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영재학생들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몰입과 창의성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Flow' and Creativity as Observed in the Daily Lives of Science-Gifted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2, 2014년, pp.147 - 153  

이남주 (사하초등학교) ,  백성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생들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몰입유형과 창의성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재학생들의 몰입 경험과 주된 활동을 2개월 동안 경험표집법(Experience Sample Method:ESM)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창의성과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채널 상태 중 몰입이 40.4%로 가장 높게 나타나 일상에서 초등과학영재들이 몰입 경험을 많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몰입이 많이 나타나는 주된 활동은 생산활동, 사회활동, 여가활동, 기초활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술과 도전이 낮은 무관심은 반대의 순으로 나타났다. 몰입경험과 창의성은 유의수준 .01에서 정적 상관을 가져 일상에서 몰입 경험이 많이 나타날수록 창의성도 높게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들의 창의성 증가를 위해서는 몰입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과학프로그램 개발이나 삶 속에서 몰입경험 빈도가 높은 생산활동을 하면서 동시에 불안을 줄이고 인내심을 기를 수 있는 환경을 가지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types of 'flow' that can be observed in the daily lives of science-gifted studen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flow' and creativity. For two months, we have gathered data on 'flow' in the main activities of science-gifted students through a qua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5)이 한국의 정서에 맞게 수정한 것을 기초로 과학영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하였으며 질문지가 아닌 즉시 답변을 받을 수 있는 SMS(문자메세지)로 답변을 받았다. ESM에 대한 응답률과 즉시성이 본 연구에 중요하기에 예비 조사를 통해서 연구 참여자들이 SMS에 즉시 반응하는지를 살펴보고, 횟수에 따른 응답률과 예상치 못하였던 문제를 찾아내고, 연구 참여자들이 지시한 대로 수행하는지 검토를 하였다. 본 연구가 특정 시간이 아니라 일상생활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 1∼2주의 짧은 시간이 아니라 2개월 동안의 비교적 긴 기간의 연구라는 것을 고려하였다.
  • 과학영재들이 일상의 주된 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4채널 몰입(flow) 모델 중 어느 상태를 가장 많이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응답빈도는 Figure 3을 보면 몰입 상태는 생산활동에서 51.
  •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생들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몰입유형과 창의성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재학생들의 몰입 경험과 주된 활동을 2개월 동안 경험표집법(Experience Sample Method:ESM)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창의성과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의 몰입과 창의성에 대해 알아보고 그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바른 영재교육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밝히면 다음과 같다.
  • 일상에서 경험하는 몰입은 삶의 질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Csikzentmihalyi, 2011), 특히 몰입은 창의성 발현에 중요하다고(Csikszentmihalyi, 1996) 본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들이 경험하는 삶속의 일상과 학습 과정 등 몰입이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찾아보고, 몰입경험과 창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영재교육은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조기에 발굴하여 능력과 소질에 맞는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개인의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고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며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Promotion Law for Gifted Education, 2013)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은 무엇인가? 삶은 행동하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 다시 말해서 경험이다 (Csikszentmihalyi, 1990). 많은 사람들이 21C 이후 높아진 생활수준과 적극적인 문화 및 여가생활의 참여 등을 통해 삶의 기쁨을 찾으려 하고 그 수 또한 증가하고 있지만(Rhee & Shin, 2011) 영재들의 일상을 연구한 학자는 많지 않다.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은 현재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가? 많은 사람들이 21C 이후 높아진 생활수준과 적극적인 문화 및 여가생활의 참여 등을 통해 삶의 기쁨을 찾으려 하고 그 수 또한 증가하고 있지만(Rhee & Shin, 2011) 영재들의 일상을 연구한 학자는 많지 않다. 현재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은 수학과 과학 분야의 교육이 중심을 이루어 진행되고 있고 과학기술분야의 국가경쟁력확보를 위해 과학영재교육을 포함한 영재교육이 1998년 12월 ‘영재교육진흥법’의 국회통과 후 확대 실시되었다. 이후 영재 연구 동향을 보면 교육과정, 프로그램, 판별 등이 많으며, 특히 등재지나 박사학위논문은 프로그램개발이나 효과검증을 주제로 한 경향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4채널 몰입(flow) 모델은 과학영재들이 주된 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어떻게 나타났는가? 과학영재들이 일상의 주된 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4채널 몰입(flow) 모델 중 어느 상태를 가장 많이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응답빈도는 Figure 3을 보면 몰입 상태는 생산활동에서 51.1%로 가장 많이 보였는데 활동 빈도가 우상향으로 기울어져 있어 도전과 기술수준이 높은 활동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사회활동에서는 몰입경험이 30.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무관심한 비율이 40.2%로 도전과 기술 수준이 낮은 활동도 많이 보인다. 여가활동과 기초생활활동 모두 무관심 영역이 두터운 형태로 도전과 기술수준이 낮은 활동이 많다. 다만 여가활동에서는 22.0%의 몰입 경험을 나타내는 것을 볼 때 취미나 배움활동이 여가활동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jork, S., & Holopainen, J. (2004). Patterns In game design. Farmington Hills, MI: Charles River Media. 

