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람의 영향을 고려한 지상강우의 보정방법 연구
Calibration of Gauge Rainfall Considering Wind Effect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6 no.1, 2014년, pp.19 - 32  

신현석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노희성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연수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씨든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덕환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형수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량계로 측정한 강우량이 실제 지표면에 떨어지는 강우 값에 근접하도록 보정함으로써, 유출해석 및 기타 수문분석에 적용할 경우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지상우량계로 관측한 강우량에 대한 바람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표준기상관측소인 추풍령기상대에 설치된 바람막이의 유(有) 무(無)에 따른 우량계와 기준우량계의 자료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강우를 단순선형회귀 모형과 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여 지상강우를 보정하였으며, $Vflo^{TM}$모형을 이용한 유출모의를 통하여 자료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단순선형회귀 모형을 사용한 보정 강우량은 실제 관측된 강우량보다 5%~18%가 큰 강우량을 나타냈으며, 강우획득에 있어 바람의 영향은 1.6~3.3m/s의 풍속구간에서 가장 큰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회귀모형에서는 풍속구간 5.5m/s이상일 경우 자료의 개수가 전체자료의 0.7%로 매우 작고, 이상치가 획득됨으로써 회귀모형 적용의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에 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지상강우의 보정은 전체적으로 관측 값보다 10~20% 가량 강우가 적게 추정되었다. 통계분석결과, 전체적으로 편차가 크고 평균 강우획득량이 클수록 신경망 모형의 적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획득한 강우량의 극치값이 크게 나타날수록 선형회귀 모형의 적용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신뢰성 높은 강우보정을 위해서는 지역별 강우 특성에 따른 적합한 보정방법을 선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앞으로의 수문해석에 있어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강우 보정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신뢰도 높은 수문해석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btain reliable rainfall data for runoff simulation and other hydrological analysis by the calibration of gauge rainfall. The calibrated gauge rainfall could be close to the actual value with rainfall on the ground. In order to analyze the wind effect of ground rain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위하여 추풍령 표준기상관측소에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총 3년에 걸친 자료를 획득하였으며, 강우획득에 미치는 바람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바람막이가 설치된 우량계와 설치되지 않은 우량계 및 강우 값의 기준이 되는 기준우량계(Pit gauge)의 값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강우사상은 비교적 강우량이 많고 바람세기의 분포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태풍의 사례에 대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바람이 지상 강우획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표준기상관측소인 추풍령기상대의 자료를 이용하여 선형회귀 및 신경망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통한 감천유역의 AWS 7개 지점에 대한 자료를 보정하고 유출량을 분석·비교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상관측 강우를 실제 강우에 근접하게 보정함으로써 신뢰도 높은 지상강우자료를 획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강우획득에서의 바람 효과를 분석하고, 바람의 영향에 대한 값을 보정하기 위하여 표준기상관측소인 추풍령기상대의 기준우량계(Pit gauge)와 바람막이 유·무에 따른 전도형(tipping-bucket gauge)우량계의 강우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우의 일반적인 관측방법은 무엇인가? 수문해석에서 입력 자료가 되는 강우량은 지상 강우량을 참값으로 가정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분석과 함께 신뢰성을 평가하는 것 또한 수자원 관리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강우는 지점에 설치된 지상우량계를 통해 관측되어 왔다. 하지만 강우는 다른 기상인자에 비해 시·공간적 변동성이 크고, 간헐적이라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성을 정량화하고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Kim과 Yoo, 2007).
세계기상기구(WMO) 관측소 설치 환경 권장 기준은 무엇인가? 추풍령표준기상대는 2008년 11월 27일에 우리나라 최초로 세계기상기구(WMO) 관측소 설치 환경 권장 기준에 맞춘 표준기상관측소로 개소하였다. 관측소설치 권장기준은 기상자료가 넓은 지역의 대기 상태를 대표할 수 있으며, 건물 높이는 최소 10배, 숲 높이의 최소 20배 이상 떨어져 있고, 관측소 최소면적이 10,000m 2 이상인 곳으로 제시되어 있다.
강우가 특성을 정량화하고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강우는 지점에 설치된 지상우량계를 통해 관측되어 왔다. 하지만 강우는 다른 기상인자에 비해 시·공간적 변동성이 크고, 간헐적이라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성을 정량화하고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Kim과 Yoo, 2007). 이런 지상우량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최근 빈도가 잦아지고 있는 돌발 홍수와 같은 예상치 못한 호우 발생 가능성에 대비하고자 공간적으로 연속적이며 실시간 강우 관측이 가능한 강우레이더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Duchon, CE and Essenberg, GR (2001). Comparative rainfall observations from pit and aboveground rain gauges with and without wind shields, Water Resource Research, 37(12), pp. 3253-3263. 

