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형정수식물을 활용한 높은 생산성의 인공습지 조성 및 관리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Artificial Wetland Using Emergent Macrophytes for High Biomass Production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6 no.1, 2014년, pp.61 - 72  

홍문기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허영진 (일송환경복원(주)) ,  김재근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높은 생산성을 위한 인공습지 조성 및 관리 방안 제시를 위해 세 가지 대형정수식물(갈대, 애기부들, 줄)을 두 가지 매질조건(개별 매질과 혼합 매질)과 두 가지 수위 조건(5 cm와 20 cm)에 식재한 뒤 3년간의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줄의 경우 조성 환경에 상관없이 첫 해 초기 생육(최대 초고, 약 200 cm; 최대 지상부 생산성 약 500 $g/m^2$)뿐만 아니라 3년경과 후 최종 생육(줄, 약 1,100 $g/m^2$; 애기부들, 770 $g/m^2$; 갈대, 450 $g/m^2$)에 있어, 전반적으로 갈대나 애기부들에 비해 월등하게 나타났다. 특히 초기 생육이 좋았던 줄은 자연적으로 유입돼 발생하는 잡초들에 의한 피해가 거의 없었던 반면 갈대나 애기부들의 경우 다년생 잡초를 포함한 여러 잡초와의 종간 경쟁으로 생육이 다소 부진하였다. 특히 얕은 수심환경과 moss peat를 포함한 혼합 매질 조건에선 식재종들의 생육이 전반적으로 부진하였으며, 그로 인해 잡초들의 생육이 상대적으로 좋았다. 높은 지상부 생산성을 위한 인공습지 조성을 위해선 줄과 같이 생육 환경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며 초기 생육이 뛰어난 종의 선발을 통해 자연유입 잡초나 야생동물 등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시켜야 할 것이다. 만약 줄이 아닌 갈대나 애기부들과 같은 종을 식재하고자 한다면 온실과 같은 환경에서 일정 수준 이상 생육시킨 뒤 식재함으로써 더욱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높은 지상부 생산성을 위한 인공습지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선 한두 가지 선택지가 아닌 제초와 관련된 최적의 관리방안들을 적시에 활용하는 통합적 잡초 관리 시스템의 적용을 제안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esent a guideline on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artificial wetlands for high biomass production, three emergent macrophytes (Phragmites australis, PA; Typha angustifolia, TA; and Zizania latifolia, ZL) were planted under two substrates conditions (general soil with and without moss pe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이에 관한 연구가 사실 상 굉장히 미진하며 국외 사례 등을 그대로 도입ㆍ적용하는 것 또한 우리의 실정과 맞지 않아 인공습지 조성을 통한 충분한 산물 도출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습지 조성 후 약 3년에 걸쳐 수행된 모니터링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국내외 사례를 토대로 적정 식물종을 1차 선별한 뒤 여러 가지 매질 및 수위 조건에 적용해봄으로써, 높은 생산성이 확보된 인공습지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조건에서의 자연잡초 발생 양상 분석 등을 통해 습지 조성 후 적정 관리 방안도 함께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습지 조성 후 약 3년에 걸쳐 수행된 모니터링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국내외 사례를 토대로 적정 식물종을 1차 선별한 뒤 여러 가지 매질 및 수위 조건에 적용해봄으로써, 높은 생산성이 확보된 인공습지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조건에서의 자연잡초 발생 양상 분석 등을 통해 습지 조성 후 적정 관리 방안도 함께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습지와 인공습지의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특정 지역의 기후나 지형, 수질 및 토질 등에 따라 습지의 기능과 가치가 결정되는 자연습지와는 달리 인공습지의 경우 조성 목적과 목표 등에 따라 습지의 이화학적 특성 및 습지 내 서식종을 달리한다(Choung and Roh, 2002; Kwon et al., 2010). 즉, 특수한 목적성을 띠는 인공습지의 경우 그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설계와 조성이 필수적이며 사후 모니터링 및 관리를 통해 해당 습지가 기존의 목적에 따른 기능을 지속적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Overton and Stehman, 1996).
인공습지의 높은 생산성을 위해 우선적으로 이뤄지고, 수반되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인공습지의 높은 생산성을 위해선 생산자로서 최적인 식물종에 대한 적절한 선발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하며 더불어 해당 식물종의 최적 생육을 보장하는 환경 조성과 지속적인 사후 관리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 다양한 습지식물종 중 높은 생산성을 보이는 식물종들에 대한 우선적인 선별작업이 필수적이며 해당종들이 선호하는 환경에 대한 파악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Tanner, 1996; Yi et al.
자연 유입된 잡초에 의한 갈대, 애기부들, 줄의 피해 정도는 어떠했는가? 그 결과 줄의 경우 조성 환경에 상관없이 첫 해 초기 생육(최대 초고, 약 200 cm; 최대 지상부 생산성 약 500 $g/m^2$)뿐만 아니라 3년경과 후 최종 생육(줄, 약 1,100 $g/m^2$; 애기부들, 770 $g/m^2$; 갈대, 450 $g/m^2$)에 있어, 전반적으로 갈대나 애기부들에 비해 월등하게 나타났다. 특히 초기 생육이 좋았던 줄은 자연적으로 유입돼 발생하는 잡초들에 의한 피해가 거의 없었던 반면 갈대나 애기부들의 경우 다년생 잡초를 포함한 여러 잡초와의 종간 경쟁으로 생육이 다소 부진하였다. 특히 얕은 수심환경과 moss peat를 포함한 혼합 매질 조건에선 식재종들의 생육이 전반적으로 부진하였으며, 그로 인해 잡초들의 생육이 상대적으로 좋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saeda, T, Lan, NK and Manatunge, J (2005). Effects of self-thinning of shoots on the nutrient budgets of Zizania latifolia, Hydrobiologia, 537(1-3), pp. 47-52. 

