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반염건 민어는 특유의 육조직, 맛 및 영양가가 우수하여 국내에서 아주 선호되고 있는 수산가공품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수산가공품의 하나인 반염건 민어를 지역명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시판 반염건 민어의 위생학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시판 반염건 민어의 생균수 및 대장균은 각각 4.2~8.3 log(CFU/g) 및 18>~4.6 log(MPN/100 g)이었다. 또한 시판 반염건 민어의 수분 함량은 64.2~77.1% 범위, 염도는 2.1~9.5% 범위,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14.1~58.1 mg/100 g 범위, 과산화물값은 19.1~107.2 meq/kg 범위였다. 이상의 반염건 민어에 대한 미생물학적 및 화학적 결과에 의하면 지역 명품 반염건 민어를 가공 및 유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적절한 품질 규격[원료는 모두 국산, 수분 함량은 65% 이하, 염도는 2~3% 범위, 휘발성염기질소 함량 50 mg% 이하, 생균수 및 대장균은 각각 6 log(CFU/g) 이하 및 음성]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lted semi-dried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has been proposed as a palatable seafood in Korea due to its specific texture, taste, and nutritional cont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sanitary quality of commercial salted semi-dried brown croaker for the development of high qu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염건 민어는 특유의 육조직, 맛 및 영양가가 우수하여 국내에서 아주 선호되고 있는 수산가공품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수산가공품의 하나인 반염건 민어를 지역 명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시판 반염건 민어의 위생학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시판 반염건 민어의 생균수 및 대장균은 각각 4.
  • 본 연구에서는 전통수산가공품의 하나인 반염건 민어를 지역 명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시판 반염건 민어의 위생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외에서 어획 및 양식되고 있는 민어는 어떻게 소비되고 있는가? 민어의 지역별 생산 비율은 전라남도에서 61%, 경상남도에서 17% 및 제주특별자치도를 위시한 기타 지역에서 23%로 이루어지고 있는데(1), 이들의 대부분은 자연산이며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미량만이 양식산이다. 이와 같이 국내외에서 어획 및 양식되고 있는 민어는 대부분이 활어의 경우 횟감으로 이용되나 동결어의 경우 반염건품으로 소비되고 있다.
민어의 전기영동 분석을 위한 시료 제조 방법은 무엇인가? 전체 민어 근육을 분쇄한 다음 이의 0.5 g에 2 mL의 2%(v/v) β-mercaptoethanol과 2%(w/v) sodium dodecyl sulfate(SDS)를 함유하는 8 M urea 혼합용액을 가하여 근육 단백질을 완전히 용해하였다. 이어서 이를 원심분리(3,000×g, 20 min) 한 후 상층액 400 μL와 전기영동용 sample buffer(62.5 mM Tris-HCl, pH 6.8) 100 μL를 혼합하고 가열(100°C, 5분)하여 전기영동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반염건 민어는 어떤 유통 전 어떤 전처리 과정을 거치는가? 그러나 반염건 민어는 최근에 제수용뿐만 아니라 그 맛으로 인하여 부식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반염건 민어는 동결 민어를 해동한 다음 butterfly type(배를 완전히 두 쪽으로 가르고 내장과 아가미를 제거한 형태) 또는 drawn type(배를 약간만 절개하여 내장과 아가미를 제거한 형태)으로 전처리 및 염지처리하고 천일건조한 후 재래식 시장을 통하여 전국적으로 유통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 and Suhyup Publishing Co. 2000. A comprehensive bibliography on the fishery special commodity in Korea. Suhyup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42-147. 

  2. Chung JR, Kim SI, Lee MC. 1976. Irradiation preservation of Korean fish. I. Radurization of croaker, yellow corvenia and roundnose flounder. Bull Korean Fish Soc 9: 129-142. 

  3. Yoon HS, Seo DC, An YK, Choi SD. 2006. Seasonal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nd elasticity between wild and cultured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Korean J Environ Biol 24: 179-185. 

