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수자원 정보 관리 방안에 관한 검토
A Review on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and Cloud Computing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8 no.1, 2016년, pp.100 - 112  

김연수 (인하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강나래 (인하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정재원 (서울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 ,  김형수 (인하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내 외 수자원 정책의 방향은 전통적인 이 치수 부문과 함께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해 지속가능한 물 관리에 대한 필요가 강조되면서 수자원 정보의 수집, 관리 및 제공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과거 수자원 정보는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이미 정하고 거기에 맞도록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기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비정형 데이터를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도출할 수 있는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면서 수자원 정보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자원 정보 관리의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수자원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 및 이용을 위해 수자원 분야에서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적용 방안을 검토 및 제언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수자원 정보 관리의 현황과 방향을 살펴보고, 빅 데이터의 3대 요소인 크기(Volume), 속도(Velocity), 다양성(Variety)과 함께 추가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정확성(Veracity), 가치(Value)개념을 연계하였다.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증가하는 수자원 관련 빅 데이터와 수요자의 변화에 대해 신속하고 유연한 대처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앞으로의 수자원 정보 관리는 정보의 크기(Volume), 속도(Velocity), 다양성(Variety) 등의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적용을 통한 인명과 재산의 보호 등 공공의 목적, 물 관리 및 재난의 예방과 대응에 필요한 정확한(Veracity) 정보의 생산, 그리고 다른 분야와의 융합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수자원 정보의 가치(Value)를 높이는 방행으로 나아가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the direction of water resources policy is changing from the typical plan for water use and flood control to the sustainable water resources manage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is change makes the information related to water resources such as data collection, management, and s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빅 데이터의 기본 3대 요소인 3V와 함께 최근 추가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다양한 V 요소 중 수집되는 자료의 정확성 (Veracity)과 제공되는 자료의 가치(Value) 부분을 고려하여 수자원 분야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또한, 기후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처, 수자원 확보의 다변화, 인간과 생태가 어우러진 복합공간으로의 활용 등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어 수자원과 관련된 정보는 정책 결정에 중요한 배경자료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자원 정보 관리의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수자원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 및 이용을 위해 수자원 분야에서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적용 방안을 검토 및 제언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내외의 수자원 정보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적용 방안을 살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빅 데이터의 정의는 무엇인가? 빅 데이터(Big Data)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다양한 정의들이 존재하고 있다. 빅 데이터에 대한 최초이자 가장 일반적으로 정의로는 “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하는 기존 데이터베이스 처리방식을 뛰어넘는 데이터 집합 및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처리 소프트웨어의 수용 한계를 넘어서는 크기의 데이터를 말한다.
빅 데이터의 규모는 어떤 특징을 지니는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처리 소프트웨어의 수용 한계를 넘어서는 크기의 데이터를 말한다. 빅 데이터의 규모는 단일 데이터 집합의 크기가 수십 테라바이트(TB)에서 수 페타바이트(PB)에 이르며, 그 크기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이 특징이다(Wikipedia, 2015). 빅데이터는 데이터의 양(Volume), 데이터 입출력의 속도(Velocity), 데이터 종류의 다양성(Variety)이라는 세 개의 차원(3V)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빅 데이터는 분산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무엇을 기반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 빅 데이터는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는 특성상 한 대의 컴퓨터에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여러 대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나누어서 저장하는 분산 환경의 저장 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분산된 데이터를 처리 하기 위해 여러 대의 컴퓨터가 유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을 기반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빅 데이터는 클라우드 가상화 기술을 통해 이전에는 불가능하게 보였던 수십 테라바이트(TB)에서 페타바이트(PB)까지의 빅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컴퓨터를 원하는 만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L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e, IS. (2006). Weather Dominates, Planet Media. [Korean Literature] 

  2. BDT Insights. (2014). Cutting edge Environment Protector 'Big Data'. http://www.bdtinsights.com/kr/ 

  3. IBM (2012), Analysis: The real advantage of Big Data, IBM IBM Institute for Business Value [Korean Literature] 

  4. IDC Digital Universe Study: extracting value from chaos, http://www.emc.com/collateral/demos/microsites/emc-digital-universe-2011/index.htm 

  5. Kang, TG., Lee, Y., Hong, YS., Jung, SW. (2012). Analysis of River Environment Management in China and Cooperation Method between Korea and China.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and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6. Kim, DP. and Lee, NH. (2010).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on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Korean Literature] 

  7. Kim, HK. (2012). Social Issues and Big Data Strategy of Korea. The 3rd National Strategy Forum of Big Data,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pp. 7-19. [Korean Literature] 

  8. Kim, JH. (2004). Water Resources Policy of Japan.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7(6), pp. 55-69. [Korean Literature] 

  9. Kim, JW. (2015).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inundation depth of flow duration and plant habitat -A case study on Binae wetland-. Thesis for Master' Degree, Inha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10. Kim, SJ. (2011).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and Ecological Habitat in A River Basin. Ph.D.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3). Meteorological Technology & Policy, 6(2). [Korean Literature] 

  12. KT Economic Management Institute (2012) Big Data Recent global trends and issues. [Korean Literature] 

  13. Lee, JS. and Kim, JW. (2013). Creative Economy and Water Industry.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orean Literature] 

  14. Lee, KH. (2011). Estimation of Expected Flood Damage considering Uncertainty and Under Climate Change. Ph.D.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1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3). Data analysis for a better future: Global Best Practices of Big Data II. [Korean Literature] 

  1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Research of Development for Automatic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Data Open System and Real-Time Monitoring Method,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7. Park, MJ. (2006). Flood Forecast System of America.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7), pp. 47-54. [Korean Literature] 

  18. Park, SJ. (2011). International Water Policy Trends and Implications. Water Journal. [Korean Literature] 

  19. Shim, MP. (2006). Survival Conditions in 21st Century.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6), pp. 61-63. [Korean Literature] 

  20. TDWI Reserach (2011). Big data analytics Report [Korean Literature] 

  21. Water Resources Management Office. (2007). Case of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in Korea. K-Water. [Korean Literature] 

  22. Wikipedia, http://ko.wikipedia.org/wiki/ 

  23. Yoo, Grace. (2013). The role of the Researcher in Big Data Era. TNS Consul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