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노출경험이 도서관 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Library Exposure Experience to Freshmen's Academic Library Anxiety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5 no.1, 2014년, pp.271 - 296  

정종기 (경성대학교 문과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이 대학도서관을 이용할 경우, 대학 입학 이전의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선행적 이용경험이 대학도서관 이용에서 발생하는 도서관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A대학교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으로 표집하여 설문조사(LAS)를 수행하였다. 445명의 대학도서관을 이용한 신입생 이용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기초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대학 입학이전의 도서관 이용경험이 대학도서관 이용시의 도서관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성별, 초 중 고등학교의 소재지, 학교도서관운영자, 도서관이용교육, 도서관이용, 도서관활용수업이 도서관불안감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도서관불안과의 관계는 영향이 없었으나 초 중 고등학교의 소재지가 도시지역일수록, 학교도서관운영자가 사서(교사)인 경우, 도서관이용이 많을수록, 도서관활용수업 참여경험이 높을수록 대학도서관에서의 도서관불안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도서관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school libraries use experiences on the academic library anxiety among the freshmen of academy, A university's freshmen who had used the academic library were sampled systematically and surveyed. Data collected from 445 freshmen were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 연구에 의하면 공공도서관에 의한 ‘학교도서관 지원 사업’이 실행되어 왔으며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간의 연계, 협력 문제가 관심의 대상이 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협력관계가 공조되어 왔다. 그러므로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도서관 불안에 미치는 변수로 공공도서관의 이용 빈도, 이용 목적, 이용교육 참여빈도 등이 대학 도서관 불안에 미치는 변수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들의 초·중·고등학교 도서관의 인적자원, 이용교육, 이용빈도, 도서관활용수업 등의 요인들이 대학도서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증하고 공공도서관 이용교육, 이용 빈도 등의 요인들이 대학도서관 불안에 미치는 바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이용경험이 대학도서관 불안에 미치는 영향간의 관계를 실증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 신입생들이 대학 입학 이전의 도서관노출 경험이 대학도서관 이용시 불안감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정하기 위한 연구로 대학 입학 이전의 도서관 노출 경험을 조사하였고 대학도서관 이용시 불안 수준을 파악하고 분석을 통하여 도서관 노출 경험과 도서관 불안과의 관계를 통하여 학교도서관과 대학도서관에서 협업적인 도서관 불안 해소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먼저, 초·중·고등학교의 도서관이 과거의 도서관 환경과 비교하여 많이 개선 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 이에 기초하여 대학 신입생들의 도서관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초·중·고등학교 도서관의 물리적 환경, 이용 빈도, 이용 목적, 이용교육, 도서관활용수업 등이 대학 신입생들의 도서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한 변수로 도입하고자 한다.
  • 첫째, 대학 신입생들의 초·중·고등학교 도서관의 노출경험정도가 대학도서관의 도서관 불안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신입생들의 과거 초·중·고등학교 도서관의 노출경험(이용교육 참여 빈도, 이용 빈도, 도서관활용수업 참여 빈도)이 대학도서관의 도서관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한다.
  • 셋째, 대학신입생들의 대학도서관 불안에 미치는 영향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되었다.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도서관 경험노출정도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학 신입생의 도서관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를 분석함으로써 도서관 불안 감소를 위한 실천개입 전략 수립에 있어 제언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8년 기준 OECD회원국 중 한국의 대학진학률 순위는? 한국의 대학진학률 순위는 2008년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국 가운데 8위를 차지 하였다.1) 또한 2010년도 기준 한국의 대학생수는 약 364만여 명으로 1980년의 64만여 명에 비해약 6배 증가하였다.
대학생들의 도서관 불안 현황과 원인 규명, 그리고 도서관 불안 해소 방안에 대한 연구들의 한계점은? 문헌정보학계는 대학생들의 도서관 불안 현황과 원인 규명, 그리고 도서관 불안 해소 방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을 진행하여 왔다. 선행 연구들은 도서관 불안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는데 큰 의의가 있으나 대학생들의 도서관 이용에 관한 선행 경험 등이 포함되지 않아 대학생들의 개인적인 특성과 인구사회학적 측면에서 원인을 규명하려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신입생들에게 대학도서관은 어떤 기관인가? 대학도서관은 위치상 대체적으로 캠퍼스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지만 신입생들에게 대학도서관은 핵심적인 교수학습의 장으로 여기지 않거나 혹은 그 중요성을 자각하더라도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지지 않는 기관일 뿐이다.3) 본 연구의 대상인 대학도서관은 대학생의 교수-학습 활동, 교수의 학술 연구활동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대학교육의 중심기관으로 신입생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제고와 함께 도서관 불안, 두려움, 거부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경기개발연구원, "대학진학률 80%의 허와 실" [인용2013. 12. 20].(Gyeonggi Research Institute, "Truth and falsity of college entrance rate, 80%." [cited 2013. 12. 20].) 