  4. Kinoshita M, Toyohara H, Shimizu Y. 1990. Diverse distribution of four distinct types of Modori (gel degradation)- inducing proteinases among fish spices. Nippon Suisan Gakkaishi 56: 1485-1492. 

  5. Joo DS. 2011. Changes in quality of salted and dried browncroaker product prepared with deep seawater sal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35-244. 

  6.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69-74. 

  7. Ministry of Social Welfare of Japan. 1960. Guide to Experiment of Sanitary Infection. III. Volatile basic nitrogen. Kenpakusha, Tokyo, Japan. p 30-32. 

  8. Bligh EG,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 911-917. 

  9. AOCS. 1990. AOCS official method Ce 1b-89. In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 of the AOCS. 4th ed. AOCS, Champaign, IL, USA. 

  10. APHA. 1970.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bacteriological examination of sea water and shellfish. 4th ed. The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USA. p 28-47. 

  11. Laemmli VK. 1970. Cleavage of structural proteins during the assembly of the head of bacteriophage T4. Nature 227:680-685. 

  12. Starky PM. 1977. Elastase and cathepsin G: the serine proteinases of human neutrophil leucocytes and spleen. In Proteinases in Mammalian Cells and Tissues. Barrett AJ, ed. North-Holland Publishing Co., Amsterdam, Netherlands. p 57-89. 

  13. Erlanger BF, Edel F, Cooper AG. 1966. The action of chymotrypsin on two new chromogenic substrates. Arch Biochem Biophys 155: 206-210. 

  14. Erlanger BF, Kokowsky N, Cohen W. 1961. The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two new chromogenic substrates of trypsin. Arch Biochem Biophys 95: 271-278. 

  15. Heu MS, Ahn SH. 1999. Development and fractionation of proteolytic enzymes from an inedible seafood product. J Korean Fish Soc 32: 458-465. 

  16. Park YH, Chang DS, Kim SB. 1995.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seafoods. Hyungsul Publishing Co., Seoul, Korea. p 73-79, 685-725. 

  17. National Fisheries Products Quality Administration Service. 2013. http://www.nfqs.go.kr/2013/contents.asp?m5&s4&s22&fnmsub_5_4_2_a&id1359&gubun05&currPage2&searchFlagN&sortWhatID&sortHowDESC&stat_gubun00&sItem&sStr. 

  18. Kim JS, Kim HS, Heu MS. 2006. Introductory foods. Hyoil Publishing Co., Seoul, Korea. p 84-91. 

  19. Yoon MS, Kim HJ, Park KH, Park JY, Lee JS, Jeon YJ, Son HJ, Heu MS, Kim JS. 2009. Food quality characterizations of commercial salted mackerel. J Korean Fish Soc 42: 123-130. 

  20. Korea Standard Association. 2006.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H 6029. KS H 6036.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Seoul, Korea. 

  21. Yoon MS, Kim HJ, Park KH, Shin JH, Jung IK, Heu MS, Kim JS. 2009. Biogenic amine content and hygienic quality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Kwamegi. Kor J Fish Aquat Sci 42: 403-410. 

  22. Seki N. 1977. Myofibrillar protein of fish. In Fish Protein. Koseisa-Koseigaku, Tokyo, Japan. p 7-20. 

  23. Pyeun JH, Lee DS, Kim DS, Heu MS. 1996. Activity screening of the proteolytic enzymes responsible for post-mortem degradation of fish tissues. J Korean Fish Soc 29: 296-308. 

  24. Okitani A, Matsukura U, Kato H, Fujimaki M. 1980.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a myofibrillar protein-degrading protease, cathepsin L, from rabbit skeletal muscle. J Biochem 87: 1133-1143. 

  25. Matsukura U, Okitani A, Nishimuro T, Kato H. 1981. Mode of degradation of myofibrillar proteins by an endogenous protease, cathepsin L. Biochem Biophys Acta 662: 41-47. 

  26. Bonete MJ, Manjon A, Llorca F, Iborre JL. 1984. Acid proteinase activity in fish-I. Comparative study of extraction of cathepsins B and D from Mujil auratus. Comp Biochem Physiol 78: 203-2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