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한방의료서비스 이용 추세와 관련요인
A Study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dult Users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0 no.1, 2016년, pp.136 - 148  

서수경 (을지대학교 간호대학(성남캠퍼스)) ,  박보현 (창원대학교 간호대학) ,  최숙자 (중앙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atterns of traditional medicine (TM) utilization vary depending on cultur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regulations. We seek to understand how socio-demographic factors are related to TM use in Korea. Methods: The longitudinal cohort survey data of the Korea Health Panel (2008-2012)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연구결과가 상이하고 단면적 연구의 한계에 따른 분석이 제한적이라는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부 질환자가 아닌 전 국민을 대상으로 층화하여 표본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고자 하며, 개인이 가지는 선호나 특이한 경험, 인식의 차이 등의 영향을 통계적으로 통제하여 누락변수에 의한 편이를 제거하기 위한 시도로써 한 개인의 한방의료 이용에 대한 다년간 반복 측정한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는 패널자료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한방의료 이용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한국의료패널 조사자료를 이차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를 시도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최근 5년간의 자료를 구축하고 일부 질환 이환자가 아닌 전 국민의 대표성 있는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인구사회적 변수 외에 개인적 선호나 인식의 차이 같은 교란변수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패널자료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한방의료 이용과 관련된 인구사회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여성, 중간 연령, 낮은 교육수준일수록 한방의료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만성질환 개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한방의료서비스 이용정도를 확인하고, 한방의료 이용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우리정부는 한방의료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하는 것을 인식하고 한방의학 진료지침을 표준화하고 건강보험 적용을 확대하고자 하는 계획을 내어 놓았다. 최근 발표된 제3차 한의약육성발전종합계획(2016-2020)을 살펴보면, 운동요법이나 한방물리치료, 추나 등을 건강보험 급여 대상에 포함시키고, 보건소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프로그램 개발 및 우수 보건소 인증제 도입 등을 통해 한의학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한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MOHW, 2016).
  •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최근 5년간의 자료를 구축하고 일부 질환 이환자가 아닌 전 국민의 대표성 있는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인구사회적 변수 외에 개인적 선호나 인식의 차이 같은 교란변수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패널자료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패널자료 분석법은 본 연구의 주요 관심사인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의 독특한 특성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한방의료의 경우 인체 관념에 대한 철학적 동의, 비침습적 치료에 대한 좋은 인식, 생의학적 치료에 대한 불만족 등이 선택동기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Woo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의료기관의 수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에 달한다(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Industry, 2013). 이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과 질병의 이환기간 증가로 인하여 한방의료의 전통적 수요자 계층이 양적으로 증가했고(World Heath Organization, 2013), 서양의학의 생의학적 치료의 부작용을 피하기 위하여 한방의료를 대신해서 사용하는 경향이 확대되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Woo et al., 2014). 특히 침술의 이용은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가 보고되고 있는데, 통증 해소와 면역력 제고 등의 효과가 확인되어 보완적 이용을 넘어 치료적 대안으로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Ernst, 2000; Ong, Petersen, Bodeker & Stewart-Brown, 2002). 선행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대체요법 관련 지출 비용은 전체 국민의료비의 22.
한방의료기관의 수와 비중은 어떻게 되는가? 우리나라 한의원과 한방병원을 포함한 한방의료기관의 수는 2012년 12,639개소로 매년 평균 약 460여 개씩 증가하였고, 전체 의료기관 중 한방의료기관이 차지하는 비중도 21.2%에 달한다(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Industry, 2013). 이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과 질병의 이환기간 증가로 인하여 한방의료의 전통적 수요자 계층이 양적으로 증가했고(World Heath Organization, 2013), 서양의학의 생의학적 치료의 부작용을 피하기 위하여 한방의료를 대신해서 사용하는 경향이 확대되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Woo et al.
제3차 한의약육성발전종합계획에는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가? 이에 우리정부는 한방의료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하는 것을 인식하고 한방의학 진료지침을 표준화하고 건강보험 적용을 확대하고자 하는 계획을 내어 놓 았다. 최근 발표된 제3차 한의약육성발전종합계획 (2016-2020)을 살펴보면, 운동요법이나 한방물리치료, 추나 등을 건강보험 급여 대상에 포함시키고, 보건소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프로 그램 개발 및 우수 보건소 인증제 도입 등을 통해 한의학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한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Ministry of Health & Welfare, MOHW,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cury, T. A., Grzywacz, J. G., Bell, R. A., Neiberg, R. H., Lang, W., & Quandt, S. A. (2007). Herbal remedy use as health self -management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62B, S142-S149. 

  2. Astin, J. A. (1998). Why patients use alternative medicine: results of a national study.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9(19), 1548-1553. 

  3. Boon, H., Steward, M., Kennard, M. A., Gray, R., Sawka, C., & Brown, J. B. (2000). Use of complementary/alternative medicine by breast cancer survivors in ontario: Prevalence and perception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8, 2515-2521. 

