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지리적 입지에 따른 내륙습지 가치평가
Value Assessment for Inland Wetlands according to Ecological Geographic Distribution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8 no.4, 2016년, pp.456 - 464  

이정환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습지센터) ,  임란영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습지센터) ,  이관규 (강원대학교 조경학과) ,  박현철 (강원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은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전국을 조사하여 총 1,916개소의 내륙습지 인벤토리를 구축한 바 있다. 본 연구는 국가보호지역과 내륙습지와의 입지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내륙습지의 관리가치 측면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내륙습지의 상당수가 자연환경의 보호가치가 높아 국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지역 내에 입지(527개소, 31.61%)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지역 반경 1km 까지 범위를 넓혀 보면 959개소로 전체 국가내륙습지의 57.53%에 해당하는 수가 보호지역 내 및 인근에 입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하천수계 반경 1km 내에 46.79%가 분포하여 보호지역 내 분포하는 습지 중 81.33%를 기록하고 있어서 현재의 내륙습지의 입지는 대부분 하천수계에 접하여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종 보호지역과의 이격거리를 분석하여 중첩 분석한 결과를 상, 중, 하로 평점구분하고 내륙습지와의 입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호가치가 '상'인 지역에 분포한 습지의 개소가 998(59.87%)에 해당하였다. 보호가치가 '하'인 지역에도 289개소(17.34%)가 분포되어 있는데, 이는 인공화된 지역에 입지한 습지로써 환경압력에 더욱 노출되어 있는 습지임을 의미하므로 훼손방지를 위한 대책수립을 고려해야 할 내륙습지로 의사결정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established an inventory of 1,916 sites of inland wetlands during a nationwide investigation from 2000 to 2010. If inland wetlands is included in or near various protected areas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it can be selected as a wetland to be managed with priority. This study evaluate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or wetlands exposed to higher levels of environmental pressure, special management for endangered wetlands would be needed; if damage by environmental pressures cannot be avoided, composition of alternative wetlands may be considered. Improved conservation policy is neede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wetlands within the wetland management system of this stud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nai, R (1993). Fuzziness i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contributions from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ternational J.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7(4), pp. 315-329. 

  2. Cowardin, LM, Carter, V, Golet, FC and LaRoe, ET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FWS/OBS, 79(31), pp. 131. 

  3. Cylinder, PD, Bogdan, KM, Davis, EM and Herson, AI (1995). Wetlands Regulation: A Complete Guide to Federal and California Programs, Solano Press Books, California, USA. 

  4. Graymore MLM, Wallis, AM and Richards, AJ (2009). An index of regional sustainability: A GIS-based multiple criteria analysis decision support system for progressing sustainability, Ecological Complexity, 6(4), pp. 453-462. 

  5. Kim, TS, Jeong, JW, Moon, SG, Yang, HS and Yang, BG (2013). Introduction of national mid-term fundamental plan for wetland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J. of Wetlands Research, 15(4), pp. 519-527. [Korean Literature] 

  6. Lee, GG (2011).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s for wildlife Protection Areas in South Korea, J.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20(5), pp. 685-695. [Korean Literature] 

  7. Mistry of Environment (2011). The 3rd Inland Wetlands Investigation Guidelines Research, Sejong, Korea. [Korean Literature] 

  8. Mistry of Environment (2013). The Current Situation of registration of wetland conservation area and ramsar wetland (2012.12), Sejong, Korea. [Korean Literature] 

  9. Mitsch, WJ and Gosselink, JG (1993). Wetlands, 2nd Edition, Wiley, New York, USA. 

  10. Mitsch, WJ and Gosselink, JG (2000). The value of wetlands: importance of scale and landscape setting, Ecological Economics, 35(1), pp. 25-33. 

  11. National Wetlands Center (2013). The 1st Inland Wetlands Monitoring Guidelines, Changnyeong, Korea. [Korean Literature] 

  12. Neter, J, Kutner, M, Wasserman, W and Nachtsheim, C (1996). Applied Linear Statistical Models 4th Edition, Irwin, Chicago, USA. 

  13. Neter, J, Wasserman, W and Kutner, MH (1990). Applied Linear Statistical Models: Regression, Analysis of Variance, and Experimental Designs, Irwin, Homewood, USA. 

  14. Vladimir, S, Wangb, W and Hardle, WK (2013). Local quantile regression, J. of Statistical Planning and Inference, 143(7), pp. 1109-1129. 

  15. You, JH, Jung, SG, Choi, WY and Lee, WS (2006). Rank Decis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Assessment Field Introducing Fuzzy Integral,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5), pp. 39-51.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