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을 통한 강우관측망 평가 및 추정오차
Evaluation of Raingauge Network using Area Average Rainfall Estimation and the Estimation Error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6 no.1, 2014년, pp.103 - 112  

이지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디자인) ,  전환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디자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면적평균강우량의 산정은 가용 수자원의 정확한 양을 파악하고 강우-유출해석에 필수적인 입력자료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면적평균강우량의 정확한 산정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은 강우관측망의 균일한 공간적 분포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향상된 유역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을 위한 강우관측망의 공간분포 평가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한강 및 금강 유역에 적용하였다.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분포 특성은 최근린 지수(nearest neighbor index)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유역별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분포가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3년의 강우사상에 대해 산술평균법, 티센가중법, 추정이론을 이용하여 면적평균강우량을 산정하고 각 경우에 대해 추정오차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공간분포가 우수한 유역은 면적평균강우량의 추정오차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반대로 공간분포가 왜곡된 유역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추정오차가 큼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ea average rainfall estimation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exact amount of the available water resources and the essential input data for rainfall-runoff analysis. Like that, the necessary criterion for accurate area average rainfall estimate is the uniform spatial distribution of raingauge net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격자크기를 적게 한 경우 자료의 분포 패턴이 모호해 지며, 너무 큰 격자크기를 설정할 경우 높은 빈도 및 낮은 빈도로 구성된 불규칙한 자료의 분포를 파악하기 힘들어 진다(Sturges, 1926). 따라서 공간적 분포특성을 정량화하기 어려워 본 연구에서는 배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강 및 금강유역에 대해 강우관측망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강우-유출해석 시 입력자료인 면적평균강우량의 추정오차를 평가하였다.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분포 특성은 최근린 지수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 아울러 강우관측망의 공간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공간분포 특성이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에 있어 어느 정도의 추정오차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방법론을 바탕으로 한강 및 금강 유역에 대해 강우관측망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강우-유출해석 시 입력자료인 면적평균강우량의 추정오차를 산정하고자 한다. 면적평균강우량 산정방법으로는 산술평균법, 티센가중법, 추정이론을 적용하였다.

가설 설정

  • 최적가중치를 이용하여 유역의 면적평균강우량을 산정하는 추정이론은 다음과 같다. 추정이론은 강우의 변동성을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추정이론은 강우관측소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가정에 근거한다. 강우관측소가 서로 독립적이라는 가정 하에 추정이론의 면적평균강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North and Stevens, 1998; Stevens and North, 199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면적평균강우량의 산정이 중요한 이유는? 면적평균강우량의 산정은 가용 수자원의 정확한 양을 파악하고 강우-유출해석에 필수적인 입력자료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면적평균강우량의 정확한 산정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은 강우관측망의 균일한 공간적 분포이다.
면적평균강우량의 정확한 산정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은 무엇인가? 면적평균강우량의 산정은 가용 수자원의 정확한 양을 파악하고 강우-유출해석에 필수적인 입력자료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면적평균강우량의 정확한 산정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은 강우관측망의 균일한 공간적 분포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향상된 유역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을 위한 강우관측망의 공간분포 평가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한강 및 금강 유역에 적용하였다.
수문관측소의 수문관측망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아울러 국토해양부에서는 효율적인 수문조사를 위해 국가유량측정망(2007) 및 국가수문관측망(2012)을 구축하였으며, 각 기관별로 필요에 의해 관측소가 신설되었다. 이러한 수문관측망은 크게 수위관측망, 유량관측망, 강우관측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Zahrani, M and Husain, T (1998). An algorithm for designing a precipitation network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Saudi Arabia, J. of Hydrology, 205, pp. 205-216. 

  2. Bell. TL (1986). Theory of optimal weighting of data to detect climate change, J. of the Atmospheric Science, 43, pp. 1694-1710. 

  3. Caselton, WF and Husain, T (1980). Hydrologic networks: Information transmission, J.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Division, 106, pp. 503-529. 

  4. Chapman, TG (1986). Entropy as a measure of hydrologic data uncertainty and model performance, J. of Hydrology, 85, pp. 111-126. 

