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철도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개념설계
Conceptual Design of Safety Step System in Urban Railway Platform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5, 2014년, pp.2559 - 2566  

박민흥 (주식회사 진합 기술연구소) ,  곽희만 (주식회사 진합 기술연구소) ,  김민호 (주식회사 진합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수도권 전동차 구간에서 차량과 승강장사이의 공간에 장애우, 어린이 등 교통약자의 발빠짐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곡선승강장에서는 차량과의 간격이 최대 260mm까지 존재하므로 교통약자를 포함한 승객의 안전한 교통이동권 확보가 중요하며,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 공간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위한 니즈기술로서, 승강장 안전발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승강장 안전발판의 제작 및 기능 요구사항을 검토하여 고장으로 인한 차량과의 충돌 등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충돌 안전성과 운영자 친화적인 유지보수용이성을 고려한 개념설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요구조건을 고려하여 각 단계별 안전발판의 동작과정 및 제어 흐름도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safety accident by misstep at the gap between the platform and railway vehicle have frequently occurred to the mobility handicapped including disabled person, children etc. in metropolitan subway region. Particularly, because the curved platform's gap from platform to railway vehicle is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안전발판과 성격이 유사한 승강장에 기 설치되어 운용중인 PSD(Platform ScreenDoor)에 대한 기술규격으로 “도시철도용품품질인증대상-승강장스크린도어시스템(KRT-EG000–PSD001)”이 존재하고, 국가 R&D 과제 “저상/고상 플랫폼 겸용 승강시스템 기술개발 기획 연구”에서 간선철도차량용 스텝시스템에 대한 기술규격이 검토되었을 뿐이다.[15] 따라서, 승강장 안전발판 개발을 위해 안전성 등 성능인증을 위한 해외기술 기준(규격 또는 규정)의 검토가 요구되며, 본 논문에서는 국외 관련 기술규격으로 유럽 TSI(Technical Specification for Interoperability)에서 제시하는 EN14752규격[16]준용을 제안한다.승강장 안전발판 개발에 이 규격에서 제시된 기계적 강도, 장애물 검지 및 스텝표면에 대한 처리기준 등을 국내 환경에 맞도록 적용해야 한다.
  • 본 논문에서의 승강장 안전발판은 장애우, 노약자 등의 교통약자를 포함한 승객의 안전한 교통이동권과 시스템의 충돌 안전성 및 유지보수용이성 확보를 위한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 공간에 대한 인터페이스 장치로 승강장 부착형 슬라이딩 방식의 안전발판을 제안한다. 앞 절에서 도출한 제작 및 기능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승강장 안전발판은 상부 및 하부 프레임, 하우징부,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실제 승객이 딛게 되는 접철 가능한 폴더블 스텝 플레이트부로 구성되며 주요부품 선정에 있어서 강도, 강성, 신뢰성 및 내구성 확보는 필수적이다.
  • 본 연구에서는 안전발판 관련 국내·외 기술 자료, 국내·외 법규 및 규정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제작 및 기능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기본적인 요구 사항 뿐 아니라 차량과의 충돌 등 비상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충돌 안전성 및 운영자 친화적인 유지보수용이성 향상을 위한 개념설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안전발판 관련 국내·외 기술 자료, 법규, 규정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제작/기능 요구사항을 도출하였고 이를 만족하며 특히 차량과의 충돌 등 비상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충돌 안전성과 운영자 친화적인 유지보수용이성 향상을 위한 개념설계(안)을 제시하였다.
  • 발판부의 충돌 시험, 시스템 상판 프레임의 강성 확보를 위한 처짐 확인시험, 철도시설 용품에 대한 진동, 충격, 기계적강도, 환경(온도 및 습도), EMC시험 등 신뢰성 검증을 위한 성능시험과 내구성 시험이 계획되어 있다. 안전발판에 대한 국내 규격이 없고 표준화된 제품이 없는 상황에서 시스템 개발 및 표준화 연구를 통해 승강장 안전발판의 표준 모델 제시와 표준 기술 규격 제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 공간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위한 니즈기술로서 필요한 것은? 최근 수도권 전동차 구간에서 차량과 승강장사이의 공간에 장애우, 어린이 등 교통약자의 발빠짐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곡선승강장에서는 차량과의 간격이 최대 260mm까지 존재하므로 교통약자를 포함한 승객의 안전한 교통이동권 확보가 중요하며,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 공간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위한 니즈기술로서, 승강장 안전발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승강장 안전발판의 제작 및 기능 요구사항을 검토하여 고장으로 인한 차량과의 충돌 등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충돌 안전성과 운영자 친화적인 유지보수용이성을 고려한 개념설계를 실시하였다.
접이식, 스윙방식 안전발판의 단점은? 안전고무판은 설치가 용이하고 경제적이지만, 내구성이 낮고 사용자들에게 신뢰감을 주지 못하며 항상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므로 곡선이나 간격이 넓은 승강장에서는 능동적이지 못하다. 접이식, 스윙방식 안전발판은 차량과의 충돌 시 승강장, PSD파손과 함께 주변 승객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것이 단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이동식 안전발판은 안전요원에 의해 가설치하는 방식으로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요구 때 마다 안전요원이 필요하고, 설치 및 철거 시간 소요로 열차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여 철도차량의 정시운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승강장 안전발판 개발을 위해 안전성 등 성능인증을 위한 해외기술 기준의 검토가 요구되는 배경은? 안전발판과 관련된 국내 기술규격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안전발판과 성격이 유사한 승강장에 기 설치되어 운용중인 PSD(Platform ScreenDoor)에 대한 기술규격으로 “도시철도용품품질인증대상-승강장스크린도어시스템(KRT-EG000–PSD001)”이 존재하고, 국가 R&D 과제 “저상/고상 플랫폼 겸용 승강시스템 기술개발 기획 연구”에서 간선철도차량용 스텝시스템에 대한 기술규격이 검토되었을 뿐이다.[15] 따라서, 승강장 안전발판 개발을 위해 안전성 등 성능인증을 위한 해외기술 기준(규격 또는 규정)의 검토가 요구되며, 본 논문에서는 국외 관련 기술규격으로 유럽 TSI(TechnicalSpecification for Interoperability)에서 제시하는 EN14752규격[16]준용을 제안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 S. Ryu and J. W. Kim, "Basic Research for the Reduction of Risk of Misstep's Accident on Curved Platforms of Urban Railway", Proceedings of the 2013 fall annual meeting for KSR, pp.215-220, 2013. 

