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실습 전후 실습복 오염도 및 비강내 황색포도알균 집락정도 비교
A Comparison between the Contamination Level of Uniforms and the Nasal Staphylococcus aureus Colonization before and after the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2, 2014년, pp.90 - 97  

박진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신기수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김지영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ntamination level of uniforms with nasal coloniz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before and after the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survey research, conducting microbial culture by smearing the front surface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의 의의는 이전 연구들이 병원직원을 대상으로 가운 착용 기간에 따른 오염도를 비교한 것에 비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후 가운 오염도를 비교한 것에 있다.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실습복 관리 실태와 실습복 오염도 및 비강내 황색포도알균 집락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실습 전후 실습복 오염도와 비강 내 황색포도알균 집락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실습 전보다 실습 후 실습복의 오염도가 증가하였으나, 실습복을 가정 세탁 한 후에는 황색포도알균 등의 병원성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비강내황색포도알균 집락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실습복의 세탁 관련 특성 및 실습 전후 실습복 오염도, 비강내 황색포도알균 집락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검체 채취를 일정 면적 수송배지로 도말하는 방법으로 오염된 세균을 검출하고 오염된 세균을 검출하고 오염정도를 평가하였다. 이 방법은 옷감을 일정면적 배지에 눌러 접촉시키는 방법이나 옷감을 액체배지에 담근 상태로 평가하는 방법, 공기 채집기(air sampler)를 사용하여 세균을 수집하는 방법(Kim et al.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의 실습 전후 실습복의 오염도 및 비강내 황색포도알균의 집락 정도를 비교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습 중인 간호대학생들의 실습복 세탁 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실습 전과 후의 실습복 오염도와 비강내 황색 포도알균 집락 정도를 비교하여, 간호대학생의 실습복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오염된 실습복이 매개하는 의료 관련 감염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 관련 감염의 원인은 무엇인가? 의료 관련 감염은 침습성 의료기술의 발전, 항균제 내성균 및 면역저하자와 노령인구의 증가로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감염률이 입원환자의 5-15%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의료 관련 감염의 원인으로는 환자와 접촉이 많은 의료인의 손을 통한 교차 감염과 같이 미생물의 직접적인 전파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최근에는 청진기, 침상, 기구 표면과 병원 직원의 유니폼을 통한 황색포도알 균이나 장알균의 간접 전파가 보고되고 있다(Allegranzi & Pittet, 2009; Lankford et al., 2006; Treakle et al.
의료 관련 감염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의료 관련 감염은 침습성 의료기술의 발전, 항균제 내성균 및 면역저하자와 노령인구의 증가로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감염률이 입원환자의 5-15%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의료 관련 감염의 원인으로는 환자와 접촉이 많은 의료인의 손을 통한 교차 감염과 같이 미생물의 직접적인 전파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최근에는 청진기, 침상, 기구 표면과 병원 직원의 유니폼을 통한 황색포도알 균이나 장알균의 간접 전파가 보고되고 있다(Allegranzi & Pittet, 2009; Lankford et al.
병원 직원 유니폼 세탁에 관한 기준은 어떠한가? 국내외 의료기관 세탁물 관리 기준을 살펴보면, 미국 질병관리본부(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에서는 의료기관 세탁물은 71°C 이상의 온도에서 25분 이상 세제로 세탁하도록 권고하고 있고(CDC, 2003), Wilson 등(2007)은 병원 직원의 유니폼을 65°C에서 10분, 71°C에서 3분 세탁을 권장하고 있다 (Lakdawala, Pham, Shah, & Holton, 2011; Patel, Murray-Leonard, & Wilson, 2006). 국내 의료기관 세탁물 관리규칙(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에는 의료기관 세탁물을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자와 진료받는 환자가 사용하는 것, 오염 세탁물은 세탁물 중 전염성 물질에 오염되었거나 오염될 우려가 있는 세탁물로 정의하고 있으며, 오염세탁물을 증기 소독, 끓는 물, 소독 또는 약물소독 방법으로 소독 후 세탁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나, 일반세탁물에 대한 기준은 없 다. 이와 같이 병원 직원 유니폼 세탁에 관한 기준은 분명하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legranzi, B., & Pittet, D. (2009). Role of hand hygiene in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prevention.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73, 305-315. http://dx.doi.org/10.1016/j.jhin.2009.04.019 

  2. Baliga, S., Bansil, R., Suchitra, U., Bharati, B., Vidyalakshmi, K., & Shenoy, S. (2008). Nasal carriage of met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medical student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68, 91-92. 

