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생체 내 셀 간 신호 전달 체계를 모사한 지역적 협력 및 시스템 요구 성능 보장을 위한 무선 센서망의 노드 스케쥴링 제어
A Node Scheduling Control Schem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nspired by Inter-Cell Signaling 원문보기

한국통신학회논문지. The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ociety. 네트워크 및 서비스, v.39B no.3, 2014년, pp.143 - 150  

변희정 (수원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손수국 (수원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컴퓨팅 및 문제 해결 기술로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는 생체 모방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센서망에서 에너지 효율적이고, 요구 지연 시간이 보장된 노드 스케쥴링 제어 방식을 제안한다. 특히 생체의 셀 간 신호 시스템과 무선 센서망 시스템 사이의 유사성을 도출하고, 무선 센서망의 특징을 고려하는 새로운 수학적 모델을 수립한다. 이러한 모델을 바탕으로 각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요구되는 QoS, 지역 환경 조건, 인접 노드들의 상태에 따라 센서 노드의 상태를 결정한다. 제어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여 제안된 생체 모방 방식이 각 노드가 자율적으로 매개 변수들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안정성을 보장한다는 것을 보인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된 방식이 기존 프로토콜과 비교하여 상당한 에너지 절감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지연 시간을 만족함을 확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ergy efficient and delay guaranteed node scheduling scheme inspired by biological systems, which have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as a computing and problem solving technique. With the identification of analogies between cellular signaling systems and WSN systems, w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드 스케쥴링 기술은 센서 네트워크 운영의 모든 측면에 대해 영향을 주기 때문에, 무선 센서망에서 상당히 중요한 분야이다. 본 논문은 생체 시스템 중 셀 간 신호 전달 체계를 모방하여, 무선 센서망의 센서 노드 상태를 스케쥴링 하기 위한 새로운 수학적 모델을 제안한다. 제어 이론을 바탕으로, 시스템 성능과 제안된 생체 모방 시스템의 평형점을 분석한다.
  • 하지만, 확장성 및 성능 문제의 충돌로 인해, 무선 센서 망에 대한 고려 없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없고 안정성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QoS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지역 조건과 인접 노드의 상태를 고려하는 새로운 생체 모방 네트워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특히 셀 간 신호 체계에 의해 모방된 방법론을 사용하여 무선 센서망 애플리케이션의 QoS 를 고려한 노드 스케쥴링 제어 모델 및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센서 노드의 주변 환경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서 각 노드의 로컬 상태 표시기를 소개한다. 무선 센서망에서는 트래픽 부하 변화 및 링크 품질 변동으로 인해 네트워크에서 혼잡이 종종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에너지 낭비, 처리량 감소, 충돌의 증가, 그리고 재전송을 유발하여 네트워크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 본 연구는 고정 ν를 사용하지만 후속 연구에서 제어 파라미터 조절을 통해 최적화된 성능을 보이려고 한다.
  • 본 논문은 무선 센서망의 에너지 절감 및 요구 지연 시간 보장을 위해 생체 내 셀 간 신호 전달 체계를 바탕으로 노드 스케쥴링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식에서는 노드들의 지역적 환경 특성에 의해서 결정되고, 애플리케이션 특정 글로벌 요구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로컬 상태 지시기 및 활성 상태 지시기를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는 버퍼 용량이다. 본 논문에서는 컨트롤러 타임 슬롯당 하나의 활성 기간이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활성 기간, Ta은 모든 노드에 대해 동일하다.
  • 로컬 상태 표시기 값을 계산한 이후에, 노드 m 은 sm을 그 이웃들에게 알린다. 센서 노드들이 그들의 로컬 상태 표시기들의 값을 이웃들의 값과 교환하고, 각 노드는 모든 이웃들의 로컬 상태 표시기들의 값을 저장하는 표를 유지한다고 가정한다.
  • 애플리케이션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우리는 기존의 셀 간 신호 체계 모델을 수정하여 노드 스케쥴링 알고리즘을 위한 모델을 제안한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종단간 지연 보장을 요구한다고 가정하자. 싱크 노드는 지연을 측정하고, 측정된 지연 및 지연 요구 사항 사이의 차이 값을 ACK 메시지에 실어서 센서 노드들에게 전송한다.
  • 2. Average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varying delay requirements : (a) local status indicator, active status indicator and (b) delay, consumed energ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선 센서망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무선 센서망은 목표 추적, 인프라 보안, 전장 감시, 건강 모니터링, 교통 제어 등의 여러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물리적 현상들을 감지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치들을 연결한다. 무선 센서망은 일반적으로 배터리 전원이 있는 다수의 작은 센서 노드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무선 센서망의 MAC 프로토콜은 주로 에너지 절감을 위해 설계되었다[1].
무선 센서망의 역할은 무엇인가? 무선 센서망은 목표 추적, 인프라 보안, 전장 감시, 건강 모니터링, 교통 제어 등의 여러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물리적 현상들을 감지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치들을 연결한다. 무선 센서망은 일반적으로 배터리 전원이 있는 다수의 작은 센서 노드들로 구성되어 있다.
무선 센서망의 MAC 프로토콜 한계는 무엇인가? 따라서, 무선 센서망의 MAC 프로토콜은 주로 에너지 절감을 위해 설계되었다[1]. 그러나, 무선 센서망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센서 노드를 조정함에 있어 상당한 한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노드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대규모 무선 센서망의 성능은 열화되며 그들의 기능성과 성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데큰 어려움을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 Bachir, M. Dohler, T. Watteyne, and K. K. Leung, "MAC essential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IEEE Commun. Surveys & Tutorials, vol. 12, no. 2, pp. 222-248, 2010. 

