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북여성들의 남한사회에서의 차별 경험과 트라우마 경험의 재현에 관한 탐색적 연구
North-Korean-Refugee Women'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 and Reemergence of Trauma Experien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5, 2014년, pp.117 - 131  

성정현 (협성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탈북여성들이 남한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남한에서의 부정적 경험으로 그들이 갖고 있는 트라우마의 재현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경험하는 5명의 탈북여성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과 서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참여자들은 굶주림, 투옥, (성)폭력, 인신매매, 가족관계의 단절, 죽음의 목격 등 극단적 사건을 경험하였으며, 이로 인해 과거 기억의 회상과 회피, 악몽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외상후 스트레스를 겪는 상황에서 이들은 남한에서 차별과 부당한 대우, 낙인, 적과의 동침 상황, 끝나지 않는 빈곤, 용서불가, 그리고 자살의도 등과 같은 트라우마 경험의 재현을 겪고 있었다. 이런 트라우마 경험의 재현 경험으로 인해 연구 참여자들은 남한 입국에 대한 후회와 분노,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 철회와 무희망 등의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부정적 정서의 근간에는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과 편견이 자리 잡고 있어 이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사회적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취업 및 고용지속을 위한 장기적인 서비스 등을 위해 지역사회복지관이나 민간기관과의 연계망을 확보하고, PTSD 및 그 외상경험의 재현에 대한 사례관리를 해야 할 필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experience of trauma caused by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stigma from South Korean. For this purpose of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 methods are used. The participants are five women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and they were from 20s to 50s. From the out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 8월 기준 북한이탈주민은 몇 명인가? 통일부(2013)에 따르면, 2001년도 이후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한 북한이탈주민은 2013년 8월 현재 약 25,560명에 이르고 있다. 성별을 보면, 1998년도까지는 여성의 비율이 약 12%에 머물렀으나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탈북자 중 여성의 비율이 70%에 육박하고 있다[17].
PTSD 증상은 언제 심각하게 나타나는가? PTSD 증상은 다양한 요소 중 특히 사람에 의한 것이고 반복적이며, 다양하게 축적되고, 악의적 의도 등 대인관계에 의해 가해질 때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7]. 이런 PTSD 요인에 비추어볼 때 남한에 입국하여 하나원에 입소하고, 또 지역사회에 정착하고 적응해 나갈 때까지 이들의 생활은 다양한 사회적, 제도적, 환경적 측면과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탈북이주민이 남한에 정착하여 생활하면서 겪는 외상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한 이유는? 남한에서의 사회문화적 환경 역시 이들에게는 매우 낯설고 두려운 경험이 될 수 있다. 배고픔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살기 위해 죽음을 무릎 쓰고 탈북했지만, 이들은 남한에 정착하여 살면서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머물거나 사회문화적으로 고립되는 경험, 그리고 남한의 법제도에 대한 무지로 인한 혼란과 배신감, 북에서의 나쁜 소식 등으로 인해 또 다시 트라우마를 겪고 있으며, 이것은 복합적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원인이 되고 있다[5]. 따라서 탈북과정과 남한에 입국하는 과정에서 겪은 외상과 함께 남한에 정착하여 생활하면서 겪는 외상에 대한 이해와 관심 또한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성록, 탈북자의 외상척도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하위논문, 2000. 

  2. 전우택, 윤덕용, 엄진섭,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생활 실태조사: 2001년도 553명의 탈북자들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통일연구, 제7권, 제1호, pp.155-208, 2003. 

  3. 홍창영,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 조영아, 전우택, 유시은, 엄진섭,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년 추적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2권, pp.467-484, 2005. 

  5. 김병창,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 정신건강정책포럼, 제4권, pp.4-37, 2010. 

  6. 김연희, 전우택, 조영아,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문제 유병율과 영향요인: 2007년 입구자를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제19권, 제2호, pp.141-174, 2010. 

  7. 박철옥, 안현의, "새터민의 대인관계적 외상겅험, 용서, 경험회피와 외상후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제10권, 제4호, pp.1891-1906, 2009. 

  8. 강혜성, 북한이탈여성의 남한사회 초기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9.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북한이탈주민 생활실태조사 기본분석보고서, 2011. 

  10. 김성종,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을 위한 협력적거버넌스 구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311-321, 2012. 

  11. 신수문,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 정책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2. 서주연,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3. 윤인진,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과 사회통합", 한국사회학회, 2006. 

  14. 김재엽, 최지현, 류원정, "PTSD가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사회적 교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4호, pp.343-367, 2012. 

  15. 정길호,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연계협력체계 구축방향",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2009. 

  16. 임정빈, "북한이탈주민 정착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및 이해관계자 분석", 한국정책연구, 제12권, 제2호, pp.249-272, 2012. 

  17. 통일부, 북한이탈주민현황, 2013. 

  18. 정윤태, 김원철, 김학만, "북한이탈주민 정착을 위한 민간지원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서비스전달체계 분석틀에 근거하여", 한국정책연구, 제12권, 제1호, pp.185-201, 2012. 

  19. 임목옥,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충격적 사건에 대한 공포감과 재경험, 2006. http://boog,naver,com 

  20. 최남희, "재난피해자 사후 지원: 재난피해자의 사후 복귀", 한국위기관리논집, 제2권, 제2호, pp.1-18, 2006. 

  21. 김석향, 이은주, "북한여성 연구의 동향과 과제",북한연구학회보, 제16권, 제2호, pp.229-268,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