  2. Asaeda, T and Siong, K (2008). Dynamics of growth, carbon and nutrient translocation in Zizania latifolia, Ecological Engineering, 32(2), pp. 156-165. 

  3. Cho, K-H and Kim, J-H (1994). Comparison of shoot growth in the populations of Zizania latifolia along water depth, Korean J. of Ecology, 17(1), pp. 59-67. [Korean Literature] 

  4. Choung, Y and Roh, C-H (2002). Application of macrophytes for the treatment of drained water from a freshwater fish-farm: II. Growth and nutrient uptake on floating beds of two emergent plants, Zizania latifolia and Typha angustata, Korean J. of Ecology, 25(1), pp. 45-49. [Korean Literature] 

  5. Costanza, R, d'Arge, R, de Groot, R, Farber, S, Grasso, M, Hannon, B, Limburg, K, Naeem, S, O'Neill, RV, Paruelo, J, Raskin, RG, Sutton, P and van den Belt, M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pp. 253-260. 

  6. Gren, I-M, Folke, C, Turner, K and Batemen, I (1994). Primary and secondary values of wetland ecosystems,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4(1), pp. 55-74. 

  7. Gross, MF, Hardisky, MA, Wolf, PL and Klemas, V (1991). Relationship between aboveground and belowground biomass of Spartina alterniflora (Smooth Cordgrass), Estuaries and Coasts, 14(2), pp. 180-181. 

  8. Hong, M-G and Kim, JG (2013). Cutting efficiency using Phragmites australis culms according to content and timing of Indole-acetic acid treatment, J. of Wetlands Research, 15(1), pp. 35-41. [Korean Literature] 

  9. Inoue, TM and Tsuchiya, T (2006). Growth strategy of an emergent macrophyte, Typha orientalis Presl, in comparison with Typha latifolia and Typha angustifolia L., Limnology, 7(3), pp. 171-174. 

  10. Kim, K-S and Kim, JS (2010). Optimization of ammonia percolation process for ethanol production from Miscanthus sinensis, The Korean J. of Chemical Engineering, 48(6), pp. 704-711. [Korean Literature] 

  11. Kim, JJ, Kim, JS, Kim, LH and Yang, KC (2012). Characteristics of nutrient uptake by aquatic plant i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livestock wastewater, J. of Wetlands Research, 14(1), pp. 121-130. [Korean Literature] 

  12. Kim, DH, Kim, HT and Kim, JG (2013a). Effects of water level and soil type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Persicaria thunbergii during early growth stages, Ecological Engineering, 61(2013), pp. 90-93. 

  13. Kim, T, Jeong, J, Moon, S, Yang, H and Yang, B (2013b). Introduction to national mid-term fundamental plan for wetland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J. of Wetlands Research, 15(4), pp. 519-527. [Korean Literature] 

  14. Kim, Y-H, Kil, J-H, Hwang, S-M and Lee, C-W (2013c). Spreading and distribution of Lactuca scariola, invasive alien plant, by habitat types in Korea, Weed and Turfgrass Science. 2(2), pp. 138-151. [Korean Literature] 

  15. Korean Plant Names Index (KPNI) (2007). http://nature. go.kr/kpni 

  16. Kwon, GJ, Lee, BA, Byun, CH, Nam, JM and Kim, JG (2006). The optimal environmental ranges for wetland plants : I. Zizania latifolia and Typha angustifolia, J.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Technology, 9(1), pp. 72-88. [Korean Literature] 

  17. Kwon, HJ, Kim, YS and Ryu, BY (2010). Selection of plant for constructing ecological wetlands on the rooftop greening, Flower Research J., 18(2), pp. 117-124. [Korean Literature] 

  18.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ayng Mun Sa. 

