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의 개발 및 평가 -응급실 내원 간경화증 환자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Scenario and Evaluation for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Patients with Hyperkalemia of Liver Cirrhosis in Emergency Uni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9, 2013년, pp.312 - 321  

강희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은정 (조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오윤정 (조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의 임상상황에 맞는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시뮬레이션 학습에서 문제해결력과 학습 만족도를 평가함으로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학습시나리오는 응급실에 내원한 간경화증환자의 고칼륨혈증 사례를 개발하여 간경화증과 관련하여 합병증과 증상에 대한 다양한 상황을 시행해볼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시나리오 개발단계는 시뮬레이션 학습 목표 및 시나리오 상황 설정, 알고리즘 작성, 임상수행평가 체크리스트 작성, 디브리핑 준비 순으로 이루어졌고, 시나리오는 Jeffries가 제시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 진행 개요에 따라 모니터 세팅(행동들), 환자/마네킨(행동들), 예상되는 중재(사건), 단서를 시간에 따라 구성하였다. 시나리오는 '임상수행능력평가' 과목에 등록한 53명의 간호 학생을 4-5명씩 그룹화 하여 2011년에 사용되었다. 시뮬레이션 학습 적용 전 후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력 점수는 학습 전 평균 4.05점에서 학습 후 평균 4.3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t=-3.97, p<.001), 시뮬레이션 학습 적용 후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는 5점 척도에 평균 4.09점을 나타냈으며, 학생들을 수업의 주체로 이끌어 낸 점은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수업이 효과적인 간호교육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enario suited for our clinical situations and evaluate the application possibility by evaluating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simulation learning. This study consisted of contents which could be applied for varied situ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에 내원한 간경화증환자 사례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수업운영을 통해 평가함으로 그 시나리오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간호학과 4학년 학생들의 경우, 이미 1년 이상의 임상실습 경험을 하였고, 그 동안 배웠던 간호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간경화증환자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는데 무리가 없는 대상자로 판단하여 이들을 위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응급실에 내원한 간경화증환자 사례를 선택한 이유는 간의 섬유화 및 경화는 만성적인 간 손상에 의해 간 실질의 섬유화가 발생하여 간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는 질환으로[8], 우리나라에서 2010년 전체 사망원인 중 13.
  •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에서 직면할 수 있는 상황을 바탕으로 졸업을 앞둔 학생들에게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재현성이 높은 (high-fidelity)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간호 학생들에게 간호문제에 대한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시도되었다. 또한 개발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여 시뮬레이션 학습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현재 간호시뮬레이션 학습에 이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는 대부분 국내에서 개발된 것이 아니어서 환자 사례가 우리 상황과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아 수정 보완해서 사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우리 실정에 맞는 학습 시나리오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에 내원한 간경화증환자 사례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수업운영을 통해 평가함으로 그 시나리오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간호학과 4학년 학생들의 경우, 이미 1년 이상의 임상실습 경험을 하였고, 그 동안 배웠던 간호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간경화증환자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는데 무리가 없는 대상자로 판단하여 이들을 위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에서 직면할 수 있는 상황을 바탕으로 졸업을 앞둔 학생들에게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재현성이 높은 (high-fidelity)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간호 학생들에게 간호문제에 대한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시도되었다. 또한 개발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여 시뮬레이션 학습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79이었다. 또한 학생들에게 좋았던 점과 개선점을 서술하게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응급실에 내원한 간경화증환자의 고칼륨혈증 사례에 대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수업운영을 통한 학습 만족도를 평가함으로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는 Jeffries[6]가 제시한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 진행 개요에 의해서 모니터 세팅(행동들), 환자/마네킨(행동들), 예상되는 중재(사건), 단서를 시간에 따라 총 15분간 운영하는 것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의 임상상황에 맞는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수업운영을 통해 문제해결력과 시뮬레이션 학습만족도를 평가함으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서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는 응급실에 내원한 간경화증환자의 고칼륨혈증 사례를 개발하여 간경화증과 관련하여 합병증과 증상에 대한 복잡한 간호 및 수기술을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이 적용해볼 수 있는 시나리오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한 간경화증환자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력과 수업만족도를 평가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그러나 많은 연구결과[15][16]에서 교수자들이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를 개발하는데 시간을 투자 할수록 학생과 교수에게 유익하고, 또한 더 많은 교수자들이 시뮬레이션 학습을 설계할수록 이 과정은 좀 더 쉬워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간호시뮬레이션 과목을 운영 하는 교수자들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며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이 강의실에서 학습한 이론적 내용과 임상실습에서 배운 실제를 통합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하는 이유는? 최근 들어 간호 대상자의 문제는 단순히 한 가지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복합적인 문제가 함께 나타나고 있는 복잡한 임상적 상황에서 간호사의 즉각적인 문제해결능력이 더욱 요구되므로[1], 간호교육은 단순한 술기능력 향상에 그치지 않고 강의실에서 학습한 이론적 내용과 임상실습에서 배운 실제를 통합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2]. 이에 따라 간호교육현장에서는 실무 중심의 교육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임상상황에 맞는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 개발 단계는 어떤 순서로 이루어졌는가? 본 연구의 학습시나리오는 응급실에 내원한 간경화증환자의 고칼륨혈증 사례를 개발하여 간경화증과 관련하여 합병증과 증상에 대한 다양한 상황을 시행해볼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시나리오 개발단계는 시뮬레이션 학습 목표 및 시나리오 상황 설정, 알고리즘 작성, 임상수행평가 체크리스트 작성, 디브리핑 준비 순으로 이루어졌고, 시나리오는 Jeffries가 제시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 진행 개요에 따라 모니터 세팅(행동들), 환자/마네킨(행동들), 예상되는 중재(사건), 단서를 시간에 따라 구성하였다. 시나리오는 '임상수행능력평가' 과목에 등록한 53명의 간호 학생을 4-5명씩 그룹화 하여 2011년에 사용되었다.
간호교육에서 시뮬레이션의 이용이 비교적 효율적인 교육방법인 이유는? 현재 의료 분야의 교육 및 훈련을 위한 새로운 변화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육 방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의학 교육에 있어서도 세계적으로 꾸준한 사용 증가를 보이고 있다[3]. 간호교육에서 시뮬레이션의 이용은 안전한 환경에서 교수자와 협력하여 간호를 수행함으로서, 실제 환자에게 해를 입힌다는 두려움 없이 교육내용과 문제해결능력을 배울 수 있는 비교적 효율적인 교육방법이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윤민, "간호대학 신입생들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90-197, 2010. 

