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자재 라돈 방출에 의한 실내공기 중 라돈농도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Indoor Concentration due to Radon Exhalation from Domestic Building Materials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4 no.9, 2015년, pp.1131 - 1138  

이철민 (평택대학교 환경융합시스템학과) ,  곽윤경 ((사)한국라돈협회) ,  이동현 ((주)EHS 기술연구소) ,  이다정 ((사)한국라돈협회) ,  조용석 ((사)한국라돈협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don exhalation rates have been determined for samples of concrete, gypsum board, marble, and tile among building materials that are used in domestic construction environment. Radon emanation was measured using the closed chamber method based on CR-39 nuclear track detectors. The radon concentr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국내의 경우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라돈에 의한 실내공기질의 기여도 평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으로 건축자재로부터 방출되는 라돈에 의한 거주환경 내 거주자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관련 규제기준 및 관리방안 수립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건축자재 라돈 방출량 실험에 있어 국내 환경에 적합하다 판단되는 방출량 실험법을 제시하고, 이 방법을 통해 국내 건축 환경에 다량으로 사용되는 건축자재를 대상으로 라돈 방출량 실험 및 실내환경에서의 건축자재 사용량을 이용한 건축자재 라돈 방출에 의한 실내 라돈농도의 기여도를 평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델의 구현 값과 실측값 간에는 큰 차이를 보였으나 아직 국내 라돈관련 연구 환경에서의 빈약한 자료의 활용에서 발생한 불확실성이라 판단되며, 향후 관련 연구의추진을 통한 자료의 축적이 시급한 것으로 여겨진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 주택환경에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 아파트 건설에 있어 주로 사용되는 건축자재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 아파트는 국내 대도시인 서울과 부산 및 경기도에 위치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100 세대를 추출하였다.
  • 세대를 저층과 고층으로 구분한 것은 저층세대와 고층세대 간의 실내공기 중 라돈농도의 차이 검증을 통해 토양에서 기원하는 라돈이 고층세대의 실내공기 중의 라돈농도에 크게 기여하지 않음을 검증하고자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고층 세대 실내공기 중의 라돈농도에 토양 기원의 라돈이 크게 기여하지 않는 다는 가설을 검증하고, 이의 가설의 확인 후 고층에서 조사된 90 세대의 값만을 실내농도 예측모델 검증에 활용하였다.
  • 또한 관련 실태조사가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 건축 환경에 사용되고 있는 건축자재로부터의 라돈 방출율을 측정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며, 관련 정책 및 관리방안 역시 매우 미비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축 환경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중 가장 정량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일부 건축자재를 대상으로 건축자재로부터의 라돈 방출량과 실내공기 중의 기여농도를 평가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관련 연구의 수행에 있어 본 연구가 기초적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택환경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를 대상으로 서울과 부산 및 경기도에 위치한 아파트 100세대를 무작위로 선정하고, 이들 아파트 내의 실내공기 중 라돈 농도를 조사하여 예측 모델 검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 그러나 국내 건축 환경에 사용되는 건축자재로부터의 라돈 방출율을 측정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으로, 관련 정책 및 관리방안이 매우 미비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축 환경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중 가장 정량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일부 건축자재를 대상으로 건축자재로부터의 라돈 방출량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로 실내공기 중의 기여농도를 평가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관련 연구의 기초적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고자 한다.
  • 연구대상 아파트는 국내 대도시인 서울과 부산 및 경기도에 위치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100 세대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아파트의 건축대장을 입수하여 라돈 방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건축자재의 사용량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본 연구에서 실내 라돈농도 예측에 있어 필요한 환기량의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연구대상 시설 거주자를 대상으로 일일 환기시간에 대해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즉, 고층은 토양에서 발생되는 라돈에 의한 영향은 매우 희박하며, 주로 건축자재 등에서 발생되는 라돈에 의한 실내 공기 중 라돈농도가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고층(10 층 이상)의 조사대상 거주환경의 실내공기 중의 라돈농도는 단지 건축자재에서 방출된 라돈에 의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자재로부터 방출된 라돈이 실내 공기 중 라돈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을 기초로 유도될 수 있는가? 건축자재로부터 방출된 라돈이 실내 공기 중 라돈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물질수지식을 기초로 유도될 수 있다. 건축자재나 토양으로부터 방출된 라돈에 의한 실내공기 중 라돈농도의 예측은 다음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Mahur 등, 2008a, 2008b; Nazaroff 와 Nero, 1988; Saad 등, 2010, Saad 등, 2013).
거주지에서의 라돈농도는 실내공기질 제어 설계 전략을 결정하거나, 건강 위해성의 측면에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라돈과 라돈자손은 특히 지하광산, 동굴, 지하실, 또는 환기하기 어렵게 설계된 주택에서 농축되고, 건강상 큰 위해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거주지에서의 라돈농도는 실내공기질 제어 설계 전략을 결정하거나, 건강 위해성의 측면에서 중요하다(Singh 등, 2006).
라돈은 무엇인가? 라돈은 우라늄 계열 중 라듐의 알파붕괴에 의해 생성되는 방사성 불활성 가스이다. 일부 지상에 존재하는 물질은 우라늄 동위원소와 같은 천연 방사성 핵종을 가지고 있으며, 라돈 가스를 많이 또는 적게 방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varnegin, E., Fathabadi, N., Vahabi Moghaddam, M., Vasheghani Farahani, M., Moradi, M., Babakhni, A., 2012, Radon exhalation rate and natural radionuclide content in building materials of high background areas of Ramsar, Iran,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117, 36-40. 

