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산부 한의약건강증진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ternal health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40 no.2, 2019년, pp.106 - 118  

서주희 (국립중앙의료원 한방신경정신과) ,  지은영 (대한모유수유한의학회) ,  이현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  박민정 (대한모유수유한의학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on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ternal health. Methods: We conducted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ternal health to pregnant women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among 10 public health cen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임산부 한의약 건강증진프로그램’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에 대처하기 위해 체계적인 한의학적 산전, 산후 관리법 및 애착육아를 근간으로 하는 전통육아의 관점에서의 신생아 케어, 엄마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SNS을 활용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등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으로 산후증상(산후풍, 산후우울감 등)을 사전에 예방하고 건강한 출산 문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10개 보건소에서 본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의 임신건강관리지식, 전통육아인식도, 건강행동실천점수, 우울감, 육아자신감을 측정하여 성과를 평가하였기에 이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 향후 보완, 고도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정책 추진의 근거로 활용하고자 하는 바이다.
  • 통합건강증진사업 시행 이후 한의약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여서 한의약 건강증진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요구도가 높아진 상태이다8).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4년 1개 보건소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통해 현장수용성과 효과성을 검증한 임산부 한의약 건강증진프로그램을 2015년 10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확대운영하여 이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4회차는 출산 이후 신생아 돌보기에 관한 지식을 전달하는데, 유방관리, 신생아 관리 등 자연주의 육아법에 대해 알려준다. 프로그램 시작과 동시에 모바일 커뮤니티를 운영하여 산모들과 전문가 사이에 직접적인 정보 교류 및 산모들 그룹간 소통과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Table 1)
  • 3차시는 철벽수비 산후풍이라는 제목을 달고 올바른 산후조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였다. 한국산모와 서양산모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왜 한국에 산후조리 문화가 발달했는지, 그 이유와 올바른 산후조리법을 알려주고, 산후풍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예방, 치료법에 대하여 과학적 근거를 들어 알려주도록 하였다. 4차시는 출산 이후 신생아 케어에 관한 것으로 자연주의 육아교실이라는 제목을 바탕으로 실제로 강의에 남편의 참여를 도모하며 육아에 동참하고 임산부를 지지해 줄 것을 설명하였고, 유방관리, 신생아 케어, 모유수유 등 실체적이고 구체적인 육아법에 대해 알려주었다.

가설 설정

  • 한의약 임산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전통)육아자신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출산은 산모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출산은 축복이지만, 출산 이후 합병증이나 질환을 앓는 이들은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올바른 산후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산모는 출산을 통해 신체적 변화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며, 전체 산모의 약 10%에서 산후우울증이 발병하여 영아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4). 산후우울증의 진료 추세 역시 2010년 이후 연평균 14.
올바른 산후조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출산은 축복이지만, 출산 이후 합병증이나 질환을 앓는 이들은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올바른 산후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산모는 출산을 통해 신체적 변화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며, 전체 산모의 약 10%에서 산후우울증이 발병하여 영아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4). 산후우울증의 진료 추세 역시 2010년 이후 연평균 14.
한의약 건강증진사업이 도입된 목적은?  한의약 건강증진사업은 한의학적 지식을 공공보건사업에 접목시켜 만성질환을 예방, 치료하고, 의료취약계층에게 다양한 한방진료서비스와 한방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의 한방 의료수요를 충족시키고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1). 2005년 한의약건강증진 Hub보건소 사업을 기점으로 한의약건강증진사업이 본격 추진되었는데, 2013년부터는 정부 방침에 따라 한의약 건강증진사업도 지역사업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사업을 기획하고 대상자 중심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중 하나로 포함되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Effect of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ternal health Chang 101 2007 

  2. Effect of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ternal health 2013 

  3. Effect of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ternal health 이수진 40 2016 

  4. Effect of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ternal health Kim 22 2007 

  5. Effect of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ternal health Joen 437 

  6. Lurie, Ithai Zvi. Differential Effect of the State Children's Health Insurance Program Expansions by Children's Age. Health services research: HSR, vol.44, no.5, 1504-1520.

  7. Effect of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ternal health 2012 

  8. Effect of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ternal health 이선동 2014 

  9. Effect of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ternal health Lederman 201 1981 

  10. Effect of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ternal health Bae 

  11. Effect of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ternal health 231 2009 

  12. Effect of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ternal health Bae 172 2009 

  13. Cooper, Peter J., Campbell, Elizabeth A., Day, Ann, Kennerley, Helen, Bond, Alison. Non-Psychotic Psychiatric Disorder After Childbirth : A Prospective Study of Prevalence, Incidence, Course and Natur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52, no.6, 799-806.

  14. Graff, Lesley A., Dyck, Dennis G., Schallow, John R.. Predicting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A Structural Modelling Analysi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vol.73, no.3, 1137-113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