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적 의사소통상황 관련 역할극을 선행한 통합실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Nursing Practice Program preceded Role-play related to Clinical Communication Situ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5, 2014년, pp.3037 - 3045  

강서영 (광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임유진 (광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 대학 간호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의사소통상황 관련 역할극을 선행한 통합실습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적용 전과 후의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 점수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통합실습 프로그램은 6개의 임상적 의사소통 상황 관련 시나리오를 활용한 역할극, 3개의 임상상황 관련 시나리오를 적용한 역할극, 3개의 핵심간호술기로 구성되었으며 매주 4시간씩 8주간 실시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3월부터 6월까지였으며 프로그램 전과 후에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9.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통합실습프로그램 적용 후에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합실습프로그램은 간호실습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하며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is study, we developed and applied the integrated nursing practice program preceded role-play related to clinical communication situation to 115 nursing students and compared their communication ability, clinical competence and problem solving process scor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에게 8주 과정의 통합실습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 점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단일집단 사전 사후 실험설계이다[Fig. 1].
  • 본 연구는 임상적 의사소통상황 관련 역할극을 선행한 통합실습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 점수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에게 임상적 의사소통상황 관련 역할극을 선행한 통합실습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임상적 의사소통상황 관련 역할극을 선행한 통합실습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결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연구의 통합실습프로그램이 간호실습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통합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교육을 받기 전보다 받은 후에 임상수행능력이 더 향상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효과적인 의사소통술이란 무엇인가? 최근 의료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간호 대상자들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간호사들에게 다양한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특히,효과적인 의사소통술은 대상자에게 전인간호를 제공하고 타 직종이나 부서와 신뢰관계를 형성하는데 기본이 되는 능력으로,간호사가 되어야할 간호학생은 서로 다른 건강문제를 가진 다양한 대상자들과 의사소통하면서 간호상황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1].이러한 의사소통능력은 강의 위주의 교육방법보다 실제적인 훈련을 통해 길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의사소통 기술을 몸에 익혀 자연스럽게 활용하려면 오랜 기간의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므로 간호대학 교육에서부터 의사소통 교육이 시작되어야 한다[2].
임상실습중인 임상현장의 실정은 어떠한가? 한편,간호학생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임상실습이라는 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사정하고 중재를 수행하면서 임상수행능력과 문제해결력을 기르게 된다.그러나 임상현장에서 대상자의 질적 간호 요구와 안전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강화되면서,간호학생이 환자에게 직접간호를 수행하는 기회가 줄어들고 관찰위주의 실습만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이로인해,간호학생들이 임상실습을 마친 후에도 대상자들의 문제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거나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을 터득하지 못하게 된다.
의사소통능력은 어떤식의 교육방법이 좋은가? 특히,효과적인 의사소통술은 대상자에게 전인간호를 제공하고 타 직종이나 부서와 신뢰관계를 형성하는데 기본이 되는 능력으로,간호사가 되어야할 간호학생은 서로 다른 건강문제를 가진 다양한 대상자들과 의사소통하면서 간호상황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1].이러한 의사소통능력은 강의 위주의 교육방법보다 실제적인 훈련을 통해 길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의사소통 기술을 몸에 익혀 자연스럽게 활용하려면 오랜 기간의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므로 간호대학 교육에서부터 의사소통 교육이 시작되어야 한다[2].이에 대학의 교과과정에서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이 강조되고 있으며[1],한국간호교육평가원의 2주기 평가에서는 간호학생이 달성해야할 학습성과로 치료적 의사소통술의 적용을 포함하고 있어 의사소통술 향상을 위한 실제적인 간호교육이 매우 필요한 때라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 A. Kim, J. H. Park, H. H. Lee,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omprehensive communication cours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3), pp412-420, 2004. 

  2. Y. S. Park, S. B. Im, H. S. Kim, "The effects of reinforced self-understanding in nursing communication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Nursing, 18(3), pp361-368, 2009. 

  3. Y. H. Kim, Y. M. Kim, S. Y. Kang, "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simulation based critical care nursing education used with Mircrosim $^{(R)}$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pp24-32, 2010.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0.16.1.024 

  4. M. S. Lee, S. W. Hahn,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clinical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process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2), pp226-234, 2011.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2.226 

  5. J. J. Yang, "Th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clinic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pp14-24, 2012.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014 

  6. S. J. Choi, M. S. Kwon, S. H. Kim, H. M. Kim, Y. S. Jung, G. Y. Jo, "Effects of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health assess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pp97-105, 2013.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1.97 

  7. D. H. Kim, Y. J. Lee, M. S. Hwang, J. H. Park, H. S. Kim, H. G. Cha,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program(SICPP) on the problem solving pre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in a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 pp499-509, 2012.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3.499 

  8. B. Ustun,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as part of a problem based learning curriculum",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5(10), pp421-424, 2006. 

  9. N. Baghcheghi, H. R. Koohestani, K. Rezaei, "A comparis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in theory classes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 with patients at clinical settings", Nurse Education Today, 31(8), pp877-882, 2011.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11.01.006 

  10. E. J. Song,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student nurse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3(3), pp467-473, 2006. 

  11. K. A. Shin, E. S. Lee,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2), pp149-158, 2011. 

  12. J. Mould, H. White, R. Gallagher, "Evaluation of a critical care simulation series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Comtemporary Nurse, 38(1-2), pp180-190, 2011. 

  13. H. B. Yuan, B. A. Williams, J. B. Fang, "The contribution of high fidelity simulation to nursing students' confidence and competence: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9, pp26-33, 2012. DOI: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11.00964.x 

  14. L. Navran, "Communication and adjustment in marriage", Family Process, 6(2), pp173-184, 1967. DOI: http://dx.doi.org/10.1111/j.1545-5300.1967.00173.x 

  15. E. Y. Choi,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skills group on high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ommunication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2004. 

  16. B. H. Kim, S. Y. J. Kim, J. S. Lee, Y. R. Tak, H. S. Kim, E. S. Choi, K. R. Shin, K. S. Choi, G. B. Kim, G. J. Kim, S. W. Lee, K. S. Kim, S. J. Lee, Y. H. Kim, K. H. Lee, Y. S. Jeong, J. H. Song, J. H. Pak, "Clinical competency for directing of registered nurses' national examination. - focused on fundamental, medical-surgical, psychiatric, women's health, community, pediatric, and administrative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4), pp1075-1087, 1998. 

  17. J. J. Yang, M. Y. Park, "The Relationship of Clinical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4), pp636-647, 2004. 

  18. J. S. Lee, "The effects of process behaviors on problem solving performance on various test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1978. 

  19. O. H. Woo, "The effects of a PBL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students by their meta-cognitive leve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0. 

  20. K. S. Kesten, "Role-play using SBAR technique to improve observed communication skills in seni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0(2), pp79-87, 2011. DOI: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0123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