  2. Habib, E, Krajewski, WF, and Nespor, V (1999). Numerical simulation studies of rain gage data correction due to wind effect, J. of Geophysical research, 104(D16), pp. 19723-19733. 

  3. Hwang, MH, Kang, SW, Lee, BS, and Park, BJ (2006). Evaluation of raingauge network in Chungju dam basin, Proceedings of 2006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1380-1383. [Korean literature] 

  4. Jung, KB (2003). Relationship between winter precipitation and lower-troposheric wind in Yeongdong region, Master's Thesis, Gangneung National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5. Kim, BS, Kim, KJ, and Yoo, CS (2007). Evaluation of ground-truth results of radar rainfall depending on rain-gauge data, J. of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7 (4), pp. 19-29. [Korean literature] 

  6. Kim, HS, Song, YI, Kim, IJ, and Lim, YS (2007). Linking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RE-08,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7. Kim, YD, Kang, YS, Kim, YG, Jung, WS, and Jo, MY (1999). A fundamental study on correlation of raining and wind,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ol.-(2), pp. 62-67. [Korean literature] 

  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2002). Research report about variability of rainfall data due to wind. [Korean literature]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2009). A study on comparing observation and comparing evaluation weather observation. [Korean literature] 

  10. Lee, BS, Ko, IH, Hwang, MH, and Lee, SJ (2005). Analysis of the meter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in basin due to wind, Proceedings of 2005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1380-1383. [Korean literature] 

  11. Lee, BY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aingauge with 0.01㎜ resolution, J.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13 (7) pp. 637-643. [Korean literature] 

  12. Lee, BY, Kim, HC, and Park, BY (2005). Comparing observation using weight-type tipping-bucket rain gauge, Proceedings of the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pp. 450-451. [Korean literature] 

  13. Lima, JLMP, Torfs, PJJF, and Singh, VP (2002). A mathematical model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wind on downward-spraying rainfall simulator, Catena, 46(4), pp. 221-241. 

  14. Nespor, V and Sevruk, B (1999). Estimation of wind-Induced error of rainfall gauge measurements using a numerical simulation, J.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16(4), pp. 450-464. 

  15. Nystuen, JA, Black, PG, and Wilkerson, JC (1996). A comparison of automatic rain gauges, J.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13(1), pp. 62-73. 

  16. Oh CS (2000). Introduction to neuro computer, Naeha Publisher. [Korean literature] 

  17. Sevruk, B, Ondras, M, and Chvila, B (2009). The WMO precipitation measurement intercomparisons, Atmospheric Research, 92(3), pp. 376-380. 

  18. Sevruk, B (1996). Adjustment of tipping-bucket precipitation gauge measurements, Atmospheric Research, 42(1-4), pp. 237-246. 

  19. Shin, GW and Hong, ST (2006). Analysis for the measurement uncertainty of the tipping-bucket type rain gauge using the standard calibration facility,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 2006(6), pp. 569-574. [Korean literature] 

  20. Shin, GW and Hong, ST (2006). Development of standard calibration system for the rain gauges by weighing method, J.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 12(8), pp. 818-823. [Korean literature] 

  21. Shin, GW, Hong, ST, and Lee, DG (2005). The Error analysis of the rain-gauges typed of tipping bucket according to rainfall intensity,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2507-2509. [Korean literature] 

  22. Sim, GB (2013). Rainfall and runoff analysis by considering the wind effects, Master's Thesis, Sunmoon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23. Woo, DM (2002).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infall intensity by the tipping-bucket rain gaug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J.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8(5), pp. 479-491. [Korean literature] 

  24. Yang, D, Goodison, BE, and Metcalfe, JR (1998). Accuracy of NWS 8" standard nonrecording precipitation gauge: results and application of WMO intercomparison, J.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15(1), pp. 54-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