  2. 곽철완, 장윤금.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 효과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7권, 제4호(2006), pp.143-160.(Kwak, Chul-wan, Yunkeum Chang.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1, No.1(2006), pp.143-160.) 

  3. 권나현. "디지털 도서관에서의 도서관불안과 측정도구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권, 제3호 (2004), pp.29-47.(Kwon, Nahyun. "Library Anxiety and library Anxiety Scale in the Digital library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38, No.2(2004), pp.29-47.) 

  4. 김홍렬. "지역주민들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4호(2008), pp.461-478.(Kim, Hongryul. "A Study on the Library Anxiety of Public Library User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9, No.4(2008), pp.461-478.) 

  5. 남영준, 김규환, 최성은. "외국인 유학생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4호((2010), pp.313-332.(Nam, Youngjoon, Gyuhwan Kim, Sungeun Choi. "A Research on Library Anxiety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Vol.41, No.4(2010), pp.313-332.) 

  6. 남태우, 박현영.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호(2006), pp.151-168.(Nam, Taewoo, Hyunyoung Park. "A Study on Library Anxiety of Domestic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7, No.1 (2006), pp.151-168.) 

  7. 남태우, 황옥경. "도서관불안 이론의 고찰." 정보관리학회지, 제22권, 제3호(2005), pp.71-84.(Nam, Taewoo, Okkyung Hwang. "A Study on the Library Anxiety."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ol.22, No.3(2005), pp.71-84.) 

  8. 노영희, 홍강표.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의 추진 현황 분석 및 평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1호(2007), pp.243-271.(Noh, Younghee, Kangpyo Hong. "An Evaluation Study on th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1, No.1(2007), pp.243-271.) 

  9. 박주범, 정동열. "디지털도서관 불안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4권, 제4호 (2010), pp.353-371.(Park, Joobum, Dongyoul Jeong.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brary Anxiety Scal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4, No.4 (2010), pp.353-371.) 

  10. 박현영, 남태우. "대학생의 도서관불안 완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1호 (2007), pp.411-429.(Park, Hyunyoung, Taewoo Nam. "A Study of Easing Library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1, No.1(2007), pp.411-429.) 

  11. 박현영, 남태우. "도서관불안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0권, 제3호(2006), pp.99-120.(Park, Hyunyoung, Taewoo Na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Anxiety Scal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0, No.3(2006), pp.99-120.) 

  12. 변우열. "학교도서관 활성화사업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3호(2004), pp.139-173.(Byun, Wooyeoul.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5, No.3(2004), pp.139-173.) 

  13. 오의경. "정보활용능력 인지 수준과 도서관 불안 간의 관계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5권, 제4 호(2011), pp.123-137.(Oh, Euikyung.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elf-Cognition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and Library Anxie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5, No.4(2011), pp.123-137) 

  14. 유병장. "고객 만족을 위한 공공도서관 평가지표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3호(2004), pp.321-339.(Ryu, Byungjang. "A Study of the Public Library Evaluation Index for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5, No.3(2004), pp.321-339.) 

  15. 이경민. "초등학생 독서교육을 위한 도서관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공공도서관의학교도서관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3호(2004), pp.95-117.(Lee, Kyungmin. "A Study on the Library Cooperation for the Reading Education-Public Library as the Main Supporter for School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5, No.3(204), pp.95-117.) 

  16. 이연옥. "북미 공공도서관계 정신건강 지원서비스의 경향과 특성."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1호(2010), pp.51-76.(Lee, Yeonok. "A Study on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ians of North Americ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1, No.1(2010), pp.51-76.) 

  17. 이용남.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연계, 협력 체제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8 권, 제2호(2007), pp.353-372.(Lee, Yongnam. "An Analysis of Cooperative Systems Betwee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in Seoul and Its Outskir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8, No.2(2007), pp.353-372.) 

  18. 장보성, 김은정, 남영준.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 불안측정과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 권, 제3호(2010), pp.309-327.(Jang, Goseong, Eunjeong Kim, Youngjoon Nam. "Measurement and Analysis of Library Anxiety among Library Handicapped User."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1, No.3(2010), pp.309-327.) 

  19. 장혜란, 오의경.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측정과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제23권, 제3호 (2006), pp.205-221.(Chang, Hyerhan, Euikyung Oh.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Library Anxiety among Academic Library Us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ol.23, No.3(2006), pp.205-221.) 

  20. 정동열.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3권, 제2호 (2002), pp.5-28.(Jeong, Dongryoul, Sungjin Kim. "A Policy Study on the Public and School Library Cooperation."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13, No.2(2002), pp.5-28.) 

