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정능력지수 산정에 있어 고려사항
Issues on the Calculation of the Process Capability Index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37 no.1, 2014년, pp.127 - 132  

이도경 (금오공과대학교 산업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process capability index in single process. We enumerated issues on the calculation of process capability index and described the effects of these issues. We explaine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reason of the representative existing process capability indices. We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본적으로 공정능력이 부적합률과 일치해야 할 의무는 없다. 만일 공정능력이 부적합률과 일치해야 한다면, 구태여 복잡한 공식을 사용해야 하고, 그 값이 제공하는 공정능력 정도가 부적합률 보다 불명료한 공정능력지수는 불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여러 연구에서 제시하는 공정능력지수들이 주장하는 ‘보다 정확한 공정능력지수’의 기준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 앞 장에서 우리는 공정능력의 개념에서 시작하여, 공정능력 산정에 있어 다양한 현실 상황을 고려한 여러 공정능력지수들이 개발되어온 이유와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장에서는 공정능력에 대한 기본 개념과 그간에 발표된 공정능력지수 모형들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제시한다.
  • 앞서 공정이 정규분포와 다른 모습을 취하는 경우에 있어 대표적인 논문들을 소개하였다. Kotz and Johnson[11]은 표본크기가 작을수록 #는 Cp에 비해 과대평가됨을 지적하였다.
  • 앞서 언급한 것처럼 우리가 부적합률 이외에 공정능력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실제 공정산포와 허용 가능한 공정산포를 비교하고자 함이다. 그러므로 기본적으로 공정능력이 부적합률과 일치해야 할 의무는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정능력지수란 무엇인가? 공정능력지수는 전통적인 의미에서 실제 공정산포와 허용 가능한 공정산포를 비교한 수치이다. 허용 가능한 공정산포는 공정규격의 상한과 하한 사이의 간격이며, 실제 공정산포는 공정이 관리상태에 있을 때 그 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변동을 말한다.
공정능력은 무엇에 있어 중요한 부분인가? 허용 가능한 공정산포는 공정규격의 상한과 하한 사이의 간격이며, 실제 공정산포는 공정이 관리상태에 있을 때 그 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변동을 말한다. 공정능력은 끊임없는 품질과 생산성의 개선을 점검하기 위한 공정관리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공정능력지수는 이런 공정능력을 분석하기 위한 중요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언어에 해당한다.
공정능력이 부적합률과 일치해야 할 의무가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우리가 부적합률 이외에 공정능력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실제 공정산포와 허용 가능한 공정산포를 비교하고자 함이다. 그러므로 기본적으로 공정능력이 부적합률과 일치해야 할 의무는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ik, J.W. and Jo, J., Criticism and Guideline for the Use of Process Capability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1999, Vol. 27, No. 2, p 81-100. 

  2. Benson, E.D., Statistical Properties of a System of Fourth-Generation Process Capability Indices Cpsk(u, v, w).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1994. 

  3. Boyles, R.A., The Taguchi Capability Index.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1991, Vol. 23, No. 1, p 17-26. 

  4. Chan, L.K., Cheng, S.W., and Spring, F.A., A New Measure of Process Capability.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1988, Vol. 20, p 162-175. 

  5. Clements, J.A., Process Capability Calculation for Non-Normal Distribution. Quality of Progress, 1989, Vol. 22, p 98-100. 

  6. Gunter, B.H., The use and abuse of Cpk. Quality of Progress, 1989, Vol. 8, No. 1, p 72-73. 

  7. Jang, Y.S. and Bai, D.S., Process Capability Indices for Skewed Population.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ing, 2000, Spring Conference, p 365-368. 

  8. Juran, J.M., Quality Control Handbook, 3rd Ed. Mcgraw-hill, New York, 1974. 

  9. Kane, V.E., Process Capability Indices.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1986, Vol. 18, No 1, p 41-52. 

  10. Kenney, J.F. and Keeping, E.S., The Distribution in Mathematics of Statistics, 2nd ed, Princeton, NJ : Van Nostrand, 1951, p 170-173. 

  11. Kotz, S. and Johnson, N.L., Process Capability Indices. Champion and Hall, 1993. 

  12. Kotz, S. and Johnson, N.L., Process Capability Indices - A Review 1999-2000.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2002, Vol. 34, No. 1, p 2-19. 

  13. Kotz, S. and Lovelace, C.R., Introduction to Process Capability Indices. Arnold, London, U.K. : 1998. 

  14. Lee, D.K. and Lee, H.S., Process capability index for single process with multiple measurement location.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07, Vol. 30, No. 3, p 28-36. 

  15. Lee, D.K.,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Process Capability and Sigma Level.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09, Vol. 30, No. 3, p 28-36. 

  16. Patnaic, P.B., The Use of Mean Range as an Estimator of Variance in Statistical Test. Biometrica, 1950, Vol. 37, No. 1, p 78-87. 

  17. Pearn, W.L., Kotz, S., and Johnson, N.L., Distributional and Inferential Properties of Process Capability Indices.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1992, Vol. 24, No. 4, p 216-231. 

  18. Pyzedek, T., How Do I Compute sigma? Let Me Count The Ways. Quality Digest, 1998, May. 

  19. Pyzedek, T., Why normal distributions aren't-All that normal. Quality Engineering, 1995, Vol. 7, p 769-777. 

  20. Quesenberry, C.P., The Effect of Sample Size on Estimated Limits for and X bar control Charts.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1993, Vol. 25, p 237-247. 

  21. Sommervile, S.E. and Montgomery, D.C., Process Capability Indices and non-normal distributions. Quality Engineering, 1996, Vol. 9, p 305-316. 

  22. Yang, K. and Hancock, W.M., Statistical Quality Control for Correlated Samples. International Journal Production Research, 1990, Vol. 28, p 595-6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