  2. 이주희, 김소선, 여기선, 조수진, 김현례,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83-193, 2009. 

  3. S. Lapkin and T. Levett-Jones, "A cost-utility Analysis of Medium Versus High Fidelity Human Patient Simulation Manikins in Nursing Education," J. of Clinical Nursing, Vol.20, No.23-24, pp.3543-3552, 2011. 

  4. J. Cooper and V. Taqueti, "A brief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Mannequin Simulators for Clinical Education and Training,"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Vol.84, No.997, pp.563-570, 2008. 

  5. P. Weis and J. Guyton-Simmons, "A Computer Simulation for Teaching Critical Thinking Skills," Nurse Educator, Vol.23, No.2, pp.30-33, 1998. 

  6. P. Jeffries,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From Conceptualization to Evaluation,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07. 

  7. R. Kneebone, "Simulation in Surgical Training: Educational Issu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Medical Education, Vol.37, No.3, pp.267-277, 2003. 

  8. 전시자, 성인간호학, 현문사, 2009. 

  9.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250284 

  10. 신규성, 파워 내과, 군자출판사, 2009. 

  11. P. Heppner and C. Petersen,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9, No.1, pp.66-75, 1982. 

  12. 강명희, 송윤희, 박성희, "웹 기반 문제 중심학습에서 메타인지, 몰입, 상호작용과 문제해결력의 관계", 교과교육학연구, 제12권, 제2호, pp.293-315, 2008. 

  13. 한미현, "간호학생의 OSCE모듈 개발 및 실기평가의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제12권, 제3호, pp.365-372, 2006. 

  14. W. Eppich, V. Howard, J. Vozenilek, and I. Curran, "Simulation-Based Team Training in Healthcare," Simulation in Healthcare, Vol.6, No.7, pp.14-19, 2011. 

  15. S. Beyea and L. Kobokovich, "Humal Patient Simulations: A Teaching Strategy,"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Vol.80, No.4, pp.738-742, 2004. 

  16. J. Childs and S. Sepples, "Clinical Teaching by Simulation: Lessons Learned from a Complex Patient Care Scenario,"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27, No.3, pp.154-158, 2006. 

  17. 고일선, 김희순, 김인숙, 김소선, 오의금, 김은정, 이주희, 강세원, "SimMan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의 개발 및 학습 수행 평가 -응급실 내원 천식 환자사례를 중심으로-", 기본간호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71-381, 2010. 

  18. 김해란, 최은주, "SimBaby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의 개발 평가 -응급실 내원 발열 환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pp.279-288, 2011. 

  19. http://www.ncbi.nlm.nih.gov/books/NBK2628/ 

  20. M. Bremner, K. Aduddell, D. Bennett, and J. VanGeest, "The Use of Human Patient Simulators: Best Practice with Novic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or, Vol.31, No.4, pp.170-174, 2006. 

  21. 양진주,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교육 과정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48-560, 2008. 

  22. C. Rauen, "Simulation as a Teaching Strategy for Nursing Education and Orientation in Cardiac Surgery," Critical Care Nurse, Vol.24, pp.46-51,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