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자재로부터 방출되는 라돈의 실내 확산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Indoor Dispersion of Radon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6 no.5, 2014년, pp.325 - 332  

박훈채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부) ,  최항석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부) ,  조승연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부) ,  김선홍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라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실내 라돈 농도를 저감하기 위한 노력이 여러 분야에서 진행 중이다. 실내 라돈의 저감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라돈의 실내 유입 및 방출 차단에 대한 예측 및 평가방법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라돈의 실내 확산을 전산모델링 하여 해석적 방법과 비교하였으며, CFD 해석을 통하여 환기조건, 환기량, 건축자재 변화에 따른 건물 내 기류 특성과 라돈 농도를 평가하였다. 실내 라돈 농도는 실내 기류의 재순환 영역이 형성되는 곳에서 높게 분포하였으며, 환기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건축자재별 실내 라돈 농도는 시멘트 벽돌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에코카라트, 석고보드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내 라돈 저감을 위한 건축재료의 선정과 실내 라돈 예측 및 평가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owing concerns about harmful influence of radon on human body, many efforts are being made to decrease indoor radon concentration in advanced countries. To develop an indoor radon reduction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o predict and evaluate indoor inflow and emission of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건설된 일반주택은 형태와 규모가 다양하여 모델링에 일반화된 주택 형태를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주택 규모의 상한면적으로 공공과 민간에 가장 많은 공급량을 보이고 있는 전용 면적 85 m2 규모의 일반주택을 대상으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12) 해석 대상 주택 구조는 Fig.
  • 본 연구에서는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라돈의 실내 확산에 대한 모델링 및 전산해석을 통하여 건축자재별 실내 라돈 방출 및 확산 특성과 환기 조건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분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라돈은 실내 재순환 영역이 형성되는 곳에서 높게 분포하였으며, 맞통풍(cross ventilation) 형태의 환기 조건에서 라돈 농도가 낮았다.
  • 4% 감소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 라돈 권고치를 초과하는 실내 환기량에서의 공간별 라돈 농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Fig. 11과 같이 실내 환기량이 1인 조건에서 환기 조건과 건축자재에 따른 공간별 라돈 농도를 비교하였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간별 라돈 농도는 모든 환기조건에서 실내 벽면이 시멘트 벽돌인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난다.
  • 본 연구에서는 외부공기의 실내 유입 및 유출 방향에 따른 실내 기류 특성과 환기량, 건축자재에 따른 라돈 농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Table 3과 같이 환기방식, 환기량, 건축자재를 변수로 설정하여 계산을 수행하였다. Case1 계산조건은 외부공기가 주택 전면 창에서 유입되어 후면 창으로 유출되는 조건이며, Case2 계산조건은 후면 창에서 유입되어 전면 창으로 유출되는 조건이다.
  • 본 연구에서는 전산해석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실내 환기량 변화에 따른 건축자재별 실내 라돈 농도를 이론값과 비교하였다. 실내 라돈 농도의 경우 실측한 자료가 상당히 적고 또한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라돈 농도의 이론값과 비교하여 계산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실내 라돈 농도에 대한 이론식14)은 식 (5)와 같으며, 식에서 E는 건축자재 라돈 방출량(Bq/m2·h), A는 라돈 방출 면적(m2 ), V는 실내 체적(m3), λRn는 라돈 붕괴 상 수(1/h)이며, λv는 실내 환기량(1/h)이다.
  • 2와 같이 정렬 격자를 이용하여 계산 격자를 구성하였다. 전산해석의 정확도는 계산영역 격자수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계산을 수행하기 전 격자수에 의한 계산결과의 오차를 차단하기 위하여 격자 의존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Fig.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실내 라돈 확산에 대한 유동해석을 위하여 정상상태 비압축성 층류 유동을 가정하였다. 계산영역 내의 정상상태 유동에 대한 지배 방정식은 식 (1)의 연속방정식과, 식 (2)의 운동량 방정식이 사용되었으며, 실내 라돈의 확산 해석을 위하여 물질 전달 방정식을 사용하였다.
  • 실내 환기량(Air change rate per hour)은 식 (4)와 같이 정의되며, 식에서 Q는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m3/h), V는 주택의 체적(m3 )이다. 실내 환기량은 시간당 1~4회로 가정하여 계산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돈은 어떤 물질이며 인체에 어떤 악영향을 끼치는가? 라돈(Rn-222)은 우라늄(U-238) 방사능 계열의 원소로서 라듐(Ra-226)의 알파(α) 붕괴시 자연 생성 되는 가스상 물질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을 흡입했을 경우 치명적인 폐암을 유발시킨다고 알려져 있다.1) 국제암연구센터(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에서는 건강 및 인체 유해성 측면에서 석면과 더불어 라돈을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으며, 흡연 다음으로 폐암을 유발하는 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미국 환경청에서 지정한 라돈의 실내 환경 권고 기준치는 얼마인가? 1) 국제암연구센터(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에서는 건강 및 인체 유해성 측면에서 석면과 더불어 라돈을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으며, 흡연 다음으로 폐암을 유발하는 물질로 분류하고 있다.2) 또한 미국 환경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에서는 라돈의 실내 환경 권고 기준치를 148 Bq/m3로 제안하고 있으며, 권고 기준치 농도에 평생 노출될 경우 폐암이 유발되어 사망할 확률을 약 1~2%로 제시하고 있다.3) 주로 토양, 지하수, 건축자재로부터 상당량의 라돈이 실내로 방출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4) 특히 콘크리트, 시멘트 벽돌, 석고보드, 텍스 등의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라돈은 주택에서의 농도가 우려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라돈의 농도분포를 파악하는 방법은? 즉, 정확한 농도분포의 예측은 보다 신뢰성 있는 평가 방법의 개발이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농도분포의 예측에는 기초 실험, 실측 및 전산해석 방법이 이용되어질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경계조건의 제어와 해석 비용이 저렴한 전산해석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는 실내 공기유동, 온도분포의 예측뿐만 아니라 실내공기 오염물질 농도 분포의 예측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실험, 실측에서 발생 특성 등을 제어하기 힘든 오염물질의 예측이나 저 농도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유발시키는 오염물질의 예측에도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고 있어 미국, 일본 등과 같은 선진국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Word Health Organization, "WHO handbook on indoor radon: A public health perspective," (2009). 

