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생물을 이용한 액상소멸방식의 음식물쓰레기 처리
Slurry Phase Decomposition of Food Waste by Using Various Microorganisms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6 no.5, 2014년, pp.303 - 310  

권범근 (안전성평가연구소 경남환경독성본부) ,  나숙현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임혜정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임채승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정선용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발생원내에서 다양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액상소멸하는 감량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험에 사용된 반응기는 미생물이 담지된 목질재료의 woodchip과 스폰지가 함께 사용되었고, 일정한 주기로 음식물쓰레기가 섞이게 하는 교반장치로 구성되었다. 실험기간 100일 동안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변화는 누적된 총 음식물쓰레기량 대비하여 약 99%까지 감소하였다. 잔류된 약 1%는 음식물쓰레기내에 내재된 생물유래의 난분해성 물질(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등)이 축적된 결과로 생각된다. 실험기간 동안 발생된 폐수의 성상 변화로 pH는 실험 초기 약 3.3에서 24시간 후에 약 5.8로 점차 증가한 반면, 염분, COD, BOD, SS, T-N 및 T-P의 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물쓰레기의 소멸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7종의 다양한 미생물들을 동정하였으며, 소멸반응 초기의 미생물 개체수는 약 $3.3{\times}10^4$ cell/mL이었고 15 일 후에는 약 $5.1{\times}10^6$ cell/mL로 대체로 일정한 개체수를 유지하여 소멸반응이 안정화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들 실험 결과는 음식물쓰레기의 감량화뿐만 아니라,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도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duction of food waste through the slurry phase decomposition in a source of food waste by microorganisms. The reactor used in the experiment was composed of both woodchip with wood material and sponges with polyurethane material as media of attached microorganism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 연구에서는 음식물쓰레기의 소멸반응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종(species)에 따른 개체수 변화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의 분해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다양한 미생물 종을 조사하였다.
  • 이 실험에서는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내 유기물 성분의 분해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수질항목을 조사하였다. 이 실험은 소멸반응기에 일정량의 음식물쓰레기를 1회 투입하여 수행되었다.
  • 이 연구는 음식물쓰레기의 감량화하기 위해 음식물류 폐기물의 소멸 가능성을 조사하고 평가하였다. 100일 실험기간 동안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변화는 누적된 총 음식물쓰레기량 대비하여 약 99%까지 감소하였고, 잔류된 약 1%는 음식물쓰레기내에 내재된 생물유래의 난분해성 물질이 축적된 결과로 생각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용한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액상소멸(slurry phase decomposition)에 따른 실험 전후에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변화를 평가하였고, 이 과정에 실재 관련된 미생물의 종을 동정하였다.
  • 5)는 소멸반응기내에서 활발한 미생물의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들 미생물의 활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음식물쓰레기의 소멸반응에 따른 미생물 개체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은 일반세균 조사에 많이 사용되는 LB배지에서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b) Meat is pork meat, and fish as mackere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생물 발효에 따른 액상소멸 방식의 발효 및 소멸과정의 역할은 무엇인가? 반면에 후자의 미생물 발효에 따른 액상소멸 방식은 미생물이 음식물쓰레기 중 탄소원인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으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방법 중 가장 친환경적이라고 볼 수 있다.9,11~13) 여기에 발효 및 소멸과정은 효과적인 미생물을 음식물쓰레기에 첨가하여 발효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연구시도가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 등에서도 미생물의 제재의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14-16)
국내 음식물쓰레기의 감량 및 자원화방법으로 무엇이 있는가? 음식물쓰레기를 자원화 및 감량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현재, 국내 음식물쓰레기의 감량 및 자원화방법은 호기성 퇴비화, 혐기성 퇴비화, 지렁이 퇴비화, 습식/건식 사료화, 고속건조, 고속발효, 고속 발효건조, 소멸화 등이 있다.6,8~10) 이중 건조 및 소멸방식으로 진행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는 주로 열풍 건조식, 파쇄 건조식, 미생물발효/소멸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건조 및 소멸방식으로 진행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의 방식은 어떻게 나눠지는가? 현재, 국내 음식물쓰레기의 감량 및 자원화방법은 호기성 퇴비화, 혐기성 퇴비화, 지렁이 퇴비화, 습식/건식 사료화, 고속건조, 고속발효, 고속 발효건조, 소멸화 등이 있다.6,8~10) 이중 건조 및 소멸방식으로 진행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는 주로 열풍 건조식, 파쇄 건조식, 미생물발효/소멸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두 방법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경우에 과도한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instry of Environment, "Status of the national waste generation and disposal," (2001-2009). 