  19. Lee, J-I, Choi, H-J, Jung, H-D and Choi, Y-S (2009). Evaluating economic feasibility of bio-ethanol production using fallow fields, Korean J.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21(2), pp. 102-110. [Korean Literature] 

  20. Lee, SG, Kim, DS, Im, IB and Pyon, JY (2005). Growth and yield of rice as affected by different densities of perennial weeds and prediction of rice yield loss in paddy fields, Korean J. of Weed Science. 25(4), pp. 295-303. [Korean Literature] 

  21. Lee, S and Cho, Y (2011). A study on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Hoeya dam reservoir using ecological constructed wetland, J. of Wetlands Research, 13(3), pp. 489-497. [Korean Literature] 

  22. Lee, J, Kang, C, Lee, S and Kim, L-H (2011). Application of free water surface constructed wetland for NPS control in livestock watershed area, J. of Wetlands Research, 13(3), pp. 481-488. [Korean Literature] 

  23. Lee, G-J and Sung, K (2013). Effects of floating and submerged plants on important water environments of wetland, J. of Wetlands Research, 15(3), pp. 289-300. [Korean Literature] 

  24. Mauchamp, A, Blanch, S and Grillas, P (2001). Effects of submergence on the growth of Phragmites australis seedlings, Aquatic Botany, 69(2-4), pp. 147-164. 

  25. Mitsch, WJ and Winson, RF (1996). Improving the success of wetland creation and restoration with knowhow, time, and self-design, Ecological Application, 6(1), pp. 77-83. 

  26. Nam, GS, Pae, YS, Kim, HJ, Lee, SJ and Lee, GS (2004). Application of subsurface flow wetland using the Phragmites australi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 J. of Korean Wetlands Society, 6(4), pp. 59-69. [Korean Literature] 

  27. Overton, WS and Stehman, SV (1996). Desirable design characteristics for long-term monitoring of ecological variable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tatistics, 3(4), pp. 349-361. 

  28. Oh, YC (2006). Korean Coracoideae of Cyperaceae.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29. Rejmankova, E (2011). The role of macrophytes in wetland ecosystems, J.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4(4), pp. 333-345. 

  30. Seo, D-C, Jang, B-I, Jo, I-S, Lim, S-C, Lee, H-J, Cho, J-S, Kim, H-C and Heo, J-S (2006). Selection of optimum water plant in constructed wetland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for municipal sewage treatment, Korean J.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5(1), pp. 25-33. [Korean Literature] 

  31. Seo, S, Kim, WH, Jung, MW, Lee, SH, Kim, CM, Choi, JH, Kim, JS, Kim, HY and Lee, JK (2011). Forage quality and production of Phragmites communis as a native grass according to growth stages, J.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1(2), pp. 151-158. [Korean Literature] 

  32. Seo, S, Kim, WH, Jung, MW, Park, HS, Shim, JJ, Park, JG, Sung, HG, Kim, JD and Lee, JK (2012). Studies on utilization survey and forag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inensis as native grasses in Paju and Ansan district 2010, J.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2(2), pp. 109-116. [Korean Literature] 

  33. Sharma, A, Bargalis, K and Pande, N (2009). The allelopathic potential of bryophyte extract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Bidens biternata, Nature Science, 7(6), pp. 30-38. 

  34. Swanton, CJ, Mahoney, KJ, Chandler, K and Gulden, RH (2008). Integrated weed management: knowledgebased weed management systems, Weed Science, 56(1), pp. 168-172. 

  35. Tanner, CC (1996). Plants for constructed wetland treatment systems - A comparison of the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eight emergent species, Ecological Engineering, 7(1), pp. 59-83. 

  36. Vretare, V, Weisner, SEB, Strand, JA and Graneli, W (2001). Phenotypic plasticity in Phragmites australis as a functional response to water depth, Aquatic Botany, 69(2-4), pp. 127-145. 

  37. Yi, YM, Kang, D and Sung, K (2009). Germination experiment using natural wetland soil for introducing non-emergent plants into a constructed wetland, J. of Wetlands Research 11(1), pp. 39-48. [Korean Literature] 

  38. Zedler, JB and Kercher, S (2004). Causes and consequences of invasive plants in wetlands: opportunities, opportunists, and outcomes, Critical Reviews in Plant Sciences, 23(5), pp. 431-4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