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취반용으로 적합한 삼광, 미소미, 친들, 현품 발아현미의 취반 및 식감특성을 조사함으로써 발아현미밥의 우수성 및 이용 가능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1. 발아함에 따라 수침 수분흡수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2. 취반에 따른 수분흡수율, 부피팽창율 및 용출고형분 함량은 품종간 큰 차이를 보였으며, 발아함에 따라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발아에 따라 취반특성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3. 발아현미밥은 현미밥과 비교하여 경도와 부착성이 낮았고 탄력성과 찰기는 높았다. 밥의 식감특성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 부착성/경도 비율은 실험에 사용된 모든 품종에서 증가하였으며, 이는 현미의 거칠고 딱딱한 식감이 발아에 의해 부드럽고 차진 식감으로 전환되었음을 의미한다. 4. 현미의 호화점도는 발아에 의해 급격하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현미 혹은 전분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체(protein body)가 발아과정에서 활성화된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5. 전분특성(아밀로스 함량, 아밀로펙틴 분자사슬분포)은 발아에 따른 변화가 매우 작았을 뿐만 아니라 일괄된 변화양상도 관찰할 수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삼광을 대비로 분석한 결과 신품종(친들, 미소미, 현품)은 모두 발아가 현미의 취반 및 식감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금후 발아현미 가공용 적합품종으로 보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가 발아현미, 나아가서 쌀의 이용 및 소비 촉진에 이바지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rminated brown rice (GBR)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over the last decade as a means of enhancing the nutritional value and health-promoting functions of rice. The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brown rice (BR) was investigated in different rice v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미의 구성 요소와 그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현미(brown rice)는 벼(rough rice)의 왕겨부분을 제거하는 제현과정을 통해 얻어진다. 현미는 미강(bran, 6%), 배(enbryo, 2%) 및 배유(endosperm, 92%)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정을 통하여 미강과 배를 제거하면 백미(polished rice)가 얻어진다. 식이섬유, 기능성 지질, 비타민, 피토스테롤, 페놀산, 감마 오리자놀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분은 쌀의 미강과 배에 주로 존재한다.
쌀은 무엇인가? 쌀은 밀, 옥수수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 및 소비되는 곡물로 세계 인구 60억 중 약 27억 이상이 주식으로 이용하고 있는 중요한 식량 작물이다(Juliano, 1985). 옥수수나 밀과 대조적으로 쌀은 80%이상이 사람에 의해서 소비되며, 동물 사료로 이용되는 경우는 드물다(Müller-Fischer, 2013).
종자에서 뿌리와 싹이 나오는 과정 3단계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2010)은 발아를 세단계로 구분하였다. 첫번째 단계는 씨앗이 휴면타파를 위해 필요한 수분을 흡수하는 단계이다. 두번째 단계는 물을 흡수하여 단백질 합성, DNA 및 미토콘드라아의 합성 및 수복, 효소 활성화와 같은 다양한 생리현상들이 시작되는 단계이다. 세번째 단계는 세포의 확장과 분열을 통하여 뿌리 및 싹이 성장하는 단계이다. 발아동안에는 일어나는 다양한 생리현상은 천연 고분자 화합물의 분해 및 기능성 물질의 합성을 유도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Bhattacharya, K. R. and C. M. Sowbhagya. 1971. Water uptake by rice during cooking. Cereal Sci. Today. 16(12) : 420-424. 

  2. Champagne, E. T., W. E. Marshall, and W. R. Goynes. 1990. Effects of degree of milling and lipid removal on starch gelatinization in the brown rice kernel. Cereal Chem. 67 : 570-574. 

  3. Cho, D. H. and S. T. Lim. 2016. Germinated brown rice and its bio-functional compounds. Food Chem. 196 : 259-271. 

  4. Desikachar, H. S. R., S. N. Raghavendra Rao, and T. K. Ananthachar. 1965. Effect of degree of milling on water absorption of rice during cooking. J. Food Sci. Tech. 2 : 110-112. 

  5. Eliasson, A. C. (Ed.). 2004. Starch in food: Structure, function and applications. CRC Press. 

  6. FAO. 2013. FAO rice market monitor. . Accessed 19.04.17 

  7. Fincher, G. B. 1989.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associated with endosperm mobilization in germinating cereal grains. Annu. Rev. Plant Biol. 40 : 305-346. 