  2. Minstry of Environment, "2008 status of food waste treatment facilities," (2009). 

  3. Park, K-D., "School-meal analysis and food preference survey on the No leftovers day in some middle schools of Gwangju areas," Master's thesis, Dongshin university(2008). 

  4. Park, J. I., Yun, Y-S. and Park, J. M., "Process development for high-rate slurry-phase decomposition," Proceedings(II) of KSEE, GIST, Gwangju, pp. 165-166(1999). 

  5. Min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Local governments, hot competition to reduce food waste (press release, April 8, 2011)," (2011). 

  6. Min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Comprehensive measures on land treatment of wastewater generated from food waste disposal facilities and creation of energy (2008-2012)," (2007). 

  7. Kwon, S. W., "A study on the reduction methods of food waste generation,"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2006). 

  8. Min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Food waste reduction and recycling project, and performance evaluation study on self-improvement," (2003). 

  9. Kang, B. M., Hwang, H. U., Kim, J. H., Yang, Y. W. and Kim, Y. J., "Study of reutilization with aerobic microbes of organic food waste leachates," J. Kor. Soc. Environ. Eng., 33(1), 54-59(2011). 

  10. Cho, S. W., "Feedstuff manufacturing technology by dry fermentation of residual food waste," Symposium on feedstuff manufacturing of residual food waste, pp. 99-112(1998). 

  11. Yun, Y-S., Park, J. I. and Park, J. M., "High-rate slurry-phase decomposition of food wastes: Indirect performance estimation from dissolved oxygen," Proc. Biochem., 40, 1301-1306(2005). 

  12. Seo, J. Y., Heo, J. S., Kim, T. H., Joo, W. H. and Crohn, D. M., "Effect of vermiculite addition on compost produced from Korean food wastes," Waste Manage., 24, 981-987(2004). 

  13. Adhikari, B. K., Barrington, S., Martinez, J. and King, S., "Characterization of food waste and bulking agents for composting," Waste Manage., 28, 795-804(2008). 

  14. Kim, P. J., Chang, K. W. and Min, K. H., "Evaluation of the stability of compost made from food wastes by the fermenting tank," J. Kor. Ind. Eng. Chem., 3(1), 35-42(1995). 

  15. Cho, D-H., Baek, K-H., Kim, H-S., Park, C-S., Chang, K-S., Oh, H-M. and Yoon, B-D., "Development of solid microbial consortia for the removal of foodwaste," J. Kor. Soc. Environ. Eng., 26(12), 1355-1361(2004). 

  16. Hong, J-H. and Chung, J-D., "An analysis of garbage decomposition effect by adding the decomposing accelerant," J. Kor. Soc. Environ. Eng., 25(6), 732-738(2003). 

  17. Kim, N-C. and Kim, D-H., "Effect of salinity concentration on aerobic composting of food waste," J. Kor. Ind. Eng. Chem., 8(2), 124-129(2000). 

  18. Phae, C-G., Chu, Y-S. and Park, J-S., "Investigation of affect on composting process and plant growth of salt concentration in food waste," J. Kor. Ind. Eng. Chem., 10(4), 103-111(2002). 

  19. Sim, N-J., Kim, B-U. and Rim, J-M.,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foodwaste with Rumen Microbes," J. Kor. Soc. Environ. Eng., 24(11), 1931-1938(2002). 

  20. Minstry of Environment, "Notice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012-361," (2012). 

  21. APHA, AWWA, WEF,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ition.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Baltimore, MD.(1995). 

  22. Kim, D., "Removal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biofilters and stoichiometric analysis of biological reaction by carbon mass balance," J. Kor. Soc. Environ. Eng., 32(8), 747-753(2010). 

  23. Perrin, D. D., "Ionisation Constants of Inorganic Acids and Bases in Aqueous Solution," 2nd Ed., Pergamon Press: Oxford(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