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용혈 효능
Antioxidant and Antihemolytic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f Rubus coreanus Miquel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1 no.1, 2014년, pp.130 - 135  

장태수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  양재찬 (목원대학교 테크노과학대학 생의약화장품학부) ,  임선영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  김보애 (목원대학교 테크노과학대학 생의약화장품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에서 유래한 항산화 및 항용혈 소재개발을 위해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복분자를 에탄올 추출한 후, 획득한 추출물을 섬유아세포주인 HS68에 처리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Sprague Dawley 렛트 적혈구 세포에 과산화수소산화를 유도한 후 추출물의 항용혈 효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렛트 적혈구를 이용한 항용혈 평가에서는 과산화수소를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대조군보다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항용혈율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복분자 추출물이 항산화효능과 항용혈 약용 식물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a natural antioxidant and anti-hemolytic agent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Rubus coreanus Miquel (crude extracts). Crude extract was extracted with ethanol. Antioxidant activity of crude extracts was evaluated by employing two different assays, 1,1-diphenyl-2-pi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복분자의 주요제품인 과실주의 소비가 크게 감소하여 다양한 제품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단순 가공 수준의 제품만이 제시되고 있어 과다 생산되는 복분자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이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21-2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의 항산화 효능과 항용혈 효능을 함께 평가함으로써 적혈구 세포막보호 효능에 대하여 구체화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항산화 기능성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복분자를 에탄올 추출한 후 세포생존율, 항산화 효능을 포함한 렛트 적혈구 항용혈율을 평가하여 산화적 물질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천연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체내 염증반응과 관련된 질환의 경우 활성 산소류가 과다하게 생성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항산화 물질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항산화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천연소재로서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능과 적혈구 보호효능을 측정하였다.
  • 항산화 방어 시스템 중에서도 효소에 의한 방어기전은 catalase와 superoxide dismutase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25].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효소 활성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DPPH는 보라색을 띄며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자유라디칼을 가지고 있는 수용성 물질로 전자를 받게 되면 흡광도가 감소하며, 환원력이 있는 물질과 만나 전자를 내어주면 DPPH 라디칼이 소멸되어 특유의 보라색이 옅은 노란색으로 변하는 것을 측정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분자는 무엇인가?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산딸기(Rubus)의 일종으로 검은 빛의 붉은색 열매를 맺는 다년생 식물이다[14].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의하면 신(身)과 간(肝)을 보호하고 눈을 밝게 하며, 강장, 당뇨, 지혈 등에서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15].
동의보감에 따른 복분자의 효능은 무엇인가?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산딸기(Rubus)의 일종으로 검은 빛의 붉은색 열매를 맺는 다년생 식물이다[14].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의하면 신(身)과 간(肝)을 보호하고 눈을 밝게 하며, 강장, 당뇨, 지혈 등에서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15]. 특히 복분자는 인, 철, 유기산, 비타민 C 등의 유효성분[16]과 생리활성물질의 종류로는 gallic acid, quercetin, ellagic acid 및 다양한 페놀산 등이 있어 인체의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면역증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7-20].
세포막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 적혈구의 세포막에는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며, 세포질에는 높은 농도의 산소와 헤모글로불린이 함유되어 있어 산화적 손상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12,13]. 세포막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노출되게 되면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가 생성되며 지질과산화의 최종 생성물로서 malondialdehyde (MDA)가 적혈구에 일시적으로 노출될 경우 세포 구성물과의 높은 반응성으로 적혈구의 세포사멸을 초래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W. G. Cho, Comparision of Drug Delivery using Hairless and Pig Skin. J. of Korea Oil Chemists'Soc., 24(4), 410 (2007). 

  2. I. C. Kim, Antioxidative Property and Whitening Effect of the Polygoni Multiflori Radix, Polygonati Rhizoma and Ephedrae Herba. J. of Korea Oil Chemists' Soc., 25(4), 533 (2008). 

  3. K. C. Sung, A study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Natural Artemisia Extract using Super Critical Cabon Dioxide. J. of Korea Oil Chemists' Soc., 20(4), 309 (2004). 

