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즙의 열처리에 따른 뜰보리수 과실주의 품질 및 항산화 특징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istics of Elaeagnus multiflora wine through the thermal processing of ju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1 no.2, 2014년, pp.206 - 214  

조계만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주옥수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뜰보리수 열매의 이용성 증대를 위하여 뜰보리수 과즙에 열처리 후 과실주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뜰보리수 과즙을 발효하였을 때 9일 경과 시 pH는 3.32~3.33, 가용성고형물은 7.8~9.0 $^{\circ}Brix$, 환원당은 29.84~31.05 g/L, 생균수는 7.26~8.73 CFU/mL, 알코올은 11.0% 있었다. 열처리된 과즙이 열처리되지 않은 과즙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며, 이에 상응하여 수용성 phenolics와 flavonoids 함량도 높았다. 한편 $120^{\circ}C$에서 30 min 열처리 후 발효시킨 과실주의 유리당은 fructose(0.42 g/L) 및 glucose(0.09 g/L)가 소량 검출되었으며, 주요 유기산lactic acid(7.32 g/L), malic acid(2.59 g/L), succinic acid(2.16 g/L) 및 oxalic acid(3.08 g/L) 있었고 주요 flavonols와 phenolic acids 화합물은 catechin(99.45 mg/L), epicatechin(264.55 mg/L), epigallocatechin(82.19 mg/L), gallic acid(6.44 mg/L) 및 salicylic acid(60.53 mg/L)가 검출되었다. 부가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FRAP 활성은 각각 70.47%, 65.93% 및 1.254% 이였다. 이 결과로부터 뜰보리수 과즙의 열처리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과실주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using Elaeagnus multiflora juice were studied under static fermentation condition in an effort to develop new types of functional wine. After 9 days of fermentation at $25^{\circ}C$, the pH, soluble solids, reducing sugar, viab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품학적 가치가 높으며, 여러 가지 약리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뜰보리수 열매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열처리에 따른 뜰보리수 열매 과즙과 과실주의 특성 및 항산활 활성을 평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에 함유되어 있는 polyphenol성 화합물은 무엇인가? 뜰보리수 열매는 영양 가치가 매우 높고 당분은 약 13~14%로 주로 포도당과 과당이며, 감에 함유되어 있는 gallic acid, catechin, epicatechin, epigallocatechin, catehin gallate, epicatechin gallate 및 epigallocatechin gallate 등과 같은 polyphenol성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염증, 항암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이 보고되고 있다(2,4-11). 따라서 고품질의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서 활용이 기대되고 있으며 뜰보리수 열매 추출물과 현미식초를 이용한 혼합음료 제조에 관한 연구만이 보고되고 있다(1,3).
한방에서 뜰보리수의 열매를 칭하는 이름과 그 효능은? 5 cm이고 6~7월 붉은색으로 숙성되고 맛은 다소 떫은맛과 단맛을 가지고 있어 식용이 가능하다. 한방에서는 이 열매를 ‘목반하’라고 하는데, 그 효능으로는 오장을 보호하고 번열, 소갈을 없앨 뿐만 아니라 설사와 출혈을 멎게 하고 소화불량, 골수염, 부종, 생리불순 등에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1,2). 이러한 뜰보리수는 척박한 토질에서 잘 자라며,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주지 않고 특별한 관리도 하지 않아도잘 성장하며, 무농약, 유기농 과실로 비할 수 있는 과수로 기대되나 현재에는 관상수로 재배할 뿐 과실수로서 재배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뜰보리수의 분류학적 위치는?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는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 보리수나무속(Elaeagnus)에 속하며, 국내에서는 주로 관상용 또는 과수로 재배되거나 야생에 분포하고 있다. 뜰보리수의 열매는 점핵과이며, 긴 타원형으로 길이가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ong JY, Cha HS, Shin SR, Jeong YJ, Youn KS, Kim MH, Kim NW (2007) Optimization of manufacturing cond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mixing beverage added extract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fruits. Korean J Food Preserv, 14, 269-275 

  2. Yoon KY, Hong JY, Nam HS, Moon YS, Shin SR (2007) Antioxidant activities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s of hot-water extracts from fruits of Elaeagnus multiflora Thunb. in matur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19 

