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마을숲 생태계 취약요소 발굴 및 취약성 평가
The Development of Vulnerable Elements and Assessment of Vulnerability of Maeul-soop Ecosystem in Korea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4, 2016년, pp.57 - 65  

임정철 (국립환경과학원) ,  류태복 (국립생태원) ,  안경환 (국립환경과학원) ,  최병기 (동의대학교 분자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을숲은 역사적, 문화적으로 한국 전통 마을경관의 핵심요소이다. 그러나 근대 이후 다양한 영향으로 많은 수의 마을숲이 소실되었거나 쇠퇴되고 있는 실정이다. 역사적, 문화적, 생태적 다양한 보전가치를 가진 마을숲의 체계적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한국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499개의 마을숲에 대하여 구성 식물종 및 서식처, 입지 특성 등을 바탕으로 국내 마을숲에 대한 생태학적 복원 및 지속가능한 이용과 관리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을숲 생태계를 위협하는 대표적인 6가지 범주의 위협요인을 발굴하고 각 요인별 영향력을 평가하였다. 마을숲 생태계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대해 위협요인별 가중치 평가를 AHP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AHP 분석기법을 이용한 평가결과 6가지 범주 가운데 면적 축소가 국내 마을숲의 존립에 가장 큰 위협요인으로 지목되었다. 그 다음으로 지형, 토양환경 변화가 마을숲 생태계를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위협 요인으로 고려되었다. 식생의 구조와 질적 변화는 서식처 변화보다 마을숲 소실 및 쇠퇴에 낮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되었다. 각 요인별 가중치를 바탕으로 100점을 최고점으로 수치를 환산한 평가틀을 이용하여 마을숲에 대한 취약성 평가가 이루어졌다. 국내 마을숲의 취약성 평가결과 가장 빈도 높은 값을 보이는 등급은 III등급이며, 낮은 등급에서 높은 등급으로 정규분포 경향을 보였다. 높은 자연성을 보이는 I등급의 마을숲이 38개소 존재했으며, 취약요인들에 의해 마을숲 존폐를 위협받는 V등급의 마을숲도 10개소 확인되었다. 각 마을숲별 취약성 평가결과에서도 국내 마을숲의 지속가능성 보장을 위해 마을숲 고유의 면적 회복이 최우선 과제로 대두되었다. 국가 중요 생태자원으로서 각각의 취약요소별 국가수준의 생태적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eul-soop(Village forest) is a key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 landscape historically and culturally. However, a number of Maeul-soops have been lost or declined due to various influences since the modern age. For this Maeul-soop that has a variety of conservation values including histo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안계층은 기준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배열하여 각각의 인자가 기준계층에 미치는 영향력을 평가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인자에 대한 가중치 평가도 가능하게 할 수 도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직접 관련요소를 조사하여 즉각적으로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표 개발을 위해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면적축소, 지형의 변형, 토양환경의 변화 등의 항목은 여러 인자 들에 의한 현재의 상태를 직접 조사한 결과 값을 대안계층으로 구성하여 AHP 분석에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마을숲에 대한 생태적 관리의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마을숲 생태계를 취약하게 하는 환경 요소를 발굴하고 그에 대한 취약성(vulnerability)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마을숲 생태계의 지속가능성 보장을 위한 주요 요인들에 대한 현존 분포 양식을 체계화하고 분류함으로써 단위화 할 수 있으며, 마을숲 쇠퇴의 주요 요인을 분석하고 발굴함으로써 각 요인별 속성 값의 등급을 통해 마을숲의 생태적 취약성 평가가 가능하게 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을숲은 어떤 활동 무대로서 주목받고 있는가? 이후 생태계 서비스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관심이 더해져 마을숲은 역사, 문화, 생태적 보전 가치가 높은 우리나라 고유의 독특한 숲문화로 인식되고 있다[7][8]. 이러한 영향 으로 다수의 마을숲은 휴양, 교육, 종교, 연구 등 다양한 활동의 무대로서 주목받고 있다.
마을숲의 특징은? 우리나라 각 지역, 특히 농촌마을 주변에는 마을사람들에게 특정기능과 의미를 가지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형성된 ‘마을숲(Maeul-Soop;MES)'이라는 독특한 형태의 숲이 잔존하고 있다[1][2][3]. 마을 사람들과 밀접한 상호관계를 맺고 있는 ’ 숲(forest)'의 한 유형인 마을숲은 방풍(防風), 보언(洑堰), 풍수비보(風水裨補) 등 다양한 문화적, 생태적 기능을 가지며, 마을사람들에 의해 보호, 관리되어 유지되어 오는 숲이다[2][4].
마을숲의 소실에 대한 대처가 힘들었던 이유는? 특히 근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의한 마을숲의 소실(消失)과 쇠퇴, 집약적 이용에 의한 서식처 교란 등에 대응하기 위한 체계적 보전 및복원과 관리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부 마을숲의 경우 인접마을, 지방자치단체 또는 사회단체 등을 통해 보전 및 복원 활동이 이루어졌으나, 마을숲 원형과 현황에 대한 충분한 기초조사 없이 이루어짐으로써 일률적인 시설물 설치 등이용편이적 복원이 이루어 졌다[13]. 또한 마을숲이 지닌 고유 성과 심원생태학적 가치 1) 가 고려되지 못한 복원이 이루어지면서 마을숲 관리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H. B. and Jang, D. S. (1993). A Study on the Origin of Korea Village Grove mentioned in Ancient Documen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1: 19-31. 