  2.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n carcinogenic risk to humans: Man-made fibres and radon," (1988). 

  3. Page, S., "EPA's strategy to reduce risk of radon," J. Environ. Health, 56(5), 27-36(1993). 

  4. Grader, J. B., "Indoor air issue," Architectural Technology(1986). 

  5. Kim, Y. S., "Indoor raton levels in four different areas in Korea," Kor. J. Environ. Health Soc., 16(1), 1-7(1990). 

  6. Lee, E. K., Lee B. D. and Park J. C., "A study on the indoor air quality in newly-constructed apartment houses," Proceeding of annual conference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IK, pp. 311-316(1994). 

  7. Park, J. C., Lee, S. H. and Lee, E. K.,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adon concentration in newly-constructed apartment houses," Proceeding of annual conference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IK, pp. 349-354(1994). 

  8. Fang, J. B. and Persily, A. K., "Computer simulations of airflow and radon transport in four large building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1995). 

  9. Wang, F. and Ward, I. C., "The development of a radon entry model for a house with a cellar," Building Environ., 35(7), 615-631(2000). 

  10. Zhou, W., Lida, T., Moriizumi, J., Aoyagi, T. and Takahashi, I., "Simulation of the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s of indoor radon and thoron,"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93(4), 357-367(2001). 

  11. Akbari, K., Mahmoudi, J. and Ghanbari, M., "Influence of indoor air conditions on radon concentration in a detached house," J. Environ. Radioactivity, 116, 166-173(2013). 

  12. Kim, S. A., "Plane change and tendency of 85 $m^2$ area for exclusive use of the apartment house," Engineering & Construction Technology Review, pp. 17-25(2003). 

  13. Ju, Y. J., "The measurement of radon-222 concentration for release gas into the atmosphere from the building material," Ma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2012). 

  14. Petropoulos, N. P., Anagnostakis, M. J. and Simopoulos, S. E., "Building materials radon exhalation rate: ERRICCA intercomparison exercise results," Sci. Total Environ., 272(1), 109-118(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