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중매체의 영향과 위험인식 특성: 현대사회 기술위험에 대한 집단인지모델기법 적용
A Study on Mass Media and Risk Perception: Application of Facilitated Group Modeling to Social Risk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3 no.2, 2018년, pp.124 - 131  

정익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consideration of limitations of the classic economic approach to risk evaluation and the psychometric analysis of risk perception, this study applies a facilitated modeling technique to a group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In this group activities, researchers did not provide a pre-selected li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문제에 대한 상이한 인식과 의견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이런 주관성을 모델에 반영한다. 따라서 객관적 평가에 의한 최상 또는 최적의 해결책보다는 만족할 만한 해결책을 찾고자 한다. 집단토론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참가자들은 도출된 결정이나 해결책의 구현과정에 대한 이해와 수용 정도가 높아지게 되어 위험에 의해서 유발되는 사회적 갈등을 줄일 수 있다.
  • 하지만 이러한 질문에 체계적으로 접근한 연구를 찾기 싶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이 집단 환경에서 어떤 대상을 얼마나 위험하다고 평가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관리연구(operational research) 분야에서 활용되는 진행자에 의한 인지모델기법(facilitated modeling)10)을 대학생에 적용하고, 집단 토론(브레인스 토밍)을 통해 위험에 대한 개념지도(conceptual map), 즉 인지지도(cognitive map)를 도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주관적 위험인식이 사회심리측정 변수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 대중매체(온라인 신문)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한다.
  • 본 연구는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객관적인 위험수준과 순위를 측정하는데 목적을 두지 않았다. 위험인식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위험이 주관적으로 구성되고, 심리적 요인과 대중매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정리하는데 분석의 초점을 두었다.
  • 기존 심리측정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과거 데이터, 연구결과,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항목을 선별하여 대표적인 위험 목록을 구성하고, 이를 일반인이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위험평가 과정이 사람들이 실제로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대상을 평가하는가, 그리고 그들이 생각하는 위험 요인을 제대로 반영하는가라는 의문에서 출발하여 기존 심리측정연구와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였다. 즉, 전문가 집단인 연구자가 평가대상을 선정하지 않고, 일반인 스스로 위험 항목을 생각해내고, 특성에 따라 위험을 범주화, 평가하는 방식으로 위험인식을 분석한다.
  • 본 연구는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객관적인 위험수준과 순위를 측정하는데 목적을 두지 않았다. 위험인식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위험이 주관적으로 구성되고, 심리적 요인과 대중매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정리하는데 분석의 초점을 두었다. 향후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유사한 방법론을 적용한 사례 분석을 누적시켜 본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가설 설정

  • 20대인 대학생들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인터넷 이용률은 절대적으로 높다26). 본 연구의 자료가 대학생의 집단토론에 의해서 수집되었고, 대학생들이 다른 사회집단보다 미디어 노출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온라인에서 신문기사 수가 많을수록 해당 항목에 대한 정보가 많고 익숙할 것이라는 가정8) 하에 본 연구의 주요 변수와 신문기사 수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가 진행하는 위험평가 과정이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본 연구는 이러한 위험평가 과정이 사람들이 실제로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대상을 평가하는가, 그리고 그들이 생각하는 위험 요인을 제대로 반영하는가라는 의문에서 출발하여 기존 심리측정연구와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였다. 즉, 전문가 집단인 연구자가 평가대상을 선정하지 않고, 일반인 스스로 위험 항목을 생각해내고, 특성에 따라 위험을 범주화, 평가하는 방식으로 위험인식을 분석한다. 이는 위험평가가 객관적, 통계적 자료에 근거해서 이루어지기 보다는 주관적, 심리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고, 위험은 개인의 특성과 사회 구성원의 집단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이루어지는 ‘사회적 구성체’(social construction)라는 점을 반영한다9).
기존 심리측정연구는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기존 심리측정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과거 데이터, 연구결과,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항목을 선별하여 대표적인 위험 목록을 구성하고, 이를 일반인이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위험평가 과정이 사람들이 실제로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대상을 평가하는가, 그리고 그들이 생각하는 위험 요인을 제대로 반영하는가라는 의문에서 출발하여 기존 심리측정연구와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였다.
위험은 어떤 과정을 거쳐 사회적 이슈로 발전되는가? 위험은 심각한 사회문제다. 대부분의 위험은 기술공학적 결함에서 출발하여 인위적 오류, 미흡한 제도 그리고 사회문화적 요소가 결합하여 엄청난 사회 이슈로 발전한다. 세월호 사고, 경주리조트 붕괴사고, 판교 환풍구 사고 등 대형안전사고는 피해당사자의 고통과 주변 사람들의 슬픔에 머물지 않고 안전규제 변화, 새로운 법제정 그리고 국가차원의 정치논쟁으로 확대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 Starr, "Social benefit versus technological risk," Science, Vol. 165, pp. 1232-1238, 1969. 