  3. Hong JY, Cha HS, Kim NW, Jeong YJ, Youn KS, Kim MH, Shin SR (2007) Optimization of manufacturing condition with sensory characteristics of mixing beverage added extract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fruits. Korean J Food Preserv, 14, 263-268 

  4. Kim NW, Joo EY, Kim SL (2003)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the fr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Korean J Food Preserv, 10, 534-539 

  5. Hong JY, Nam HS, Lee YS, Yoon KY, Kim NW, Shin SR (2006)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the fr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Korean J Food Preserv, 13, 413-419 

  6. Hong JY, Nam HS, Kim NW, Shin SR (2006)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Elaeagnus multiflora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Food Preserv, 13, 228-233 

  7. Hong JY, Nam HS, Lee YS, Kim NW, Shin SR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fruits Elaeagnus multiflora Thunb. during maturation. Korean J Food Preserv, 13, 643-648 

  8. Kim SA, Oh SI, Lee MS (2007) Antioxidative and cytotoxic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Elaeagnus multiflora. Korean J Food Nutr, 20, 134-142 

  9. Lee YS, Chang ZQ, Oh BC, Park SC, Shin SR, Kim NW (2007) Antioxidant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s of extracts Elaeagnus multiflora Thumb. J Med Food, 10, 126-133 

  10. Oh SI, Lee MS (2008) Antioxidant and cytotoixic effects of ethanol estracts from Elaeagnus multiflora. Korean J Food Nutr, 21, 403-409 

  11. Lee JH, Seo WT, Cho KM (2011) Determination of phytochemical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y from the fruits of Elaeagnus multiflora. J Food Sci Nutr, 16, 29-36. 

  12. Cho KM, Joo OS (2012) Enhances antioxidant effects of purple sweet potato by roasting. Korean J Food Preserv, 19, 735-743 

  13. Joo OS, Kang ST, Jeong CH, Lim JW, Prak YG, Cho KM (2011) Manufacturing of the enhances antioxidative wine using a ripe daebong persimmon (Dispyros kaki L). J Appl Biol Chem, 54, 126-134 

  14.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5.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 with phosphomolybdic 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6.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200 

  18. Cho KM, Lee JB, Kahng GG, Seo WT (2006) A study on the making of sweet persimmon (Diospyros kaki, T)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85-792 

  19. Jin TY, Kim ES, Wang SJ, Wang MH (2007)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yakju prepared with different of red yeast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09-314 

  20. So MH (1999) Characteristics of a modified Nuruk made by inoculation of tractional Nuruk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Nutr, 12, 219-225 

  21. 19. Woo KL and Lee SH (1994) A study on wine-making with dried persimmon produc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04-212 

  22. 20. Choi HS, Kim MK, Park HS, Kim YS, and Shin DH (2006) Alcoholic fermentation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43-547 

  23. Kim YS, Jeong DY, and Shin DH (2008)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alba)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3-69 

  24. Kim HY, Woo KS, Hwang IG, Lee YR, Jeong HS (2008)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66-170 

  25. Kim HG, Kim GW, Oh H, Yoo SY, Kim YO, Oh MS (2011) Influence of roasting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mall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LWT-Food Sci Technol, 44, 992-998 

  26. Choi JS, Kim HY, Seo WT, Lee JH, Cho KM (2012) Roasting enhances antioxidant effect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increasing in flavan-3-ol and phenolic acid contents. Food Sci Biotechnol, 21, 19-26 

  27. Hwang IG, Woo KS, Kim TM, Kim DJ, Yang MH, Jeong HS. (2006)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42-347 

  28. Roek A, Achaerandio I, Almajano MP, Guell C, Lopez F, Ferrando M (2007) Solid foodstuff supplemented with phenolics from grape: Antioxidant properties and correlation with phenolic profiles. J Agri Food Chem, 55, 514-5155 

  29. Cho KM, Hong SY, Math RK, Lee JH, Kambiranda DM, Kim JM, Md. Islam SA, Yun MG, Cho JJ, Lim WJ, Yun HD (2009) Biotransformation of phenolics (isoflavones, flavanols and pehnolic acids) during the fermentation of Cheonggukjang by Bacillus pumilus HY1. Food Chem, 114, 413-4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