  3. Callaghan, I. (1998). Bacterial contamination of nurses' uniforms: A study. Nursing Standard, 13, 37-42. 

  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3).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infection control in health-care facilities.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52, 1-42. 

  5. Hambraeus, A. (1973). Transfer of Staphylococcus aureus via nurses' uniforms. The Journal of Hygiene, 71, 799-814. 

  6. Kim, K. M., Kim, O. S., & Jeon, M. Y. (2012). Knowledge and compliance level of the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 8-15. 

  7. Kim, Y. G., Kim, J. S., Lee, H. S., Koo, H. S., Kim, H, S., Song, W. K., et al. (2009). Nosocomial infectious bacterial contamination on resident' white coats and necti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12, 43-47. 

  8. Kim, Y. K., & Hong, H. S. (2007). Transmission aspect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the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by analysing genotyp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976-985. 

  9.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 The Korean Society for Microbiology. (2012). Nursing microbiology. Seoul: Elsvire Korea LLC. 

  10. Kwak, Y. G., Cho, Y. K., Kim, J. Y., Lee, M. S., Kim, H. Y., Kim, Y. K., et al. (2011). 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intensive care unit modul report: Data summary from July 2009 through June 2010.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5, 1-12. 

  11. Lakdawala, N., Pham, J., Shah, M., & Holton, J. (2011). Effectiveness of low-temperature domestic laundry on the decontamination of healthcare workers' uniforms. Infection Control Hospital and Epidemiology, 32, 1103-1108. http://dx.doi.org/10.1086/662183 

  12. Lankford, M. G., Collins, S., Youngberg, L., Rooney, D. M., Warren, J. R., & Noskin, G. A. (2006). Assessment of materials commonly utilized in health care: Implications for bacterial survival and transmission.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4, 258-263. 

  13. Lee, S. E., Kim, M. J., Sohn, J. W., & Chun, B. C. (2011). Hand-washing practices followed by health care workers in an tertiary care hospital depending on their carriage status for nasally transmit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6, 18-28. 

  14. Loh, W., Ng, V. V., & Holton, J. (2000). Bacterial flora on the white coats of medical student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45, 65-68. 

  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Management regulation of laundry in health care facilities. 

  16.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2003). Methods for diluti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for bacteria that grow aerobically; Approved standards M7-A6 (6th ed.). Wayne, Pennsyvania. 

  17. Neely, A. N., & Maley, M. P. (2000). Survival of enterococci and staphylococci on hospital fabrics and plastic.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gy, 38, 724-726. 

  18. Nye, K. J., Leggett, V. A., & Watterson, L. (2005). Provision and decontamination of uniforms in the NHS. Nursing Standard, 19, 41-45. 

  19. Osawa, K., Baba, C., Ishimoto, T., Chida, T., Okamura, N., Miyake, S., et al. (2003). Significanc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survey in a university teaching hospital. Journal of Infection and Chemotherapy, 9, 172-177. 

  20. Park, J. H., & Kim, H. S. (2012). The effect of the hand hygiene education program on hand hygiene knowledge, hand hygiene perception, nasal Staphylococcus aureus colonization and hand hygiene adher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 156-165. 

  21. Patel, S. N., Murray-Leonard, J., & Wilson, A. P. (2006). Laundering of hospital staff uniforms at hom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62, 89-93. 

  22. Perry, C., Marshall, R., & Jones, E. (2001). Bacterial contamination of uniform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48, 238-241. 

  23. Treakle, A. M., Thom, K. A., Furuno, J. P., Strauss, S. M., Harris, A. D., & Perencevich, E. N. (2009). Bacterial contamination of health care workers' white coat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7, 101-105. http://dx.doi.org/10.1016/j.ajic.2008.03.009 

  24. Wiener-Well, Y., Galuty, M., Rudensky, B., Schlesinger, Y., Attias, D., & Yinnon, A. M. (2011). Nursing and physician attire as possible source of nosocomial infection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9, 555-559. http://dx.doi.org/10.1016/j.ajic.2010.12.016. 

  25. Wilson, J. A., Loveday, H. P., Hoffman, P. N., & Pratt, R. J. (2007). Uniform: an evidence review of the microbiological significance of uniforms and uniform policy in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Report to the Department of Health (England).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66, 301-307. 

  26. Wong, D., Nye, K., & Hollis, P. (1991). Microbial flora on doctors' white coats. British Medical Journal, 303, 1602-16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