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음료의 유통기한을 pH, 총산도, 색도, 미생물 관능검사에 의해 예측하였다. 다시마음료의 pH와 총 산도는 저장온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 측정 결과 저장온도(15, 25, $37^{\circ}C$)에 따른 명도는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적색도는 감소하였다. 황색도는 $15^{\circ}C$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25^{\circ}C$, $37^{\circ}C$에서는 저장 8개월에 증가하였다. 저장 초기 시료와 차이 정도를 나타내는 ${\Delta}E$ 값은 $15^{\circ}C$에서 가장 차이(12.14)가 적었으며, 저장온도가 증가($25^{\circ}C$, 12.57; $37^{\circ}C$, 14.43)할수록 차이 정도가 증가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총균과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관능검사 패널들은 신선한 다시마음료와 저장 음료와의 차이를 3점 이하로 나타내어 저장기간 중 관능상의 확연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다시마 음료의 우리나라 연간 온도별 예상 유통일수를 근거로 산출한 유통기한은 결정계수가 가장 높았던 색도를 기준으로 27.10개월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ablish the shelf-life of sea tangle drink. Quality changes, including pH, total acidity, color, sensory evaluation,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 were measured periodically in sea tangle drink kept at 15, 25, and $37^{\circ}C$ for 8 months. The pH l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다시마 음료의 유통기한을 예측하기 위해 가속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저장온도(15℃, 25℃, 37℃)별 저장기간에 의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성상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3)Means with the same letter (a,b) in each row among samples in each item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방법 중 실측실험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방법에는 실측실험과 가속실험이 있다. 실측실험은 정확한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원칙적인 방법이지만 3개월 이상의 유통기한을 가진 제품인 경우 실험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 한계점이 있어, 실제 보관 또는 유통 조건보다 가혹한 조건에서 실험하여 단기간에 제품의 유통기한을 예측하는 가속실험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가속실험은 온도가 제품의 화학적, 물리학적 반응과 부패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용하여 실제 보관 또는 유통온도와 최소 2개 이상의 온도에 저장하면서 선정한 품질지표가 품질한계에 이를 때까지 일정 간격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얻은 결과를 아레니우스 방정식을 사용하여 실제 보관 및 유통온도로 외삽한 후 유통기한을 예측하여 설정하는 방법이다.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방법 중 가속실험은 어떤 제품에 효율적인가? 가속실험은 온도가 제품의 화학적, 물리학적 반응과 부패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용하여 실제 보관 또는 유통온도와 최소 2개 이상의 온도에 저장하면서 선정한 품질지표가 품질한계에 이를 때까지 일정 간격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얻은 결과를 아레니우스 방정식을 사용하여 실제 보관 및 유통온도로 외삽한 후 유통기한을 예측하여 설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시간, 비용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3개월 이상의 비교적 유통기한이 길고 유통 조건이 복잡한 제품에 효율적이며, 온도만을 단일 변수로 사용할 경우 아레니우스 방정식에 의한 유통기한 예측은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현재까지 음료의 유통기한 설정에 관한 연구로는 기능성 음료(4,5), 오렌지주스(6,7), 무가당주스(8), 땅콩 음료 (9), 쌍화탕(10)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의 연구들은 아레니우스 방정식을 이용하여 유통기한 예 측을 실시하였다.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방법 중 가속실험은 무엇인가? 실측실험은 정확한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원칙적인 방법이지만 3개월 이상의 유통기한을 가진 제품인 경우 실험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 한계점이 있어, 실제 보관 또는 유통 조건보다 가혹한 조건에서 실험하여 단기간에 제품의 유통기한을 예측하는 가속실험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가속실험은 온도가 제품의 화학적, 물리학적 반응과 부패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용하여 실제 보관 또는 유통온도와 최소 2개 이상의 온도에 저장하면서 선정한 품질지표가 품질한계에 이를 때까지 일정 간격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얻은 결과를 아레니우스 방정식을 사용하여 실제 보관 및 유통온도로 외삽한 후 유통기한을 예측하여 설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시간, 비용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3개월 이상의 비교적 유통기한이 길고 유통 조건이 복잡한 제품에 효율적이며, 온도만을 단일 변수로 사용할 경우 아레니우스 방정식에 의한 유통기한 예측은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 HY, Kown YJ, Kim IK, Pyun YR. 1993. Estimation of kinetic parameters of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using equivalent time at reference temperature with linearly increasing temperature profile.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178-184. 

