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의약건강증진 사업 중 한방대사증후군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Effects of Metabolic Syndrome Care Program with Korean Medicine in Public Health Cente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35 no.1, 2014년, pp.135 - 144  

박은성 (전라남도 강진군 보건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etabolic Syndrome care program with Korean Medicine in public health center.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8 participations who joined Korean Medicine care program. The program was started from April of 2013 and finished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한의학적 치료 및 예방은 대사증후군 관리에 효과적인 대안으로 제시될 수있는데 이는 한의학의 ‘치미병(治未病)’이라는 관점 아래 치료보다는 예방을 중시하는 태도와 다양한 질환과 상태를 유기적으로 연결된 관점으로 해석하는 특징 때문에 질병이 일어나기 전에 음식, 정서, 생활태도, 운동 등 다양한 해결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질병의 발생을 막으며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기본적인 인식이 다양한 질환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대사증후군의 치료에는 매우 적합하게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치료에 있어서도 한의학적 접근법으로 단순한 체중빼기에 집중하기 보다는 생활태도를 바꾸기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식이조절을 병행하여 당뇨와 고지혈증의 원인을 교정하고자 하였으며 운동을 실시하여 체내의 순환과 움직임을 통해 기(氣)를 운행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도 침구치료를 통해 기혈순환(氣血循環)을 촉진하고자 하였고 비만의 원인을 단순한 체중증가에 있다고 보지 않고 각 개인의 순환문제나 체질상의 오장(五臟)불균형으로 인한 문제로 판단하여 장부변증(臟腑辨證)을 통해서 오장의 허실을 한약처방을 통해 보완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프로그램 치료에 있어서도 한의학적 접근법으로 단순한 체중빼기에 집중하기 보다는 생활태도를 바꾸기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식이조절을 병행하여 당뇨와 고지혈증의 원인을 교정하고자 하였으며 운동을 실시하여 체내의 순환과 움직임을 통해 기(氣)를 운행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도 침구치료를 통해 기혈순환(氣血循環)을 촉진하고자 하였고 비만의 원인을 단순한 체중증가에 있다고 보지 않고 각 개인의 순환문제나 체질상의 오장(五臟)불균형으로 인한 문제로 판단하여 장부변증(臟腑辨證)을 통해서 오장의 허실을 한약처방을 통해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보건소에서 한의약 건강증진 사업으로 실시한 한방대사증후군 교실은 이러한 질환의 예방과 관리, 치료를 위해 한의학적 관리와 방법을 통해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치료하고자 하는 목표 아래 지역주민의 참여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후 다양한 질환에 호전과 변화를 이끌어 내었다.
  • 대사증후군의 치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식생활의 조절과 운동 등 생활습관의 교정이 우선이며 지속적인 관리 및 상담이 중요하다. 이에 본 보건소는 한의약 건강증진 Hub사업 중 하나로 한방대사증후군 프로그램을 시작하였고 대사증후군의 치료와 예방을 목적으로 운동과 식습관 교정, 한의학적 치료 등의 내용을 포함하여 사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한의학적 방법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추진한 한방대사증후군 프로그램이 질병의 치료와 예방, 생활습관의 행태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 유의한 결과를 얻어 이를 제시하는 바이다.
  • 이에 본 보건소는 한의약 건강증진 Hub사업 중 하나로 한방대사증후군 프로그램을 시작하였고 대사증후군의 치료와 예방을 목적으로 운동과 식습관 교정, 한의학적 치료 등의 내용을 포함하여 사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한의학적 방법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추진한 한방대사증후군 프로그램이 질병의 치료와 예방, 생활습관의 행태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 유의한 결과를 얻어 이를 제시하는 바이다.
  • 해당 보건소에서 2013년 4월부터 11월까지 2차례에 걸쳐 시행한 한방대사증후군교실은 현대인의 질병인 당뇨와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대사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위험성을 알리고 운동과 한의학적 치료와 방법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하고자 하였다. 각 사업은 13주간 4군데의 장소에서 진행하게 되었고 보건소의 건강증진팀과 공중보건한의사가 참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은 무엇인가? 전국에 85개의 한의약 건강증진 Hub보건소가 지정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중풍예방관리군, 골관절계 질환 예방관리군, 면역기능관리군, 정신보건관리군으로 대상자를 구분하고 대상자와 지자체의 특성에 따라 중풍예방교실, 대사성질환 관리교실, 아토피교실, 정신건강 프로그램 등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2). 대사증후군은 만성적인 대사장애로 인해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등의 질환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말하는데 대사증후군을 지닌 환자는 관상동맥질환의 발생률이 2배가 높고, 제2형의 당뇨병의 발생은 6배가 높다고 보고 되고 있다3-5). 대사증후군의 치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식생활의 조절과 운동 등 생활습관의 교정이 우선이며 지속적인 관리 및 상담이 중요하다.
한의약공공보건 사업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가? 그 중에서도 한의약 건강증진 Hub 보건소 사업은 한의약공공보건사업의 한 축을 담당 하는 사업으로 한의학적 치료와 서비스를 지역사회에 체계적이고 다양하게 제공하기 위해 2005년부터 지정, 확대되고 있는 사업이다1). 전국에 85개의 한의약 건강증진 Hub보건소가 지정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중풍예방관리군, 골관절계 질환 예방관리군, 면역기능관리군, 정신보건관리군으로 대상자를 구분하고 대상자와 지자체의 특성에 따라 중풍예방교실, 대사성질환 관리교실, 아토피교실, 정신건강 프로그램 등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2). 대사증후군은 만성적인 대사장애로 인해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등의 질환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말하는데 대사증후군을 지닌 환자는 관상동맥질환의 발생률이 2배가 높고, 제2형의 당뇨병의 발생은 6배가 높다고 보고 되고 있다3-5).
대사증후군은 어떤 기준에 따라 판별하는가? 대사증후군을 판단하는 근거는 5가지 요소 중에 3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지를 판별하여 판단하는데그 요소는 국제당뇨병연맹(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consensus)6)에 의한 기준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ee EK, Chong MS, Lee KN. Considerations on a support system for Oriental medicine public health programs.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2011;15(3):1-16.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Local Community Healthcare Program 20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3. Seo JR, Bae SS. The Effect of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in a Public Health Center.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1;36(4):264-279. 