  8. Juliano, B.O. 1985.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B.O. Juliano,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St. Paul, Minnesota, USA. 

  9. Kang, K-J. and I-H. Lho. 1998. Hydration and hot-water solubilization of milled rice during coo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 502-508. 

  10. Khatoon, S. and A. G. Gopalakrishna. 2004. Fat-soluble nutraceutical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elected Indian rice varieties. J. Am. Oil Chem. Soc. 81 : 939-943. 

  11. Kim, Y. S., Y. T. Lee, and H. M. Seoi. 199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from waxy and non-waxy hull-less barleys. J. Korean Soc. Appl. Bi. 42 : 240-245. 

  12. Kim, R-Y., C-S. Kim, and H-I. Kim.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n-waxy rice flour affected by grinding methods and steeping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 1076-1083. 

  13. Kim, D. J., S. K. Oh, J. H. Lee, M. R. Yoon, I. S. Choi, D. H. Lee, and Y. G. Kim. 2012. Changes in quality properties of brown rice after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 300-305. 

  14. Kim, H. W., S. K. Oh, D. J. Kim, M. R. Yoon, J. H. Lee, I. S. Choi, Y. G. Kim, and K. N. Cha. 2012. Changes in content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eating quality of brown rice by pericarp milling. Korean J. Crop Sci. 57 : 35-40. 

  15. Kim, J-Y. and S-H. Baek. 2012. Hydration and cooking properties of brown rice scratched with a knife.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 722-727. 

  16. Kowittaya, C. and N. Lumdubwong. 2014. Molecular weight, chain profile of rice amylopectin and starch pasting properties. Carbohyd. Polym. 108 : 216-223. 

  17. Lee, M-J., Y-K. Kim, J-W. Seo, J-G. Kim, and H-S. Kim. 2009. Cooking and pasting characteristics of non-waxy and waxy pearled barley products from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6 : 661-668. 

  18. Lee, K-H., S-D. Yoon, J-H. Lee, Y-J. Won, I. Choi, H-Y. Park, K-S. Woo, and S-K. Oh. 2016. Studies o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mylopectin and texture analysis test of brown rice after germination. Korean J. Crop Sci. 61 : 1-8. 

  19. Medcalf, D. G. and K. A. Gilles. 1965. Wheat starches. I.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Cereal Chem. 42 : 558-568. 

  20. Moongngarm, A. and N. Saetung. 2010.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bioactive compounds of germinated rough rice and brown rice. Food Chem. 122 : 782-788. 

  21. Moongngarm, A. 2011. Influence of germination conditions on starch,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scopic structure of rice flou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logy, Environment and Chemistry. 1 : 78-82. 

  22. Muller-Fischer, N. 2013. Agricultural sustainability. In G. S. Bhullar and N. K. Bhullar (Eds.), Nutrient-focused processing of rice (pp. 197-220). London: Elsevier Inc. 

  23. Nakamura, S., K. Suzuki, and K. Ohtsubo. 2009. Characteristics of bread prepared from wheat flours blended with various kinds of newly developed rice flours. J. Food Sci. 74 : E121-E130. 

  24. Nishinari, K. 2004. Rheology, food texture and mastication. J. Texture Stud. 35 : 113-124. 

  25. Nonogaki, H., G. W. Bassel, and J. D. Bewley. 2010. Germination-still a mystery. Plant Sci. 179 : 574-581. 

  26. Oh, S-K., D-J. Kim, A. Cheun, M-R. Yoon, H-C. Hong, I-S. Choi, Y-J. Oh, K-B. Oh, and Y-K. Kim. 2010. Quality evaluation of Juanbyeo as Aseptic-packaged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 721-726. 

  27. Oh, S-K., J-H. Lee, M-R. Yoon, D-J. Kim, D-H. Lee, I-S. Choi, J-S. Lee, I-H. Kim, and J-S. Lee. 2012.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 963-969. 

  28. Oh, S-K., J-H. Lee, Y-J Won, D-H. Lee, and C-K. Kim. 2014.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shoot length in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Crop Sci. 59 : 223-229. 