  5. Choi, MH (2007). A Study on spatial distribution of cultural assets using point-patten analysis, Ma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n Literature] 

  6. Getis, A (1964). Temporal land-use pattern analysis with the use of nearest neighbor and quadrat methods.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54(3), pp. 391-399. 

  7. Getis, A and Boots, B (1978). Models of spatial process : An approach to the study of point, Line and area patterns,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Grieg-Smith, P (1952) The use of random and contiguous quadrat in the study of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ies. Annals of botany(London), 16, pp. 293-316. 

  9. Hegerl, GC and North, GR (1997). Comparison of statistically optimal approaches to detecting anthropogenic climate change, J. of Climate, 10(5), pp. 1125-1133. 

  10. Jung, JJ and No, YH (2007). A study on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urbanized area using GIS analysis: Focused on urban growth of Seoul metropolitan, J.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10(3). pp. 319-331. [Korean Literature] 

  11. Kim, JB, Bae, YD, Park, BJ and Kim, JH (2007). Evaluation of raingauge networks in the Soyanggang dam river basin, Proceedings of the 2007 Conference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p. 178-182. [Korean Literature] 

  12. Kim, SJ, Kim DS, Kim C, Bae, DH, Sin, SC, Cho, MH and Cho, JS (2005). Concepts & techniques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Sigmaplus Publisher. [Korean Literature] 

  13.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RIHS). (2004). Spatial analysis, Hanul Publisher. [Korean Literature] 

  14. Krstanovic, P.F. and Singh, V.P. (1992). Evaluation of rainfall networks using entropy: II. Application, J.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6, pp. 295-314. 

  15. Lee, JH, Byun, HS, Kim, HS and Jun, HD (2013). Evaluation of a raingauge network conside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entropy : A case study of Imha dam basin, J. of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2). pp. 217-226. [Korean Literature] 

  16. Lloyd, CD (2006). Local models for spatial analysis. CRC Press.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 (2004). Hangang Watershed Research III, Hydraulic and Hydrological Research Report. [Korean Literature] 

  18. Mogheir, Y, de Lima, JLM and Singh, VP (2004). Characterizing the spatial variability of groundwater quality using the entropy theory: I. Synthetic data, Hydrological processes, 18, pp. 2165-2179. 

  19. North, GR (1984).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s and normal modes, J. of the Atmospheric Sciences, 41(5), pp. 879-887. 

  20. North, GR and Stevens, MJ (1998). Detecting climate signals in the surface temperature record, J. of Climate, 11(4), pp. 563-577. 

  21. Shen, SSP, North, GR and Kim, KY (1994). Spectral approach to optimal estimation of the global average temperature, J. of Climate, 7(12), pp. 1999-2007. 

  22. Stevens, MJ and North, GR (1996). Detection of the climate response to the solar cycle, J. of the Atmospheric Sciences, 53(18), pp. 2594-2608. 

  23. Sturges, H (1926). The choice of a class-interval. J.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21, pp. 65-66. 

  24. Thomas, RW (1977). An introduction to quadrat analysis, 2nd edition, Geo Abstracts Ltd., University of East Anglia. 

  25.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1994). Guide to hydrological practices, Fifth edition, WMONo.168. 

  26. Yoo, CS and Jung, KS(2001). Estimation of area average rainfall amount and its error,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4), pp. 317-326. [Korean Literature] 

  27. Yoo, CS and Jung, KS (2002). Evaluation of raingauge networks using entropy theory: Comparison of mixed and continuous distribution applications, J. of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22(4-B). pp. 447-457. [Korean Literature] 

  28. Yoo, CS, Kim, IB and Ryu, SR (2003). Evaluation of raingauge den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A case study for Nam Han river basin,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6(2), pp. 173-181. [Korean Literature] 

  29. Yoo, CS, Lee, JH, Yang DM and Jung JH (2011). Spatial analysis of rain gauge networks: Application of uniform and Poisson distributions, J. of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1(4). pp. 179-187. [Korean Literature] 

  30. Yoon, YN (2007). Hydrology, Chungmoongak Publisher.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