  4. H. Wiseman, Dietary influences on membrane function; impotent in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and disease. Nutr Biochem., 7(1), 2 (1996). 

  5. J. Bouayed, T. Bohn, Exogenous antioxidants-Double-edged swords in cellular redox state: Health beneficial effects at physiologic doses versus deleterious effects at high doses. Oxid Med Cell Longev., 3(4), 228 (2010). 

  6. S. Kawashima, The possible role of lipoperoxide in aging. Nagoya J. Med Sci., 32, 303 (1970). 

  7. E. A. Dicker, A. D. Crum, J. T. Calvert, Differences in the antioxidant mechanism of carmosine in the prescence of copper and iron. J, Agric Food Chem., 40(5), 756 (1992). 

  8. B. H. Halliwell, J. M. C. Gutteridge, Role of free radicals and catalytic metal ions in human disease: an overview. Methods Enzymol., 186, 1 (1990). 

  9. S. M. Edgington, As we live and breathe: free radicals and aging. Correlative evidence from a number of fields suggests they may be key. Bio Technology, 12(1), 37 (1994). 

  10. J. L. Vives Corrons, A. Miguel-Garcia, M. A. Pujades, A. Miguel-Sosa, S. Cambiazzo, M. Linares, M. T. Dibarrart, M. A. Calvo, Increased susceptibility of microcytic red blood cells to in vitro oxidative stress. Eur J. Haematol., 55(5), 327 (1995). 

  11. C. Rice-Evans, S. C. Omorphos, E. Baysal, Sickle cell membranes and oxidative damage. Biochem J. 237(1), 265 (1986). 

  12. S. M. Sadrzadeh, E. Graf, S. S. Panter, P. E. Hallaway, J. W. Eaton, Hemoglobin. A biologic fenton reagent. J Biol Chem., 259(23), 14354 (1984). 

  13. M. R. Clemens, M. Ruess, Z. Bursa, H. D. Waller, The relationship between lipid composition of red blood cells and their susceptibility to lipid peroxidation. Free Radical Res Commun., 3(1-5), 265 (1987). 

  14. M. S. Kim, G. C. Pang, M. W. Lee,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Rubus coreanum. J. Pharm Soc Korea, 41, 1 (1997). 

  15. J. Heo, Donguibogam 1-5. Yeog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62 (1994). 

  16. Pang KC, Kim MS, Lee MW (1996) Hydrolyzable tannins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m. Korean J. Pharm., 27, 366 (1996). 

  17. Y. A. Lee, M. W. Lee, Tannins from Rebus coreaum. Korean J. Pharm., 26, 27 (1995). 

  18. M. W. Lee,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Rubus coreaum. J. Pharm Soc Korea, 39, 200 (1995). 

  19. Kim JH, Kim CH, Kim HS, Kwon MC, Song YK, Seong NS, Lee SE, Yi JS, Kwon OW, Lee HY, Effect of aqueous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Miquel and Angelica gigas Nakai on anti-tumor and anti-stress activities in mice. Korean J. Med Crop Sci., 14(4), 206 (2006). 

  20. M. K. Lee, H. S. Lee, G. P. Choi, D. H. Oh, J. D. Kim, C. Y. Yu, H. Y. Lee,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Miq. Korean J. Med Crop Sci., 11(1), 5 (2003). 

  21. K. H. Sung, J. H. Lee,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riyaki sauce with added Rubus coreanus Miquel.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6), 958 (2009). 

  22. Y. J. Song, A study to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korean wild-berry wine industry. Korean Bus. Edu. Assoc., 4, 119 (2004). 

  23. S. M. Hong, M. J. Kang, J. H. Lee, J. H. Jeong, S. H. Kwon, K. I. S, Production of Vinegar using Rubus coreanus and Its Antioxidant Activities. Korean J. Food Preserv., 19(4), 594 (2012). 

  24.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 (1958). 

  25. C. K. Sen, Oxidative and antioxidants in exercise. J. Appl Physiol. 79(3), 675 (1995). 

  26. M. A. Ebrahimzadeh, S. F. Nabavi, S. M. Nabavi, B. Eslami, Antihemoly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llium paradoxum. Central European J. Biology. 5(3), 338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