와 민간부문이 파트너가 되어 협력적 활동을 수행하는 신공공관리(NPM; new public management) 또는 뉴거버넌스(new governance) 등과 맥을 같이한다.
정부개입의 정도에따라 제시된 세 가지 정책수단 유형과 그 설명은? Howlett와 Ramesh[16]는 지금까지 정책수단의 유형분류를 시도한 학자들의 연구결과들은 문제가 있다고 비판하면서2), 정부개입의 정도를 기준으로 자발적(voluntary) 수단, 혼합된(mixed) 수단, 강요적(compulsory) 수단 등 세 가지의 정책수단 유형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발적 정책수단의 특징은 정부개입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즉 정부는 공공문제의 해결에 거의 개입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가족 혹은 공동체, 자발적 조직 또는 시장에서 그 문제가 가장 잘 해결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자발적 수단은 경제적․사회적 정책집행에 사용되는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3). 자발적 수단은 가족과 공동체, 자발적 조직, 사적 시장(private market)4) 등의 형태를 띠고 있다. 둘째, 강요적 정책수단(직접적 수단으로도 불리 움)은 표적집단(target individuals and firms)의 행동을 강요하거나 지시하는 정책수단이다. 이러한 정책수단은 정부가 법의 태두리 안에서 선택하는 무엇이나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표적 개인․집단․조직들에게 자유재량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강제성이 아주 높은 정책수단이다. 여기에는 규제, 공기업, 직접공급 (direct provision) 등이 있다5). 셋째, 혼합된 정책수단은 자발적 정책수단의 특성과 강요적 정책수단의 특성이 결합된 것이다. 따라서 혼합된 정책수단은 개인에게 정보제공으로 부터, 세금의 징수까지 그 폭이 매우 넓다. 또한 양 극단 정책수단들의 장점들을 결합한 측면도 있다. 혼합된 정책수단의 가장 큰 특징은 정부가 비국가 행위자들의 결정에 다양한 수준의 개입을 시도하나, 최종적 결정은 개별 행위자들이 한다는점이다. 이 정책수단들은 정보와 훈계, 보조금, 재산권의 경매, 조세와 사용자 부담금 등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Howlett와 Ramesh는 정책수단을 무엇이라고 파악하였는가? 그는 정부가 권력을 행사한다는 측면에서 그들이 추구하는 정책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정책수단을 주의 깊게 선택해야 된다고 주장하였다. Howlett와 Ramesh[9]는 정책수단을 정부가 정책집행을 위해서 반드시 선택해야 하는 사용가능한 실제적인 수단(means) 및 장치 (devices)라고 파악하였다. 이들의 개념적 특성은 정책수단을 정부가 정책집행을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기법․수단․장치 등으로 파악하여 협의적인 의미로 파악하였다는 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alamon, Lester M. "Rethinking Public Management: Third Party Government and the Tools of Government Action", Public policy. Vol.29, No.1. pp. 255-279. 1981. 

  2. Landry, R. and Varone, F.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Confronting the Deductive and the Interactive Approaches", In Eliads, P. Hill, M. and Howlett, M. (ed.), Designing Government: From Instruments to Governance, McGil-Queen's University Press. pp. 106-8. 2005. 

  3. Linder, S. and Peters, G. "The Study of Policy Instruments: Four School of Thought", In Peters, G. and Van Nispen F. (ed.), Public Policy Instruments: Evaluating the Tools of Public Administration, Edward Elgar. 1998. 

  4. Elmore, R. "Instruments and Strategy in Public Policy", Policy Studies Review, Vol.7, No.1. pp.164-186. 1987. 

  5. Howlett, Michael & Ramesh, M. "Studying Public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6. Young Han Chun.Kyung Hee Lee. "Research on Policy Instruements: Origen, Development and Futur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48. No. 2. pp. 91-117. 2010. 

  7. Howlett, Michael. "What is a Policy Instrument? Policy Tools, Policy Mixes, and Policy Implementation Styles". In Eliads, P. Hill, M. and Howlett, M. (ed.), Designing Government: Designing Government: From Instruments to Governance, McGil-Queen's University Press. p31. 2005. 

  8. Vedung, Evert. "Policy Instruments: Typologies and Theories. In Marie-Louise, Bemelmans-Videc, Ray, C. Rist, Vedung Evert (ed.), Carrot, Stick and Sermons: Policy Instruments and Their Evaluation, New Burnswick, p.21. 1998. 

  9. Howlett, Michael and Ramesh, M. Studying Public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p. 80. 1995. 

  10. Salamon, Lester M. "Economic Regulation", In Salamon Lester M.(ed.), The Tool of Government: A Guide to the New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p. 19. 2002. 

  11. Young Han Chun.Kyung Hee Lee. "Research on Policy Instruements: Origen, Development and Futur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48. No. 2. p. 96. 2010. 

  12. Hood, C. "The Tools of Government", Chatham House. 1986. 

  13. Salamon, Lester M. "Economic Regulation", In Salamon Lester M.(ed.), The Tool of Government: A Guide to the New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p. 21. 2002. 

  14. McDonnel, L. M. and Elmore R. F. "Alternative Policy Instruments". Center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pp. 7-12. 1987. 

  15. Vedung, Evert. "Policy Instruments: Typologies and Theories. In Marie-Louise, Bemelmans-Videc, Ray, C. Rist, Vedung Evert (ed.), Carrot, Stick and Sermons: Policy Instruments and Their Evaluation, New Burnswick, pp. 21-57. 1998. 

  16. Howlett, Michael & Ramesh, M. "Studying Public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pp. 85-101. 1995. 

  17. Young Han Chun. "Research on Policy: Origins, Development, and Futures", Journal of Government Studies. Vol. 13. No. 2. pp. 39-51. 2007. 

  18. Myung Jye Moon. "Theoretical Coordinate and Issue of Policy Instrument Study", Policy & Knowledge. Vol. 373. pp. 2-24. 2008. 

  19. Wha Joon Noh, "Introduction to the Public Policy", Park Young Co. 2012. 

  20. Salamon, Lester M. "Economic Regulation", In Salamon Lester M.(ed.), The Tool of Government: A Guide to the New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1. Hood, C. "The Tools of Government", Chatham House. 1986. 

  22. Howlett, Michael & Ramesh, M. "Studying Public Policy: Policy Cycles and Policy Subsystems", 2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3. Young Han Chun.Kyung Hee Lee. "Research on Policy Instruements: Origen, Development and Futur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48, No. 2. p.98.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