  2. F. Dressler and O. B. Akan, "A survey on bio-inspired networking," Comput. Netw., vol. 54, no. 6, pp. 881-900, Apr. 2010. 

  3. T. Nakano, "Biologically inspired network systems: A review and future prospects," IEEE Trans. Syst., Man, and Cybernetics - Part C: Appl. Rev., vol. 41, no. 5, pp. 630-643, 2011. 

  4. F. Dressler, "Self-organized event detection in sensor networks using bio-inspired promoters and inhibitors," ACM/ICST Int. Conf. Bio-Inspired Models of Netw., Inf. Comput. Syst. (Bionetics 2008), 2008. 

  5. F. Dressler, "Bio-inspired feedback loops for self-organized event detection in SANETs," IEEE/IFIP Int. Workshop on Self-Organizing Syst. (IWSOS 2008), vol. LNCS 5343, pp. 256-261, 2008. 

  6. K. Hyodo, N. Wakamiya, E. Nakaguchi, M. Murata, Y. Kubo, and K. Yanagihara, "Experiments and considerations on reaction-diffusion based pattern generation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IEEE Int. Symp. World of Wirel., Mobile and Multimedia Netw.(IEEE WoWMoM 2007), pp. 1-6, 2007. 

  7. G. Neglia and G. Reina, "Evaluating activator-inhibitor mechanisms for sensors coordination," IEEE/ACM Int. Conf. Bio-Inspired Models of Netw., Inf. and Comput. Syst. (IEEE/ACM BIONETICS 2007), 2007. 

  8. N. A. Monk, J. A. Sherratt, and M. R. Owen, "Spatiotemporal patterning in models of juxtacrine intercellular signalling with feedback," Inst. Mathematics and Its Appl., vol. 121, pp. 165-193, 2001. 

  9. J. R. Collier, N. A. Monk, P. K. Maini, and J. H. Lewis, "Pattern formation by lateral inhibition with feedback: A mathematical model of delta-notch inter- cellular signalling," Theoretical Biology, vol. 183, no. 4, pp. 429-446, 1996. 

  10. S. D. Webb and M. R. Owen, "Oscillations and patterns in spatially discrete models for developmental intercellular signalling," Mathematical Biology, vol. 48, no. 4, pp. 444-476, 2004. 

  11. C. Charalambous and S. Cui, "A bio-inspired clustering algorithm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in Proc. 4th Annu. Int. Conf. Wirel. Internet, 2008. 

  12. C. Charalambous and S. Cui, "A biologically inspired networking mode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IEEE Netw., vol. 24, no. 3, pp. 6-13, 2010. 

  13. J. Son, S. Shon, and H. Byun, "Bio-inspired energy efficient node scheduling algorithm in wireless sensor networks," J. KICS, vol. 38A, no. 6, pp. 528-534,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