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MC 값을 이용한 암반의 강도정수 값 추정도표 및 추정식의 제안
Suggestion of Charts and Equations Estimating the Strength Parameters of Rock Mass Using the Rock Mass Classification Value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0 no.3, 2014년, pp.73 - 85  

김민권 ((주)지오공간) ,  이영생 (경기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암반설계에 필요한 암반의 강도정수 값을 산정할 시에는, 암반 내 원위치시험이 극히 제한적이며 비용이 고가여서 주로 Hoek-Brown 파괴기준을 이용한 추정식을 사용하고 있다. Hoek-Brown 파괴기준식을 사용할 때에는 이 식을 Mohr-Coulomb 파괴기준식으로 변경하여야 지반의 강도정수 값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파괴기준의 변경과정은 계산 및 분석단계 등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조건의 암반상태를 모델링한 후, 일차적으로 Hoek-Brown 파괴기준을 이용하여 강도정수 값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를 분석하여 RMC, 암석의 일축압축강도(${\sigma}_c$), 암석계수($m_i$)의 3가지 사용요소를 이용하여 한번의 계산과정을 통해 암반의 강도정수를 추정할 수 있는 추정식 및 현장에서 손쉽게 강도정수를 산정할 수 있는 추정도표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 도표 및 제안식을 기존의 Hoek-Brown 및 Mohr-Coulomb 파괴기준식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본 제안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rength parameters used in rock mass design are mainly estimated by equations using Hoek-Brown failure criterion because the tests to obtain the values are limited and expensive. To estimate the strength parameters, the Hoek-Brown failure criterion should be transformed to the Mohr-Coulomb fa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s, a)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암석의 일축압축강도, GSI 그리고 암석계수에 따른 암반 강도정수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암반 상태를 모델링하였는데, Table 4에 나타낸 RMC, 일축압축강도, mi 값을 여러 가지로 가정하고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총 440개의 암반 상태를 모델링하였다.
  • 그러나 Mohr-Coulomb 파괴기준으로의 변경과정은 여러 분석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Hoek-Brown 파괴기준 적용 시 GSI 값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GSI 값 산출시 기술자의 성향에 따라 각각 다른 결과치가 산정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하였다. 우선 현장에서 접할 수 있는 여러 상황의 암반 모델링을 수행한 후, 시추조사 결과에서 구한 RMC 값과 RMR분류법을 이용하여 구한 GSI 값과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GSI 값을 RMC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암반 강도정수 산정방법의 불편함과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시추주상도상에서 간편하게 구할 수 있는 암석의 일축압축강도(σc), RMC 값과 기존 표로부터 바로 구할 수 있는 암석계수(mi)만 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암반의 강도정수 값을 추정할 수 있는 추정도표 및 추정식을 제안하였는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험식 중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정식은 무엇인가? 경험식은 RMR(Rock Mass Rating) 분류법을 이용하는 방법과 지질강도지수 (Geological Strength Index, GSI)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RMR 암반분류법을 이용하는 방법 은 Bieniawski(1978), Tsuchiya(1984), Trueman(1988) 에 의하여 연구되었으며, 지질강도지수를 이용하는 방 법은 Hoek and Brown(1997)에 의해 연구되었다. 이상의 경험식 중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정식은 지질강도지수를 사용하는 Hoek-Brown 파괴기준식이다. 이 식은 주응력을 중심으로한 파괴형태를 제시한 것으 로 전단강도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Mohr-Coulomb 파괴 기준식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지질강도지수를 사용하는 Hoek-Brown 파괴기준식으로 전단강도를 추정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이상의 경험식 중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정식은 지질강도지수를 사용하는 Hoek-Brown 파괴기준식이다. 이 식은 주응력을 중심으로한 파괴형태를 제시한 것으 로 전단강도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Mohr-Coulomb 파괴 기준식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파괴기준의 변경과정 은 먼저 Hoek-Brown 파괴기준을 선정한 후 주응력을 계산, σ3 - σ1f 그래프를 작도하고 선형회귀분석을 실시 하여 Mohr-Coulomb 파괴기준으로 변경하는 여러 분 석 단계를 거쳐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경험식은 어떠한 방법으로 구분되는가? 암반의 설계 시 사용되는 설계요소로는 암반의 일축 압축강도, 점착력, 내부마찰각 등이 있으며, 각 요소 값들은 삼축압축시험, 전단시험 등 실내 및 현장 원위 치시험을 통하여 산정할 수 있으나 시험구간 선정 등에 제약사항이 많으며, 또한 시험비가 고가여서 주로 경험식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있다. 경험식은 RMR(Rock Mass Rating) 분류법을 이용하는 방법과 지질강도지수 (Geological Strength Index, GSI)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RMR 암반분류법을 이용하는 방법 은 Bieniawski(1978), Tsuchiya(1984), Trueman(1988) 에 의하여 연구되었으며, 지질강도지수를 이용하는 방 법은 Hoek and Brown(1997)에 의해 연구되었다. 이상의 경험식 중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정식은 지질강도지수를 사용하는 Hoek-Brown 파괴기준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arton, N., R Lien and J Lunde (1974), Engineering classification of rock masses for the design of tunnel support, Rock Mech., Vol. 6, pp.183-236. 

  2. Bieniawski, Z. T. (1978), Determination of rock mass deformability : Experience from case historie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15, pp.237-247. 

  3. Bieniawski, Z. T. (1989), Engineering Rock Mass Classification, John Wiley & Sons, New York. pp.251. 

  4. Hoek, E. and E. T. Brown (1980), Underground Excavation in Rock, Institution of Mining and Metallurgy, London, pp.527 

  5. Hoek, E. and E. T. Brown (1997), Practical estimates of rock mass strength,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Vol.34, No.8, pp.1165-1186. 

  6. Kim, M.K. (2010), New Rock Mass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Formular for Shear Strength Parameters based on Quantitative Value, Ph.D. Thesis, Kyonggi University, pp.47-111 

  7. Kim, M.K. and Lee, Y.S. (2007), "A Study on the Rock Mass Classification of Korea", Proc., 33rd Conf.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wangju, pp.888-891. (in Korean) 

  8. Kim, M.K. and Lee, Y.S. (2008), "A Suggestion of a New Rock Mass Classific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KGS), Vol.24, No.11, pp.43-53. (in Korean) 

  9. Tsuchiya and Takashi (1984), N A T Mの設計プログラムの開?,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oboku Gakkai Ronbunshu, pp.117-123. 

  10. Trueman, R. (1988), An evaluation of strata support techniques in dual life gateroads, Ph.D Thesis, Univ. of Wales, pp.15-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