  4. Brett, K. M. & Burt, C. W. (2001). Utilization of ambulatory medical care by women: United States: 1997-98. Vital & Health Statistics, 149, 1-46. 

  5. Chan, J. M., Elkin, E. P., Silva, S. J., Broering, J. M., Latini, D. M., & Carroll, P. R. (2005). Total and specifi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in a large cohort of men with prostate cancer. Urology, 66, 1223-1228. 

  6. Cherrington, A., Lewis, C. E., McCreath, H. E., Herman, C. J., Richter, D. L., & Byrd, T. (2003). Associ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demographic factors, and perimenopausal symptoms in a multiethnic sample of women. Family & Community Health, 26, 74-83. 

  7. Conboy, L., Patel, S., Kaptchuk, T., Gottlieb, B., Eisenberg, D., & Acevedo-Garcia, D. (2005). Sociodemographic determinants of the utilization of specific type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11(6), 977-994. 

  8. Eisenberg, D. M., Davis, R. B., Ettner, S. L., Appel, S., Wilkey, S., Van Rompay, M., & Kessler, R. C. (1998). Trends in alternative medicine use in the United States, 1990-1997: results of a follow-up national survey.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0(18), 1569-1575. 

  9. Ernst, E. (2000). The rol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ritish Medical Journal, 321(7269), 1133-1135. 

  10. Grzywacz, J. G., Lang, W., Suerken, C. K., Quandt, S. A., Bell, R. A., & Arcury, T. A. (2005). Age, race, and ethnicity in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for health self-management: Evidence from the 2002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7, 547-572. 

  11. Kim, L. S. (1997). The experience of the stroke patients about the use of oriental medicine.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y Society, 11(1), 82-92. 

  12. Kim, S. Y. & Park, J. Y. (2012). The utilization of western and oriental medical services by out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system disorders and its related facto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6(1), 27-38. 

  13. Kim, Y. H. (2004). A study on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y Society, 18(2), 276-285. 

  14.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Industry. (2013). An empirical study for the growth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Retrieved March 13, 2013 from https://www.khidi.or.kr/board?menuIdMENU00085&siteIdnull. 

  15. Lee, H. W. (2006). A study on the patient's attitude of Korean medicine by social clas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from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16. Lee, H., Yoo, W., & Chung, S. (2011). Determining factors for the use of oriental healthcare services for survey subjects with chronic illness. Korean Journal of Oriental Preventive Medicine Society, 15(3), 115-125. 

  17. Lim, B., Min, J., Jang, U., & Min, M. (2004). The use and expenditure of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Korea,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25(1), 142-151. 

  18. McMillan, T. L. & Mark, S. (2004).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nd physical activity for menopausal symptom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Women’s Association, 59(4), 270-277. 

  1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6). Standard clinical guideline development for traditional medicine and health insurance coverage improvement. Retrieved January 13, 2016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29504&page1. 

  20. Morris. C. A. & Avorn, J. (2003). Internet marketing of herbal product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0, 1505-1509. 

  21. Newton, K. M., Buist, D. S., Keenan, N. L., Anderson, L. A., & LaCroix, A. Z. (2002). Use of alternative therapies for menopause symptoms: Results of a population-based survey. Obstetrics & Gynecology, 100, 18-25. 

  22. Ong, C., Petersen, S., Bodeker, G. C., & Stewart -Brown, S. (2002). Health status of people us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al practitioner services in 4 English counti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2, 1653-1656. 

  23. Song, K.Y. & Hong, S.K. (1996). A study on the demand for Korean traditional health care and the supply. Retrieved March 13, 2016 from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4787966&ndsCategoryId203. 

  24. Park, J. E. & Kwon S. M. (2011). Determinants of the utilization of oriental medical services by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32(1), 97-108. 

  25. Park, M. J. & Kwon, S. M. (2014). Socioeconomic reterminants of Korean medicine ambulatory services: comparing panel fixed effect model with pooled Ordinary least square.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4(1), 47-55. 

  26. Thomas, K. & P, Coleman. (2004). Use of complementary or alternative medicine in a general population in Great Britain. Results from the national omnibus survey. Journal of Public Health, 26, 152-157. 

  27. Wade, C., Chao, M., Kronenberg, F., Cushman, L., & Kalmuss, D. (2008). Medical pluralism among american women: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Journal of Women’s Health, 17(5), 829-840.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Traditional medicine strategy 2014-2023. Hong Kong. Retrived March 16, 2016 from http://www.who.int/medicines/publications/traditional/trm_strategy14_23/en/ 

  29. Wolff, J. L., Starfield, B., & Anderson, G. (2002). Prevalence, expenditures, and complications of multiple chronic conditions in the elderly.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62, 2669-2276. 

  30. Woo, J. M., Park, E. J., Lee, M. H., Ahn, M., Kwon, S., & Koo, K. H. (2014). Changes in attitudes toward and pattern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in South Korea: a comparison between 2008 and 2011.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14(1), 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