  2. S. Krimsky and D. Golding, "Social Theories of Risk," Praeger, 1992. 

  3. P. Slovic, "Perception of risk," Science, Vol. 236, pp. 280-285, 1987. 

  4. Y. Kim, B. Choi, Y. Soh and I. Chung, “A study of Korean risk perception and its policy implication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29, No. 3, pp. 935-954, 1995. 

  5. I. J. Chung, “A study of risk perception and policy implications: An psychometric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9, No. 1, pp. 80-85, 2014. 

  6. C. H. Park and S. Y. Kim, “Knowledge impact on public acceptance of nuclear power generatio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53, No. 3, pp. 117-150, 2015. 

  7. S. Ahn and K. Doh, “Analysis of adjectives about risk and structure risk meaning,”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Experiment, Vol. 17, No. 2, pp. 203-222, 2005. 

  8. I. J. Chung and S. W. Ahn, “Analysis of risk perception and cognitive map of risk: application of facilitated modelling,”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 35, No. 3, pp. 481-503, 2016. 

  9. B. B. Johnson and V. T. Covello, "The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ion of risk," D. Reidel Publishing Company, 1987. 

  10. C. Eden and J. Radford, "Tackling strategic problems: The role of group decision support," Sage Publications, 1990. 

  11. B. Miles and S. Morse, "The role of news media in natural disaster risk and recovery," Ecological Economics, Vol. 63, pp. 365-373, 2007. 

  12. P. Vasterman, "From media hype to twitter storm: News explosions and their impact on issues, crises and public opinion,"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18. 

  13. L. J. Frewer, S. Miles and R. Marsh, “The media and genetically modified foods,” Risk Analysis, Vol. 22, No. 4, pp. 701-711, 2002. 

  14. J. Flynn, P. Slovic and H. Kunreuther, "Risk, Media and Stigma," Earthscan, 2001. 

  15. C. M. Bahk and K. Neuwirth, “Impact of movie depictions of volcanic disaster on risk perception and judg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Mass Emergencies and Disasters, Vol. 18, No. 1, pp. 63-84, 2000. 

  16. I. J. Chung,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in the Internet,” Risk Analysis, Vol. 31, No. 12, pp. 1883-1896, 2011. 

  17. I. J. Chung, "Interactive dynamics of media communication, risk perception and public response to Fukushima Nuclear Disaster,"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 27, No. 1, 2018. (forthcoming) 

  18. O. Damman and D. Timmermans, “Educating health consumers about cardio-metabolic health risk,”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 89, No. 2, pp. 300-308, 2012. 

  19. L. Franco and G. Montibeller, "Facilitated modelling in operational research,"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205, pp. 489-500, 2010. 

  20. L. Phillips and C. Bana e Costa, "Transparent prioritisation, budgeting and resource allocation with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and decision conferencing," Annals of Operations Research, Vol. 154, pp. 51-68., 2007. 

  21. S. H. Lee, "Risk and Risk Management in Modern Society: Discussion on the Social Construction of Risk," Journal of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 Vol. 29, pp. 61-88, 2009. 

  2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by Statistics Korea, www.kostat.go.kr 

  23. R. Kasperson and J. Kasperson, "The social amplification and attenuation of risk,"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Vol. 545, pp. 95-105, 1996. 

  24. M. Douglas and A. Wildavsky, "Risk and cul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1982. 

  25. A. Tversky and D. Kahneman, "Judgement under uncertainty: heuristics and biases," Science, Vol. 185, pp. 1124-1131, 1974. 

  26. Y. H. Lee, "SNS usage and issue analysis" Internet & Security Focus, Vol. 3, pp. 56-78, 2014. 

  27. I. J. Chung, “An empirical review of Korean Perception for technological ris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2, No. 6, pp. 91-97, 2007. 

  28. O. Renn, A. Klinke and M. van Asselt, “Coping with complexity, uncertainty, and ambiguity in risk governance: A synthesis,” Ambio, Vol. 40, No. 2, pp. 231-246, 2011. 

  29. L. Phillips, "Decision conferencing,"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2006. 

  30. M. Morgan, B. Fischhoff, A. Bostrom and C. Atmans, "Risk communication: A mental models approa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