  2. Chen, J., Rahman, N. M., Atiya, I. A., 2010, Radon exhalation from building materials for decorative use,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101(4), 317-322. 

  3. Cothern, C. R., Smith, J. E., 1987, Environmental radon, Environmental Science Research, 35, 31-58. 

  4. Fleischer, R. L., Mogro-Campero, A., 1978, Mapping of integrated radon emanation for detection of longdistance migration of gases within the Earth: Techniques and principl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83(B7), 3539-3549. 

  5. Khan, A. J., Prasad, R., Tyagi, R .K., 1992, Measurement of radon exhalation rate from some building materials.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Applications & Instrumentation, Part D, Nuclear Tracks & Radiation Measurements, 20(4), 609-610. 

  6. Kurnaz, A., KucukOmeroglu, B., Cevik, U., Celebi, N., 2011, Radon Levels and Indoor Gamma Doses in Dwellings of Turkey,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69(10), 1554-1559. 

  7. Lee, C.M., Jung, S.W., Lee, D.H., Kim, Y.B., Lee, D.J., Cho, Y.S., Jin, Y.H., 2015, Investigation of radon emanation of domestic building material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4(1), 50-56. 

  8. Mahur, A. K., Kumar, R., Sengupta, D., Prasad, R., 2008a, Estimation of radon exhalation rate, natural radioacivity and radiation doses in fly ash samples from Durgapur thermal power plant, West Bengal, India,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99(8), 1289-1293. 

  9. Mahur, A. K., Kumar, R., Sengupta, D., Prasad, R., 2008b, An investigation of radon exhalation rate and estimation of radiation doses in coal and fly ash samples,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66(3), 401-406. 

  10. Nazaroff, W.W., Nero, A.V., 1988, Radon and its Decay Products in Indoor Air,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New York. 

  11. Ramola, R.C., Choubey, V.M., 2003, Measurement of Radon Exhalation Rate from Soil Samples of Garhwal Himalaya India, Journal Radiational and Nuclear Chemistry, 256(2), 219-223. 

  12. Saad, A. F., Abdalla, Y. K., Hussein, N. A., Elyaseery, I. S., 2010, Radon exhalation rate from building materials used on the Garyounis University campus, Benghazi, Libya, Turkish, Journal of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Sciences, 34, 67-74. 

  13. Saad. A. F., Abdallah, R. M., Hussein, N. A., 2013, Radon exhalation from Libyan soil samples measured with the SSNTD technique.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72, 163-168. 

  14. Singh, A. K., Kumar, A., Prasad, R., 2006, Distribution of radon levels in Udaipur, Asian Journal Of Chemistry, 18(5), 3408-3411. 

  15. UNSCEAR.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2000 Report.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UNSCEAR 2000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with Scientific Annexes, United Nations, New York. 

  16. UNSCEAR.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2008 Report,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Annex E : Sources-to-Effects Assessment for Radon in Homes and Workplaces, United Nations, New York. 

  17. WH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WHO Handbook on Indoor Radon [cited 2014 December]; Available from: http://whqlibdoc.who.int/publications/2009/9789241547673_eng.pdf.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