  21. 정수진, 황지영, 김보금, 김기영. "한국형 도서관불안척도(K-LAS)의 통계적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지, 2009, pp.173-179.(Jeong, Sujin, Jiyoung Hwang, Bogeum Kim, Kiyoung Kim. "Statistical Analysis of Korean Library Anxiety Scale (K-LAS)." 16th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Occasional Papers Series(2009), pp.173-179.) 

  22. 통계청 홈페이지, [인용 2013. 9. 26 

  23. 한윤옥, 곽철완.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협력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5권, 제1호(2004), pp.337-357.(Han, Yoonok, Chulwan Kwak. "A Study of the Cooperation Models Between School Library and Public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5, No.1(2004), pp.337-357.) 

  24. Bostick, S. L.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ibrary Anxiety Scale. PH. D. diss., Wayne State University. 1992. 

  25. Brown, Ann Goebel. "Librarians don't bite: assessing library orientation for freshmen" Reference Services Review, Vol.32, No.4(2004), pp.394-403. 

  26. Carlile, Heather. "The Implications of Library Anxiety for Academic Reference Servic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ustralian Academic & Research Libraries, Vol.38, No.2(2007), pp.129-147. 

  27. Cleveland, Alison. "A Study of Library Anxiety in History and Physical Education Majors." M.A. thesis,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 2004. 

  28. Coffin, R. J., &MacIntyre, P. D. "Motivational Influence on computer-related affected stat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15(1999), pp.546-569. 

  29. Hackbath, G., Grover. V., &Yi, M. "Computer playfulness and anxiety: positive and negative mediators of system experience effect in perceived ease of use." Information & Management, Vol.40, No.3(2003), pp.221-232. 

  30. Hardesty, Larry, Ed. The Role of the Library in the First College Year. The First-Year Experience Monograph Series No. 45. National Resource Center for The First-Year Experience and Students in Transition, 2007, p.296 

  31. Jiao, Qun G.; Onwuegbuzie, Anthony J. 1995. Library Anxiety: Characteristics of 'At-Risk' College Students, Annual Mid-South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Biloxi, MS, November 9, 1995) 

  32. Jiaol, Qun G., Onwuegbuzie, Antohony J., Daley, Christine E. 1997. Factors Associated with Library Anxiety. Annua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Chicago, IL, March 24-28, 1997). pp.1-22. [cited 2013. 1. 22]. 

  33. Jiao, Qun G.; Onwuegbuzie, Anthony J. "Library anxiety and characteristic strengths and weaknesses of graduate students' study habits." Library Review, Vol.50, No.2(2001), pp.73-81. 

  34. Jiao, Qun G. "The Relationship between race and library anxiety among graduate students: A replication study."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Vol.42, No.3(2006), pp.843-851. 

  35. Kwon, Nahyun. "AMixed-Methods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Library Anxiet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ir Information Search Process," College & Research Libraries, Vol.69, No.2(2008), pp.117-131. 

  36. Legaspi, Connie Lea C. "The relationship of secondary school library use and library anxiety among U.P. Diliman Freshmen students." Journal of Philippine Librarianship, Vol.27, No.1-2(2007), p.214. 

  37. Mellon, C. A. "Library anxiety: a grounded theory and its development."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Library Review, Vol.47, No.3-4(1986), pp.217-224. 

  38. Merkley, Cari. "Undergraduate Students with Strong Tendencies Towards Critical Thinking Experience Less Library Anxiety." Evidence Based Library & Information Practice, Vol.4, No.4(2009), pp.63-66. 

  39. Meuter, M. L., Ostrom, A. L., Bitner, M. J., & Roundtree, R. "The influence if technology anxiety on consumer use and experiences with self-service technologi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6(2003), pp.899-906. 

  40. Mizrachi, Dinane. "Computer attitudes and library anxiety among undergraduates: a study of Israeli B. Ed students." International Information & Library Review, Vol.36, No.1 (2004), pp.19-29. 

  41. Nicol, Erica Carlson. "Alleviating Library Anxiety." Public Services Quarterly, 5(4):278-281. 

  42. Onwueghuzie, Anthony J. and Qun G. Jiao. 1998. "Understanding library-anxious graduates students." Library Review, Vol.47, No.3-4(2009), pp.217-224. 

  43. Scoyoc, Anna M. Van. "Reducing Library Anxiety in First-Year Students." Reference &User Services Quarterly, Vol.42, No.4(2003), pp.29-341. 

  44. Soham, S. and Diane Mizrachi. "Library anxiety among undergraduates: A study of Israeli E. Ed. student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27(2001), pp.305-311. 

  45. Van Kampen, Doris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library anxiety scal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Vol.65, No.1(2004), pp.28-34. 

  46. Van Scoyoc, Anna M. "Reducing library anxiety in first-year students."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Vol.42, No.4(2003), pp.329-341. 

  47. Westbrook, L; DeDecker, S. "Supporting user needs and skills to minimize library anxiety: consideration for academic libraries." Reference Librarian, Vol.40(1993), pp.43-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