  2. H. S. Mun, K. Y. Eum, D.H. Koo, "Development of Passenger Safety Board for Railway Vehicle Use", Proceedings of the 2003 fall annual meeting for KSR, pp.287-294, 2003. 

  3. C. J. Lee, I. W. Hwang, B. S. Ban, J. M. Lee, Y. H. Choi, "Design and Manufacture of Safety Footboard Device at a Subway Entrance", Proceedings of the 2010 spring annual meeting for KSPE, pp. 1347-1348, 2010. 

  4. S. H. Choi, H. S. Yang, D. H. Choo, G. B. Cha, "A Study on retractile train gap-filler", Proceedings of the 2009 spring annual meeting for KSR, pp.667-672, 2009. 

  5. S. H. Choi, H. S. Yang,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etractile train gap-filler system", Proceedings of the 2009 fall annual meeting for KSR, pp.1038-1043, 2009. 

  6. E. J. Joung, J. U. Won, C. M. Lee, "Development of Safety Step to Control Gap between Paltform and Vehicle", Proceedings of the 2010 fall annual meeting for KSR, pp.1218-1222, 2010. 

  7. D. H. Kwon, J. H. Park, J. H. Kim, H. J. Na, J. D. Noh, S. G. Ma, S. J. Yoon, "Paltform Sliding Auto Safe Scaffolding Development", Proceedings of the 2013 fall annual meeting for KSR, pp.1201-1206, 2013. 

  8. G. K. Lee, N. H. Kim, Hyundai Elevator, "A Safety Board of Subway Platform", Patent number 1009186740000, November 2009. 

  9. G. K. Lee, N. H. Kim, Hyundai Elevator, "A Safety Board of Subway Platform", Patent number 1009294820000, September 2009. 

  10. B. J. Park, "Gap_Zero Operating System of Platform", Patent number 1012424850000, March 2013. 

  11. "Regulation of Railway Construction Safety Standard", Clause 43 & 44 Article 4, Korea Ministry Government Legislation, 2013. 

  12. "Railway Construction Safety Detail Standard", Clause 43 Article 4, Korea Ministry Government Legislation, 2013. 

  13. "Regulation of Urban Railway Construction", Clause 30-2 Article 3, Korea Ministry Government Legislation, 2013. 

  14. "Urban Railway platform, transfer & conveniences supplement design guidelines", Clause 3.3.1.2 Article 3, Korea Ministry Government Legislation, 2013. 

  15. C. S. Kim et. al, "The Planning Report on the Development Plan of Door System for Both the Low and the High Level Platforms",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pp. 180-230, May, 2010. 

  16. "BS EN 14752 ; Railway Application-Body Entrance Systems", European Railway Agency,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