  2. Kim, H. B. and Jang, D. S. (1994). Maulsup. the Korean village grove. Seoul:Youlhwadang. 

  3. Kim, J. W. and Kang, P. K. (2007). Maeulsoop and ChamSari. Daegu:Keimyung University Press. 

  4. Kim. J. W. and Lim, J. C. (2006). A Phytosociological Review of the Forests(Maeul-soop). Keimyung Korean Studies Journal. 33: 81-114. 

  5. Tokumitsu, N. (1938). Choson ui imsu. Chosonch'ongdokpuimopshihomjang. Kyongsongbu:Hammyonghoesa Kunt'aeksangjominswaebu. (德光宣之. 1938. 朝鮮の林藪. 朝鮮總督府林業試驗場. 京城府: 合名會社 近澤商店印刷部.) 

  6. Kim, H. B. (1991). A Study on the Korean village grove. Doctoral thesis of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7. Lee, D. W., Ko, I. S. and Park, C. Y. (2007). Ecosystem Services of Traditional Village Groves in Korea. Seoul: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8. Kim, J. W., Lee. J. E., Lim, J. C. and Hwang, S. Y. (2011). The origin and preservation of relic forest and confucianism in Korea. Acta Koreana. 12: 195-223. 

  9. Jand. D. S., Kim, H. B. and Hwang, J. H. (1996).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Kyungju City Forest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1: 37-49. 

  10. Jang, D. S. and Kim, H. B. (1995). A Study on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and Main Reasons of the Traditional Urban Forest in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3:1-11. 

  11. Kim, H. B., Jang, D. S. and Lee, S. J. (2003). A Study about Improved Plans of Management of Korean Village Grov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1: 90-99. 

  12. Hwang, S. Y. (2011). The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of Historical Forests in Gyeongju. Master Thesis of Kei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13. Kim, H. B., Jang, D. S. and Park, B. J. (2008). A Study on the Course of Restoration of Traditional Village Grov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 42-50. 

  14. Lim, J. C. (2012).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Maeul-Soop in Korea. Doctoral Thesis of Kei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15. Landres P. B., Morgan, P. and Swanson, F. J. (1999). Overview of the use of natural variability concepts in managing ecological systems. Ecological Applications. 9: 1179-1188. 

  16. Lim, J. C. (2008). Plant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Maheul-Soop(Traditional Village Fores). Master Thesis of Kei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17. Kim, S. H. and Choi, J. K. (2007). The Weights Analysis of Evaluation Areas and Items for the Informatization Program by means of the AHP.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23: 123-140. 

  18.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Hill International Book Company. 

  19. Linkov, I., Satterstrom, F. K., Kiker, G., Batchelor, C., Bridges, T. and Ferguson, E. (2006). From comparative risk assessment to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and adaptive management: Recent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Environment International. 32: 1072-1093. 

  20. Kim. Y. M. (1998). A Study on Utilization and Issues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for Group Decision-Making.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15: 215-233. 

  21. Expert choice. (2007). Expert Choice Comparion. Expert Choice Inc. http://expertchoice.com 

  22. Saaty, T. L. (1990)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RWS Publications: Pittsburgh, PA. 

  23. Kim, H. B. and Jang, D. S. (2005). Maeul-soop.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 145-149. 

  24. Kim, I, A. (2005). Factors Influencing Loss of Village Groves in Korea. Master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5. Gremmen, N. J. M., Smith, V. R. and van Tongeren. O. F. R. (2003). Impact of trampling on the vegetation of subantarctic Marion Island. Arctic. Antarctic, and Alpine Research. 35: 442-4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