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마을 당산숲의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방법론 고찰 -청도군 신원리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 설정을 사례로-
Perspectives of methodology for Cultural Contents of Dangsan Forest in Rural Village -Case of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logy' at Sinwon-ri, Cheongdo-gu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5, 2014년, pp.444 - 457  

최재웅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동엽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이상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백 년 전부터 농촌마을 주민들이 조성해 온 전통마을숲인 당산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이며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이제 문화콘텐츠는 지역성과 세계성을 같이 갖추어야 하며, 한국 고유의 글로컬문화콘텐츠 생산이 필요한 시점이다. 문화유산은 진정성 유지와 함께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갖추어야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현재 많은 당산숲이 방치되거나 소멸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청도군 신원리의 4개 자연마을은 당산숲을 보호, 관리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당산제를 지낸다. 이 연구는 신원리 4개 마을의 당산숲 비보숲과 이것에 연결되어 있는 농경지, 하천을 포함하여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제도적 관리체계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은 한국 농촌이 갖고 있는 글로컬문화콘텐츠로서, 국가문화자산인 당산숲의 위상을 제고하고 농촌마을 활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ngsan forests are traditional village forest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by local residents. They represent unique cultural landscape of Korea with a history of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It is necessary for a cultural contents to have locality and globality so as to represent Korea. Cult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촌경관인 당산숲에 대한 문화콘텐츠로서의 가치 부여를 위해 특히, EU의 공동농업정책 중 ‘생태보호구역’설정의 내용을 국내에 응용하고자 하였고, 한국 농림축산식품부의 ‘다원적자원 관리 지역’지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현재 당산숲이 가진 가치와는 상관없이 보호 받지 못한 채 방치, 훼손되거나 소멸 위기를 맞고 있는 곳이 많이 있다. 이 연구는 청도군 신원리 4개 마을에 소재된 작은 규모의 당산숲을 농경지와 연계된 관리체계로 발전시켜 문화콘텐츠화를 시도하였다.전통 생활문화인 당산제가 유지되고 있는 청도군 신원리 4개 마을 당산숲ㆍ비보숲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것에 연결되어 있는 농경지, 하천을 포함한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제도적 관리체계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 신원리 당산숲에 대한 가치화 과정,가치의 재창조는, EU의 ‘생태보호구역’, 한국 농림축산식품부의 ‘다원적자원 관리지역’에 선정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대상지로서의 당산숲 위상을 논한 것이다.
  • 현재, 규모가 큰 일부 당산숲은 문화재청에 의해 천연기념물 등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규모가 작거나 알려지지 않은 많은 당산숲은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방치, 훼손되거나 소멸될 위기에 놓여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작은 규모의 당산숲을 대상으로 농경지와 연계된 관리체계를 고찰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마을 당산숲의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방법을 찾고자 하는 것으로서, 당산숲을 유지, 관리하고 있는 청도군 신원리 4개 마을의 당산숲ㆍ비보숲과 여기에 연결되어 있는 농경지, 하천을 엮어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관리체계의 제도화를 시도하였다.
  • 이 연구는 당산숲의 지속가능한 보전,관리를 위해서는 당산숲의 ‘문화콘텐츠화’를 통한 위상ㆍ가치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그 수단으로서 ‘당산숲에 대한 제도적 관리체계 부여’라는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생태문화유산의 문화콘텐츠화를 통해 제도적인 관리체계 구축 및 가치를 제고시키고 있는 국내외 노력, 추진 사례를 고찰하고[11][27-29], 고찰 결과를 이 연구 조사대상지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 전통 생활문화인 당산제가 유지되고 있는 청도군 신원리 4개 마을 당산숲ㆍ비보숲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것에 연결되어 있는 농경지, 하천을 포함한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제도적 관리체계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 조사대상지는 당산제를 지내는 마을로서, 당산제를 지내는 마을주민 외에는 누구에게도 의미, 가치가 인식되지 않고 있는 곳을 선정하여 그 의미를 부각시킬 수 있는 마을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2013년 초부터 우선 영남지역을 대상으로 이러한 마을을 발굴하고자 하였는데, 경북 청도군에 대한 당산숲 현황조사시 많은 마을에서 당산제가 폐지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운문면 신원리 4개 마을은 모두 당산제를 지내고 있었으며 물리적 환경도 갖추어져 있어 조사대상지로 선정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으로 무엇이 있는가? 수백 년 전 마을주민들에 의해 조성된 전통마을숲인당산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으로서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농촌마을 주민들이 수 백년 간 대(代)를 이어 보호,관리해 온 당산숲은 당산제(堂山祭)를 통해 실생활에 살아있는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부여받는다[1].
문화유산인 당산숲의 중요성이 논의되는 이유는? 농촌마을 주민들이 수 백년 간 대(代)를 이어 보호,관리해 온 당산숲은 당산제(堂山祭)를 통해 실생활에 살아있는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부여받는다[1].이러한 당산숲은 일제강점기, 6.25사변 등 사회혼란기에 크게 훼손되고, 그 후에도 방치,훼손되어 왔는데, 근래에 여러 전문가들에 의해 그 중요성이 논의되고 있다.대통령자문 농어업ㆍ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농특위)는 전통마을숲을 ‘농촌경관의 핵심경관’으로 규정하였고(2005), 김학범은 “우리의 전통문화를 대변하고 있는 전통마을숲은 자연유산과 문화유산의 특징을 함께 지니고 있는 복합유산으로서 잘 가꾸어져 후손에게 자랑스러운 국가유산으로, 나아가 세계유산으로 길이 보전되어야 한다”고 하였다[2].
무엇 때문에 당산숲이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가지는가? 수백 년 전 마을주민들에 의해 조성된 전통마을숲인당산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으로서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농촌마을 주민들이 수 백년 간 대(代)를 이어 보호,관리해 온 당산숲은 당산제(堂山祭)를 통해 실생활에 살아있는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부여받는다[1].이러한 당산숲은 일제강점기,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최재웅, "농어촌마을의 당산숲 구성요소 및 문화에 관한 고찰", 문화재, 제42권, 제1호, pp.188-209, 2009. 

