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한방의료기관 이용환자의 성별 이용실태 및 특성비교연구
Nationwid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Visiting and Using Korean Medical Facilities by Sex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35 no.1, 2014년, pp.75 - 87  

정해창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해모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선동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Korean medical clinics by sex. Methods: Data was based on reports about usage and consumption of Korean medicine in 2011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71 Korean medical hospital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한방 의료기관 이용 환자의 남녀별 이용실태와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고, 한방의료 이용실태를 인구사회학적 특성, 주관적 건강상태 및 주로 이용하는 한방의료기관과 질병, 한방 치료방법별 사용빈도, 상위 10위 질병별 치료법, 치료방법별 치료효과, 치료의 만족도, 부작용 경험비율 등을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 한의약 관련 의료이용행태에 대한 여러 선행 연구들이 있었으나 제한된 지역을 대상으로 하거나 대상자가 의료기관 방문 환자로 조사된 경우가 많았다7,8).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좀 더 신뢰성이 높은 분석이 가능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 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보고서는 한방의료기관에서의 한방 의료서비스 제공 실태 및 국민의 한방의료수요, 이용형태, 만족도 등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향후 한의약정책 수립에 필요한 신뢰성 있는 통계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를 진행하였다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의료기관 전체 이용자의 한방치료법의 비중 별로 어떻게 나타나는가? 한방의료기관 전체 이용자의 한방치료법은 침과 한방 물리요법이 37.2%, 한약과 침 27.5%, 침과 부항 12.9%, 침과 뜸 11.8% 순으로 많았으며 한방의료기관 남녀 이용환자간 동일한 분포 순서를 보였다(P=0.1346).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은 무엇이 있는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는 것은 개인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인간 집단의 특성, 즉 오랫동안의 생활양식, 습관, 종교, 경제상태, 정치체계, 교육 및 과학수준 등 사회적인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1), 이러한 요인들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의료이용 행태에 역시 영향을 미친다.
한의학에서 언급하고 있는 남녀간의 다름은? 예전부터 한의학은 의학적인 면에서 음양오행 이론을 바탕으로 『黃帝內經』이래 수많은 의서에서 남녀의 차이를 분명히 하였고, 『東醫寶鑑ㆍ辨證門』에서도 남녀의 病因으로 ‘모든 병에 남자는 반드시 房勞를 살펴야하고, 여자는 月經과 孕胎의 여부를 물어야 한다.’ 등의 남녀는 근본적으로 구조와 생리ㆍ 병리가 다름을 언급하였다5),6). 하지만 한방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이용환자의 이용실태조사나 특성연구7-10), 남녀 간의 차이에 의한 의학적 운용에 대한 연구5)는 있었으나, 남성과 여성간의 한방의료이용의 특성비교 연구는 지역별 연구를 한 최11) 등이 있을 뿐으로 서양의학과 마찬가지로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Texbook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compilation committee. Preventive Korean Medicine and Public Health. Seoul: GyeChukmunhwasa. 2013. 

  2. Jeon GS, Choi ES, Lee HY. Gender-related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by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0;24(2):182-196. 

  3. Denton M, Prus S, Walters V. Gender differences in health: Canadian study of the psychosocial, structural and behavioural determinants of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2004;58(12):2585-2600. 

  4. Lee G, Cafferta. Marital status, living arrangements, and the use of health services access and use among elderly persons. Journal of Gerontology. 1987;42(6):613-618. 

  5. Lee IS. Study on medical operation in the shape of man and women based in gender difference. Kor.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06;19(1):47-109. 

  6. Heo Jun. Donguibogam. Seoul: Yeogang Publisher. 2001:1283. 

  7. Sung MK, Lim BM. A Study on Health Seeking Behaviors of Local Residents-Focused on Shopping Around Phenomenon in Yangsan City, Korea.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2012;16(2):83-94. 

  8. Seo YJ, Kang SH, Kim YH, Choi DB, Shin HK. Systematic Review on the Customers' Use of and Satisfaction with Oriental Medical Services. J Korean Oriental Med. 2010;31(1):69-80. 

  9. Yoo WK, Ryu KA. Utilization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Oriental Medical Services: Focused on the Residents of Taegu City.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2000; 4(2):1-24. 

  10. Lee SD, Jo JG, Kim HD, Park HM, Y JM, Choi SY. Nationwide Study on the Usage and Characteristics of Patients Visiting Korean Medical Facilities- Based on the Treatment of Major Disorders, Effectiveness, Satisfaction and Occurrence Rate of Side Effects From the Ministry of Welfares Report on Usage and Consumption of Korean Medicine in 2011.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2013;17(2):29-46. 

  11. Choi SY, Shin HK, Park HM, Lee SD. A Analysis of Patients Using Korean Medicine Clinics-Analysis of Outpatients and Inpatients by Age, Sex and Regions.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2012;16(2):67-81.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Reports about usage and consumption of Korean medicine. 2011. 

  13. Andersen R, Newman JF.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Health and Society. 1973;51(1):95-124 

  14. Park TS, Lee SY. Introduction to categorical data analysis. Seoul: JaYu Academy. 1999 

  15. Byun JS, Lee SD, Kim JH. Determinants of Utilization of Oriental Medical Services and Policy Implications.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1999;3(2):1-23. 

  16. Jeon MS. Traditional Korean Oriental Medical Tourism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Photo- Geographers. 2012;22(4):111-120. 

  17. Lee HR, Kang HS, Kim GB, Kim WO, Song MS, Wang MJ, et al. An Attitudinal Study on Oriental Medicine: Q methodological approach.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992;6(1):25-41. 

  18. Lee SD, Park KS. KAP Study on Oriental Traditional Doctor, Hospital and Medicine in Korea.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1997;1(1):27-41 

  19. Blazer DG, Landerman LR, Fillenbaum G, Horner R. Health services access and use among older adults in North Carolina; Urban vs rural resident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5;85(10):1384-139. 

  20. Jang YR, Kim GY, Chiriboga DA. Health, health car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with service: Barriers and facilitators for older Korean America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5;53(9):1613-1617. 

  21. Kim YG. The study of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service use. Soc Sci Stud. 1995; 21:9-24. 

  22. Lee HJ, Lee TJ, Jeon BY, Jung YG. Factors Related to Health Care Utilization in the Poor and the General Population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009;15(1):79-106. 

  23. Prus SG, Gee E. Gender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Economic, Lifestyle, and Psychosocial factors on Later-life Health.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3;99(4): 306-309. 

  24. Park JE, Kwon SM. Determinants of the Utilization of Oriental Medical Services by the Elderly. J Korean Oriental Med. 2011:32(1): 97-108. 

  25. Denton M, Walters V. Gender differences in structural and behavioral determinants of health: an analysis of the social production of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1999;48:1221-35. 

  26. Bang YS, Ryu SY, Kim H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ICF and self-rate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who use senior citizen center. The research of local community. 2011;19(4):95-113. 

  27. Yeom JH, Park JS, Kim DH.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2;32(4):1101-1118. 

  28.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oinsurance rate in Korean medical institutions including clinics and hospitals. 1999-2010. 

  29. Rhim KH, Lee JH. Income-related inequality in medical care utilization by provider typ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010;16(2):39-56. 

  30. Parslow R, Jorm A, Christensen H, Jacomb P, Rodgers B.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use of health services: an analysis of a community study of middle-aged and older Australians. Social Science & Medicine. 2004; 59:2121-2129 

  31. Park Y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Korean medical demand. DongSeo Medical Book Publisher. 1992;17(1):16-42 

  32. Oriental medical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The New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Seoul: DongBang Medical Book Publisher. 2001:2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