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 대학병원 위암 환자의 위험요인과 조기검진 효과
Risk factors and effect of screening for gastric cancer in a university hospita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5, 2014년, pp.2914 - 2922  

이태용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과) ,  민경훈 (우송대학교 응급구조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행성위암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조기검진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2007년 6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대전 소재 1개 대학교병원에서 위암으로 최초 진단과 수술을 받은 조기위암 171명과 진행성위암 환자 342명, 총 5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의무기록 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군간에 카이제곱 검정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교차비를 계산한 결과 진행성위암은 조기위암에 비하여 70세 이상에서(OR 2.393; 95%CI 1.329-4.310), 과거 흡연자(OR 1.612; 95%CI 0.970-2.680), 혈액형 A형(OR 1.784; 95%CI 1.035-3.075) 및 H. pylori균 감염(OR 1.699; 95%CI 0.905-3.191)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체중감소(OR 2.752; 95%CI 1.333-5.684)와 소화불량(OR 1.574; 95%CI 1.069-2.319)이 중요한 증상과 징후였다. 조기진단의 효과는 파악할 수 없었지만 조기진단이 성공적인 치료의 기회를 높이고 생존율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감안할 때 집단을 대상으로 조기검진을 고취시키는 교육과 선별검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tudy the risk factors and effect of gastric cancer screening,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2007 to December 2011, 580 newly diagnosed gastric cancer (342 advanced gastric cancer, 171 early gastric cancer) patients were enrolled at the 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in a univers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조기위암과 진행성위암간 위험요인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 2) 조기 위암과 진행성위암간 진단 기간별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 3) 진행성위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조기위암과 진행성위암 환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위험요인의 차이를 파악하고, 조기검진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위암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는 전략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암의 예후는 어떤 것에 크게 영향을 받는가? 위암의 질병 자연사에서 위암이 발생한 이후의 조기 위암과 진행성위암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위험요인 등은 위암 발생의 위험요인과 차이가 있을 것이며, 5년 생존율에도 차이가 크다. 위암의 예후는 종양의 병기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위암의 요약병기(summarystage)별 5년 상대생존율은 암이 발생한 장기를 벗어나지 않는 국한의 경우 93.
악성 신생물 중에서 위암 사망률이 2001년 인구 10만명당 23.9명에서 2011년 19.4명으로 감소한 이유는 무엇인가? 5%가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사망률의 감소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조기진단에 의한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실시하는 2차 예방의 효과가 크게 작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암의 조기 발견은 성공적인 치료의 기회가 높아지며, 생존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위암의 위험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위암의 위험요인으로 만성 위축성 위염, 악성빈혈,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감염, 용종성 폴립과 같은 관련 질병, 질산염 화합물, 짠 음식, 탄 음식 등과 같은 식습관, 가족력, 남자, 연령, 음주, 흡연 등이 알려져 있다[3-9]. 이런 요인들은 위암 환자와 건강한 사람들의 비교 연구에서 나온 결과이며, 위암을 예방하는 보건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근거가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Information for cancer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 2013. 

  2. National Cancer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0", 2012. 

  3. P. Falt, M. Hanousek, E. Kundratova, et al, "Precancerous conditions and lesions of the stomach", Klinische Onkolegia, Vol, 26(Suppl), pp.s22-s28, 2013. 

  4. L. Vannella, E. Lahner, J. Osborn, et al, "Sytematic review: gastric cancer incidence in pernicious anaemia",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Vol, 37(4), pp. 375-382, 2013. DOI: http://dx.doi.org/10.1111/apt.12177 

  5. M. Stolte, A. Meining, "Helicobacter pylori and gastric cancer", Oncology, Vol, 3, pp. 124-128, 1998. 

  6. J. T. Jung, "Gastric polyps and protruding type gastric cancer", Clinical Endoscopy, Vol, 46(30), pp. 243-247, 2013. DOI: http://dx.doi.org/10.5946/ce.2013.46.3.243 

  7. H. Bartsch, "N-nitroso compounds and human cancer: where do we stand?". IARC Scientific Publications, Vol, 105, pp. 1-10, 1991. 

  8. E. Yassibas, P. Arsian, S. Yalcin, "Evaluation of dietary and life-style habits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Turkey",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 13(5), pp. 2291-2297, 2012. DOI: http://dx.doi.org/10.7314/APJCP.2012.13.5.2291 

  9. K. P. Ko, S. K. Park, J. J. Yang, et al, "Intake of soy products and other foods and gastric cancer risk: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Epidemiology, Vol, 5(23), pp.337-343, 2013. DOI: http://dx.doi.org/10.2188/jea.JE20120232 

  10. Y. S. Kim, H. A. Park, B. S. Kim, et al, "Efficacy of screeing for gastric cancer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A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 15, pp. 510-515, 2000. 

  11. N. Kim, "Screening and diagnosis of early gastric cancer",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53(4), pp. 292, 2010.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0.53.4.290 

  12. J. P. Kim, J. G. Park, "Results of treatment of stomach cancer",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26, pp. 637-642, 1983. 

  13. S. C. Kim, Y. S. Hur, J. P. Kim, "Progrnostic factors in early gastric cancer", Journal of Korean Cancer Association, Vol, 26, pp. 1-8, 1994. 

  14. S. Hisamichi, "Screening for gastric cancer", World Journal of Surgery, Vol, 13(1), pp. 31-37, 1989. DOI: http://dx.doi.org/10.1007/BF01671151 

  15.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Age specific cancer incidence",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 2013. 

  16. E. E. Calle, C. Rodriguez, K. Walker-Thurmond, M. J. Thun, "Overweight, obesity, and mortality from cancer in prospectively studied cohort of U.S. adult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48, pp. 1625-1638, 2003. DOI: http://dx.doi.org/10.1056/NEJMoa021423 

  17. G. Edgren, H. Hjalgrim, K. Rostgaard, et al, "Risk of gastric cancer and peptic ulcers in relation to ABO blood type: A cohort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 172(11), pp.1280-1285, 2010. DOI: http://dx.doi.org/10.1093/aje/kwq299 

  18. American Cancer Society, "Smoking", Available from www.cancer.org. 2013. 

  19. W. You, L. Zhag, M. H. Gain, et al, "Gastric dysplasia and gastric cancer: Helicobacter pylori, serum vitamin C, and other risk factors". Journal of National Cancer Institute, Vol, 92(19), pp. 1607-1612, 2000. DOI: http://dx.doi.org/10.1093/jnci/92.19.1607 

  20. WHO, "Screening for various cancers", Available from http://www.who.int/cancer/detection,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