  4. Isomaa B, Almgren P, Tuomi T, Forseen B, Lahti K, Nisseen M.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bidit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are. 2001;24:683-689. 

  5. Lakka HM, Laaksonen DE. The metabolic syndrome and total and Cardiovasular disease mortality in middle-aded men. JAMA. 2002; 288(21):2709-16. 

  6. The IDF Consensus Worldwide Defini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06. 

  7. Jang DM. Current Status and Policy Recommendations of Oriental Public Health Programs. Korean journal of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2007;11(2):101-112. 

  8. Han DW. Exhibition and publicity of research performance in future growth engine. Seoul; Hanyang University. 2007. 

  9. Han DW. Evalua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 u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Development of Standard Manual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Progra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10. Han DW, Song JC, Joung, JY. Measuring Efficiency of Public Health Program u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 DEA Approach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0;30(2): 484-518. 

  11. Jeong CB.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Oriental Medical Health Promotion Program [dissertation]. Iksan; Wonkwang University. 2010. 

  12. Lee JS. The Study on Recogni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Public Health Program in Public Health Oriental Medical Doctors[dissertation], Iksan; Wonkwang University. 2011. 

  13. Song TJ. A Study on the Plan to improve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ealthcare Program for Public Health Oriental Medical [dissertation]. Iksan; Wonkwang University. 2012. 

  14. Min SY. Kim JH. A Survey on Recognition about Oriental Childcare and Oriental Medicine in Parents Attending in Oriental Childcare Class in Health Center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December. 2011;25(3):35-45. 

  15. Park ES. A Study for Role and Effects of Atopic Dermatitis Care Program with Korean Medicine in Public Health Center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2013;34(1): 146-159. 

  16. Park ES, Moon YH, Kim YH, Choi KH, Jang DW. A Study for Management and Effects of Children's Care Program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Public Health Center. J Korean Oriental Med. 2012;33(1):52-67. 

  17. Ford ES, Giles WH, Dietz WH.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AMA. 2002;287(3):356359. 

  18. Alberti KGMM, Zimme PZT. "Defini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3233. 

  19. Pollex RL, Hegele RA. "Genetic determina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Nat Clin Pract Cardiovasc Med. 2006;3(9):4829. 

  20. Edwardson CL, Gorely T, Davies MJ, Gray LJ, Khunti K, Wilmot EG, et al. Association of sedentary behaviour with metabolic syndrome: a meta-analysis. PLoS One. 2012; 7(4):e34916. 

  21. He D, Xi B, Xue J, Huai P, Zhang M, Li J. Association between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c syndrome: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Endocrine. 2013. 

  22. Bremer AA, Mietus-Snyder M, Lustig RH. Toward a unifying hypothesis of metabolic syndrome. Pediatrics. 2012;129(3):55770. 

  23. Vancampfort D, Correll CU, Wampers M, Sienaert P, Mitchell AJ, De Herdt A, et al. Metabolic syndrome and metabolic abnormalitie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 meta-analysis of prevalences and moderating variables. Psychol Med. 2013;21:112. 

  24. Vancampfort D, Vansteelandt K, Correll CU, Mitchell AJ, De Herdt A, Sienaert P, et al. Metabolic syndrome and metabolic abnormalities in bipolar disorder: a meta-analysis of prevalence rates and moderators. Am J Psychiatry. 2013; 170(3):26574. 

  25. Xi B, He D, Zhang M, Xue J, Zhou D. Short sleep duration predicts risk of metabolic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leep Med Rev. 2013:S1087-0792(13)00071-3. 

  26. Brunner EJ, Hemingway H, Walker BR, Page M, Clarke P, Juneja M, et al. Adrenocortical, autonomic, and inflammatory causes of the metabolic syndrome: nested case-control study. Circulation. 2002;106(21):263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