  29. Ohtsubo, K., K. Suzuki, Y. Yasui, and K. Kasumi. 2005. Biofunctional components in the processed pre-germinated brown rice by a twin-screw extruder. J. Food Comp. Anal. 18 : 303-316. 

  30. Okabe, M. 1979. Texture measurement of cooked rice and its relationship to the eating quality. J. Texture Stud. 10 : 131-152. 

  31. Ong, M. H. and J. M. V. Blanchard. 1995. Texture determinants in cooked, parboiled rice. I: Rice starch amylose and the fine stucture of amylopectin. J. Cereal Sci. 21 : 251-260. 

  32. Palmiano, E. P. and O. J. Juliano. 1972. Biochemical changes in the rice grain during germination. Plant Physiol. 49 : 751-756. 

  33. Park, J-W., S. Chae, and S. Yoon. 2009. The effects of steeping and cooking pressure on qualities of cooked brown rice. Korea J. Food Culture. 24 : 69-76. 

  34. Park, H-Y., D-S. Shin, K-S. Woo, E-Y. Sim, H-J. Kim, S-K. Lee, Y-J. Won, S-B. Lee, and S-K. Oh. 2016. Mechanical quality evaluation of rice cultivars that could potentially be used to produce processed cooked rice. Korean J. Crop Sci. 61 : 145-152. 

  35. Pinkaew, H., M. Thongngam, Y. J. Wang, and O. Naivikul. 2016. Isolated rice starch fine structures and pasting properties changes during pre-germination of three Thai paddy (Oryza sativa L.) cultivars. J. Cereal Sci. 70 : 116-122. 

  36. Reddy, K. R., S. Z. Ali, and K. R. Bhattacharya. 1993. The fine structure of rice-starch amylopectin and its relation to the texture of cooked rice. Carbohydrate polym. 22 : 267-275. 

  37. Roy, P., T. Ijiri, H. Okadome, D. Nei, T. Orikasa, N. Nakamura, and T. Shiina. 2008. Effect of processing conditions on overall energy consumption and quality of rice (Oryza sativa L.). J. Food Eng. 89 : 343-348. 

  38. Shin, D-S., H-Y. Kim, H-C. Hong, S-G. Oh, and S-M. Yoo. 2014. The effects on the quality of Tteokbokki tteok by different types cultivars of Rice. Korean J. Food Cook. Sci. 30 : 271-277. 

  39. Srisang, N., S. Prachayawarakorn, W. Varanyanond, and S. Soponronnarit. 2010. Germinated brown rice drying by hot air fluidization technique. Dry. Technol. 29 : 55-63. 

  40. Srisang, N., W. Varanyanond, S. Soponronnarit, and S. Prachayawarakorn. 2011. Effects of heating media and operating conditions on drying kinetics and quality of germinated brown rice. J. Food Eng. 107 : 385-392. 

  41. Tester, R. F., J. Karkalas, and X. Qi. 2004. Starch-composition, fine structure and architecture. J. Cereal Sci. 39 : 151-165. 

  42. Wakabayashi, K., K. Soga, and T. Hoson. 2012. Phenylalanine ammonia-lyase and cell wall peroxidase are cooperatively involved in the extensive formation of ferulate network in cell walls of developing rice shoots. J. Plant Physiol. 169 : 262-267. 

  43. Watanabe, M., T. Maeda, K. Tsukahara, H. Kayahara, and N. Morita. 2004. Application of pregerminated brown rice for breadmaking. Cereal Chem. 81 : 450-455. 

  44. Xie, L., N. Chen, B. Duan, Z. Zhu, and X. Liao. 2008. Impact of proteins on pasting and cooking properties of waxy and non-waxy rice. J. Cereal Sci. 47 : 372-379. 

  45. Xu, J., H. Zhang, X. Guo, and H. Qian. 2012. The impact of germin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flour and starch. J. Sci. Food. Agr. 92 : 380-387. 

  46. You, S-Y., E-J. Lee, and H-J. Chung. 2014. Study of molecular and crystalline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starch with varying amylose cont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 682-688. 

  47. Yoon, M-R., J-S. Lee, J-H. Lee, J. Kwak, A. Chun, Y-J. Won, and B-K. Kim. 2014. Comparison of textural properties in various types of brown rice. Korean J. Food & Nutr. 27 : 294-3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