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미 및 수수 첨가에 따른 생면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효과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et Noodles Supplemented with Brown Rice and Sorghum Powde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4, 2014년, pp.530 - 536  

성리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신정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길정하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밀가루에 현미가루와 수수가루의 비율을 달리하여 혼합하고 1회 죽염 2%를 첨가하여 3가지의 생면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밀가루와 정제염으로 만든 생면과 품질특성 및 in vitro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품질특성 중 중량, 수분흡수율, 탁도는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첨가한 WBSN-b가 39.5 g, 97.4%, 0.62로 나타나 밀가루로 제조한 WN-p 측정 결과인 38.5 g, 92.5%, 0.59와 유사하였다. 탄력성은 WN-p(73.5%)와 WBSN-b(68.3%)에서 높았으며, 다음으로 WBN-b, WSN-b의 순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WBSN-b가 6.4점으로 가장 높았고, WSN-b, WBN-b, WN-p는 6.1, 5.3, 5.3점이었다. 생면의 pH는 WBN-b는 7.4, WBSN-b는 7.5, WSN-b는 7.5, WN-p는 6.6로 1회 죽염과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첨가한 생면이 pH가 높게 나타났다. DPPH free radical 및 hydroxy radical 소거 효과에서는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10%씩 혼합한 생면 WBSN-b와 수수가루 20%를 혼합한 WSN-b가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각각 10%씩 그리고 1회 죽염 2%를 첨가한 생면이 밀가루로 제조한 생면의 품질특성에 가장 근접하였고, 기호면과 항산화 효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et noodles fortified by adding brown rice and sorghum powders. Wet noodl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N-p (wheat flour 100%, purified salt 2%), WBN-b (wheat flour 80%, brown rice powder 20%, bamboo salt (${\times}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Lee 등(21)의 결과를 바탕으로 약리작용과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한 현미와 수수가루와 1회 죽염을 첨가한 생면을 제조하였다. 이 면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밀가루로 만든 생면과 비슷한 질감과 탄력을 가진 면을 개발하고, 항산화성을 평가하여 건강식품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한 생면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수란? 국수는 곡물을 분쇄하여 반죽한 것을 가늘고 길게 뽑은 식품을 총칭하는 것으로 간편식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1). 국내 면 시장은 웰빙과 건강, 가공식품의 안전성이 집중 부각되면서 건강 콘셉트의 제품들에서 생면, 건면 및 냉동면 등으로 계속 진화되고 있다(2).
현미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은? 현미(brown rice)는 백미에 비해 2배 높은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고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을 비롯해 지방, 칼슘, 인, 나트륨, 철분 등의 무기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관심이 많은 현대인들에게 많이 이용되며, 최근에는 현미를 이용한 가공식품의 생산 및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8-10). 현미에는 혈압강하, 뇌기능개선, 면역력 증강 등의 기능성과 γ-aminobutyric acid, inositol, ferulic acid, arabinoxylan 등의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11-14).
죽염의 영양학적 특징은? 우리나라 전통 건강 소금으로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에서 소화불량이나 상처 치료에 사용해 온 죽염(bamboo salt)은 대나무 통에 천일염을 넣고 진흙으로 봉하여 800~1,200°C 이상에서 1회에서 9회까지 구워서 만들어진다(18). 일반 소금과 달리 인체에 필요한 무기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칼륨, 칼슘, 철, 마그네슘 등의 풍부한 천연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18). 죽염은 살균 효과, 위염, 위궤양, 소화기계 질환에 대한 효과와 외상치료 및 해독작용에 대한 효과, 암 예방 등에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9,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Yun SS. 1991. History of noodle culture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6: 85-94. 

  2. Jeong CH, Shim KH, Bae YI, Choi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freeze dried garlic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69-1374. 

  3. Hong YM, Kim JS, Kim DW, Kim WJ. 2003. Effect of whole soy flour on the properties of wet noodle. Korean J Food & Nutr 16: 417-422. 

  4. Kong S, Lee 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GABA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odle prepar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274-280. 

  5. Kim YS. 1998. Quality of wet noodle prepared with wheat flour and mushroom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73-1380. 

  6. Kim YA. 2002. Effect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32-636. 

  7. Park JH, Kim YO, Kug YI, Cho DB, Choi HK. 2003.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noodle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21-1025. 

  8. Juliano BO, Bechtel DB. 1985. The rice grain and its gross composition.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 Inc., St. Paul, MN, USA. p 17-18. 

