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험인식의 특성과 의미: 한국인의 기술위험 인지도에 대한 Psychometric 분석
A Study on Risk Perception and Policy Implication : A Psychometric Analysis of Korean Perception for Technological Risk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9 no.1, 2014년, pp.80 - 85  

정익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urvey of risk perception in South Korea was conducted in 2007 to evaluate relative riskiness of typical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risks. This article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risk perception using psychometric analyses. The survey with a sample size of 1,194 reviews the perceived le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술 위험의 객관적 위험성과 주관적 위험 인식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사회 문제를 줄이기 위한 기반 연구로서 대표적인 기술 위험항목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특성을 비교 평가한다. 특히 psychometric분석을 통해서 위험의 내재적 특성에 따른 위험인식의 성향을 정리하였다.
  • 따라서 위험을 단순하게 평면적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위험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차원에서 사람들의 인식 유형을 분석할 수 있다. 이는 객관적 위험성과 주관적 인식 사이의 불일치를 사람들이 느끼는 위험의 인지심리학적인 특성에 따른 세분화된 차원에서 분석함으로써 위험인식의 특징을 보다 체계적으로 규명하는데 기반 자료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의 특성을 다음과 같은 8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험은 어떤 영역과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가? 이처럼 위험은 과학기술 차원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하드웨어 영역과 함께 사회문화적 시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함께 포함하고 있다. 위험에 대한 정책 연구에서 ‘과학적 분석에 근거한 통계적 위험 수준’과 ‘주관적 이해에 따른 위험 인식 수준’의 차이가 존재하고, 이에 따른 사회적, 정책적 문제가 심각하다는 사실에 오랜 기간 학문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통계에 근거한 객관적 위험평가와 주관적 위험인식 사이의 불일치는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통계에 근거한 객관적 위험평가와 주관적 위험인식 사이의 불일치는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개인의 사회문화적 배경, 위험에 대한 태도, 과학기술과 관련된 지식 그리고 위험관리자, 즉 정부에 대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변인으로 작용한다4) . 개인적 요인으로 인간의 인지능력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psychometric분석은 무엇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는가? 특히 psychometric분석을 통해서 위험의 내재적 특성에 따른 위험인식의 성향을 정리하였다. psychometric분석은 일반인이 위험을 판단할 때 사망률이나 발생가능성 등과 같은 계량적인(quantitative) 정보가 아니라 두려움이나 위험에 대한 이해정도, 인식의 맥락적 특성, 위험인식의 사회적 배경과 같은 정성적인 (qualitative) 속성에 의존하여 위험을 평가하는 인지심리학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다1)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P. Slovic, B. Fischhoff and S. Liechtenstein, "The Psychometric Study of Risk Perceptions." In V. Covello, J. Menkes and J. Mumpower (Eds.) Risk evaluation and Management. New York, London: Plenum Press, pp. 3-24, 1986. 

  2. I. J. Chung and Y. P. Kim, "A Study for Korean Risk Perception and Safety Policy in Nuclear and Other Technologies",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2007. 

  3. Y. P. Kim, B. S. Choi, Y. J. Soh and I. J. Chung, "Korean Risk Perception and Policy Implicatio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29, No. 3, pp. 935-954, 1995. 

  4. I. J. Chung, "An Empirical Review of Korean Perception for Technological Ris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2, No. 6, pp. 91-97, 2007. 

  5. D. Kahneman, P. Slovic and A. Tversky, "Judgment under Uncertain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6. M. Douglas and A. Wildavsky, "Risk and Cul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5. 

  7. G. Kaptan, S. Shiloh and D. Onkal, "Values and Risk Perceptions", Risk Analysis, Vol. 33, No. 2, pp. 318-332, 2013. 

  8. P. Slovic (Ed.), "Perception of risk", London, Earthscan, 2000. 

  9. P. Slovic, B. Fischhoff and S. Lichtenstein, "Why study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Vol. 2, No. 2, pp. 83-93, 1982. 

  10. Y. J. Cha, "Risk Perception and Policy Implications for Risk Analysis: With Focus on the Lay People in the Capital Region",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 16, No. 1, pp. 97-117, 2007. 

  11. J. S. Choi, "Risk Perception and Social Amplification", Korean Jouranl of Policy Sciences, Vol. 13, No. 3, pp. 165-188, 2009. 

  12. I. J. Chung,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in the Internet Environment", Risk Analysis, Vol. 31, No. 12, pp. 1883-1896, 2011. 

  13. S. Breyer, "Breaking the Vicious Circle: Toward Effective Risk Regul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