  2. Labuza TP. 1982. Shelf-life dating of foods. Food & Nutrition Press Inc., Westport, CT, USA. p 41-87. 

  3. Kim WS. 2008.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establishment of shelf-life of food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Osong, Chungbuk, Korea. 

  4. Yoo KM, Kim WY, Lee YC, Kim KO. 1999. Development of antioxidant beverage and the prediction of shelf life. Food Sci Biotechnol 8: 290-294. 

  5. Lee GD, Kim JO, Kim MS, Lee KP. 2006.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n functional beverage. Korean J Food Preserv 13: 154-160. 

  6. Lee NK, Yoon JY, Lee SR. 1995. Computation of Q $_{10}$ values and shelf-life for canned and bottled orange ju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748-752. 

  7. Polydera AC, Stoforos NG, Taoukis PS. 2003. Comparative shelf life study and vitamin C loss kinetic in pasteurized and high pressure processed reconstituted orange juice. J Food Eng 60: 21-29. 

  8. Park HJ. 2000. Study of establishment of shelf life in unsweetened juice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9. Rustom Ismail YS, Lopez-Leiva MM, Nair Baboo M. 1996. UHT-sterilized peanut beverage: Kinetics of physicochemical changes during storage and shelf-life prediction modeling. J Food Sci 61: 198-208. 

  10. Seo CS, Kim JH, Lim SH, Shin HK. 2012. Establishment of shelf-life of ssanghwa-tang by long term storage test. Kor J Pharmacogn 43: 257-264. 

  11. Waqar AB, Tomonari K, Yu Y, Inoue T, Aoki T, Liu E, Fan J. 2010. High fat diet without excess calories induces metabolic disorders and enhances atherosclerosis in rabbits. Atherosclerosis 213: 148-155. 

  12. Panchal SK, Poudyal H, Iyer A, Nazer R, Alam MA, Diwan V, Diwan V, Kauter K, Sernia C, Campbell F, Ward L, Gobe G, Fenning A, Brown L. 2011. High carbohydrate, high-fat diet-induced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remodeling in rats. J Cardiovasc Pharm 57: 611-624. 

  13. Park JH, Kim SY, Lee HJ, Kim RY, Park E. 2013. Optimization of Sulgidduk formula supplemented with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juic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od Sci Biotechnol 22: 1105-1111. 

  14. Kim JA, Lee JM. 2004. The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zikia fusiformis with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Culture 19: 200-208. 

  15. Cho DM, Kim DS, Lee DS, Kim HR, Pyeun JH. 1995.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seaweed-2. J Korean Fish Soc 28: 49-59. 

  16. Kim YY, Lee KW, Kim GB, Cho YJ. 2000.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J Korean Fish Soc 33: 393-398. 

  17. Lee HS, Choi MS, Park SH, Kim YJ. 199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fiber supplements for the diabetic patients. (1) Effect of seaweed supplement on the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diabetic symptom control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Korean J Nutr 29: 286-295. 

  1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Standards Codex. http://fse.foodnara.go.kr/residue/RS/jsp/menu_02_01_01.jsp (accessed Dec 2013). 

  19. Lee GD, Kim JO, Kim MS, Lee KP. 2006.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n functional beverage. Korean J Food Preserv 13: 154-160. 

  20. Jun NY.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acksulgi by containing various seaweeds. M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21. Reed Mariculture Inc. http://www.reedmariculture.com/product_instant_algae_tw_1200.php (accessed Jan 2004). 

  22. Lee HS, Kyung KH, Yoo YJ, Park SA. 1988. A microbiological investigation of omija (Schizandra chinesis Baillon) tea spoilage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Sci 4: 41-47. 

  23. Kasaha H. 1980. Physiological action of alginic acid. New Food Industry 22: 30-39. 

  24. Ha MH, Park WP, Lee SC, Choi SG, Cho SH. 2006.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Prunus mune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3: 198-2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