  2. Csik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NY: Harper and Row Co. 

  4. Csikzentmihalyi, M. (1996). Optimal experience: Psychological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Ciskszentmihalyi, M., & Schneider, B. (2000). Becoming adult: How teenagers prepare for the world of work. New York, NY: Basic Books. 

  6. Csikzentmihalyi, M. (2007). Finding flow. Seoul: EBS publisher. 

  7. Csikzentmihalyi, M. (2011).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Seoul: Hanwoolrim. 

  8. Hah, J. (2000).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ersonality scale.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14(2), 187-210. 

  9. Hektner, J. M., Schmidt, J. A., & Csiszentmihalyi, M. (2007). Experience sampling method: Measuring the quality of everyday life. CA: Sage Publications. 

  10. Jeong, J. (2008). A systematic comparison of time use instruments: Time diary and experience sampling method. Survey Reserch, 9(4), 43-68. 

  11. Kang, C. (2001). Development of personality.creativity in Matter subject (Master's Thesis).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12. Kim, K., Kim, S., Hwang, S., Lee. S., Hyun, E., Choi, M., & Yu, H. (2005). Korean university students' emotion, cognitive efficiency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experiential sampling method.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3(2), 203-229. 

  13. Koh, S. (2008). Understanding flow in terms of perspectives of mathematics educa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2(1), 1-11. 

  14. Konradt, U., Filip, R., & Hoffmann, S. (2003). Flow experience and positive affect during hypermedia learn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4(3), 309-327. 

  15. Lee, S. Choi, H. & Park, J. (2009). Exploring the sources of enjoyment as process and outcome of dance class participatio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8(4), 409-424. 

  16. Maslow, A. H. (1971).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New York, NY: Pinguin. 

  17. Newland, T. E (1976). Gifted in socioeducational perspectiv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Inc. 

  18. Park, S., Jo, S., Kim, H., Lee, J., Yun, E., Jin, S., & Han, G. (2003).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Seoul: Kyoyukkwahaksa. 

  19. Promotion Law for Gifted Education (2013).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36623&efYd20130323#0000(Retrived November 11, 2013) 

  20.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Hartman, R. K., Westberg, K. L., & Lee, M. (2007).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Seoul: Bakhaksa 

  21. Rhee, Y., & Shin, E. (2011). Qualitative study about value cognition and benefits of consumer on culture-art products. Asia Marketing Journal, 12(4), 27-54. 

  22. Shin, M.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23. Song, I., & Kim, H. (1999). An exploratory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concept on creativ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3(3), 93-117. 

  24. Sternberg, R. J., & Lubart, T. Y. (1995). Defying the crowd: 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New York, NY: Free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