  2. 김학범, 월간문화재사랑: 복합유산, 마을숲, 제52호, 2009. 

  3. http://www.international.icomos.org/charters/venice_e.htm 

  4. 박치완, "왜 글로컬문화콘텐츠인가?", 인문콘텐츠, 제20호, pp.9-33, 2011. 

  5. 최연구,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살림, 2006. 

  6. 김효정, "한국의 유네스코 자연성지 잠재자원 현황과 특성-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식물유산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492-501, 2012. 

  7. 어정연, "장소가치 개념에서의 플레이스 브랜딩 평가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199-209, 2013. 

  8. 최재웅, 김동엽, "문화콘텐츠로서의 당산숲 인식 증진을 위한 방법론 고찰-당(堂)과 연계시킨 제주도 저지오름 대안 탐방로 모색을 사례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924-934, 2013. 

  9. 이원호, 김재웅, "명승 문화재의 경관자원 발굴을 위한 조망지점 분석-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명승 제59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429-439, 2013. 

  10. 김효영, 박진완, "문화콘텐츠 특수성을 반영한 문화기술(CT)분류체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183-190, 2013. 

  11. UNEP, PARIS DECLARATION ON THE SATOYAMA INITIATIVE, UNEP생물 다양성 협약 14차 회의 보고서, 2010. 

  12. 환경부, 생태 . 경관보전지역 업무지침, 2009. 

  13. 강현경, 방광자, 이승제, 김학범,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논문지, 제22권, 제2호, pp.63-74, 2004. 

  14. 김학범, 장동수, 마을숲-韓國傳統部落의 堂숲과 水口막이-, 열화당, 1994. 

  15. 주강현, 장정룡, 황헌만, 조선땅 마을지킴이, 열화당, 1993. 

  16. 최재웅, 김동엽, "마을숲문화가 있는 농촌 마을숲의 구조 및 보전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제18권, 제3호, pp.51-64, 2000. 

  17. 최원석, 한국의 전통생태학: 한국의 전통적 경관보완론, 사이언스북스, 2004. 

  18.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스토리가 있는 우리마을 당산숲,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011. 

  19.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당산숲 탐방길, 농촌 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2013. 

  20. 최재웅, 김동엽, "농어촌마을 당산숲의 입지 및 구조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7권, 제1호, pp.35-47, 2009. 

  21. 최재웅, 김동엽,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 . 마을숲의 경관생태학적 기능 고찰", 환경정책연구, 제4권, 제2호, pp.31-55, 2005. 

  22. 최재웅, 김동엽, "천연기념물 지정 당산숲 . 비보숲의 명칭 부여 및 지정 물량 실태 고찰", 문화재, 제43권, 제1호, pp.28-55, 2010. 

  23.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부산 구포동 팽나무 명칭 및 유형 변경, 천연기념물분과위원회 제10차 회의내용 및 결과, 2008. 

  24. J. Kwon, "Korean Landscape and MAEULSOO -Ps, the Korean Village Groves, "Proceeding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Traditional Beauty of the Korean Garden as Korean Cultur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47-54, 2012. 

  25. 김상헌, 김나윤,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지식정보체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711-722, 2011. 

  26. 심승구, 문화재 활용을 위한 정책기반 조성연구, 문화전략연구소, 2006. 

  27. http://ec.europa.eu/agriculture/cap-post-2013/index_en.htm 

  28. http://www.international.icomos.org/charters/nara_e.htm 

  29. http://www.unesco.or.kr/heritage/wh/reg_criterion.asp 

  30. http://www.unmunsa.or.kr/home/bbs/oard.php?bo_table01_01 

  31. http://blog.naver.com/poetkjk?RedirectLog&logNo10029799147 

  32. http://www.jbkns.com/news/articlePrint.html?idxno68334 

  33. 최재웅, 김동엽, "부산 '좌수영 성지(左水營城址) '의 진정성(authenticity)회복방안 고찰", 문화재, 제44권, 제1호, pp.138-161, 2011. 

  34. 최재웅, 김동엽, 조록환, 김미희, 안옥선, "당(堂)과 오름을 중심으로 한 제주도 해안 . 중산간마을의 공간 특성 사례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0권, 제2호, pp.101-109, 2012. 

  35. http://www.jemin.com/news/articlePrint.html?idxno328802 

  36. 강경희, 유네스코 제주 세계자연유산마을 성산리: 마을의 안녕.풍요.화합을 기원하는 제의, 제주특별자치도 . (사)제주역사문화진흥원,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