  9. Kim SK, Cheigh HS. 1979. Radical distribution of calcium, phosphorus, iron, thiamine and riboflavin in the degermed brown rice kernel. Korean J Food Sci Technol 11: 122-125. 

  10. Song BH, Kim DY, Kim SK, Kim YD, Choi KS. 1988. Distribution of protein, fat, and ash within the degermed brown rice kenel. J Korean Agric Chem Soc 31: 1-6. 

  11. Barnick M, Szafranska I. 1987. Changes in phytate content and phytase activity during the germination of some cereals. J Life Science 5: 23-28. 

  12. Choi JH.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sprouted brown rice flou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323-328. 

  13. Kum JS, Choi BK, Lee HY, Park JD, Park HJ. 2004.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Presrv 11: 182-188. 

  14. Nakagawa K, Onota A. 1996. Accumul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in the rice germ. Food Processing 31:43-46. 

  15. Hahn DH, Rooney LW, Earp CF. 1984. Tannin and phenols of sorghum. Cereal Foods World 29: 776-779. 

  16. Awika JM, Rooney LW. 2004. Sorghum phytochemicals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human health. Phytochemistry 65: 1199-1221. 

  17. Lee YT. 2006. Effect of heat treatments on in vitro starch hydrolysis of selected g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102-1105. 

  18. Kim YH, Ryu HI. 2003. Elements in a bamboo salt and comparison of its elemental contents with those in other salts. Yakhak Hoeji 47: 135-141. 

  19. Sohn WS, Yoo YC, Kim CY. 1991. The effect of NaCl and bamboo salt on the growth of various oral bacteria. J Korean Acad Dental Health 15: 255-268. 

  20. Zhao X, Song JL, Lee JH, Kim SY, Park KY. 2010. Antioxidation and cancer cell (HT-29) antiproliferation effects Rubus coreanus Miquel bamboo salt. Cancer Prevention Research 15: 306-312. 

  21. Lee JM, Kim SY, Park KY. 2011. Effects of different kinds of salt on the quality of wet nood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776-1780. 

  22. Kim BK, Park JE, Zu GU. 2011. Effects of semolina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rice noodles. Food Eng Prog 15: 56-63. 

  23. Jeong CH, Kim JH, Cho JR, Ahn CG, Shim K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dded with Korean paprik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779-784. 

  24. Shin WS, Shin ES, Lyu ES. 2009. Optimization of wet noodle with onion juic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31-38. 

  25. Kim SM, Kim EJ. 2009. Development of chicken breast noodles adding Rubus coreanum Miquel and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111-1117. 

  26. Jo JC. 1999. Cooking quality of noodle affected by NaCl. Korean J Cul Res 5: 471-483. 

  2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8. Chung SK, Osawa T, Kawakishi S. 1997. Hydroxyl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spices and scavengers from brown mustard (Brassica nigra). Biosci Biotechnol Biochem 61:118-123. 

  29. Hwang IG, Kim HY, Hwang Y, Jeong HS, Yoo SM.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combined with Cheongyang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860-866. 

  30. Jo YG, Kim JE.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fter addition of grape-peel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822-828. 

  31. Min SH, Shin S, Won M. 2010. Characteristics of noodles with added Polygonati odoratum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524-530. 

  32. Lee JH, Shim JY. 2006.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dough and noodles added with onion juice. Food Eng Prog 10: 54-59. 

  33. Lee HA, Nam ES, Park SI. 2003.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antimicrobial activity and shelf-life of wet noodle. Korean J Food Culture 18: 428-436. 

  34. Lee SY, Hur HS, Song JC, Park NK, Chung WK, Nam JH, Chang HG. 1997. Comparison of noodle-relate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mported wh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4-45. 

  35. Chae SG. 2007. Standard food chemistry. Hyoil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50-485. 

  36. Lee CH, Park SH. 1982. Studies on the texture describing terms of Korean. J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1-29. 

  37. Lee WJ, Jung JK.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of noodles from brown rice flour and colored rice flour. Korean J Culinary Research 8: 267-278. 

  38. Na GS, Lee SK, Kim SY. 2007. Antioxidative effe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rice cultivated by organic farming and ordinary farming.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36-41. 

  39. Hyun HE, Lee EH, Noh JS, Song YO. 2011. Mass production process for flour noodles containing perilla leaves and their antioxidant effe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88-1693. 

  40. Zhao X, Jung OS, Park KY. 2012. Alkaline and antioxidant effects of bamboo sal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301-13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