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탁급식업체 조리종사자의 위생교육과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수행도 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anitary Education, Sanitary Knowledge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of Cooks in Contracted Foodservices: Focusing on Busan & Gyeongnam Region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1, 2014년, pp.105 - 119  

성태종 (한국국제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최선경 (한국국제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김기진 (영남대학교 외식산업학과)

초록

본 연구는 위탁급식업체의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위생교육 횟수, 위생교육의 필요성, 위생교육의 만족도, 위생교육의 이해도, 위생교육의 적용도가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이 위생관리수행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에 위치한 공장, 대학교, 병원, 오피스, 관공서 등의 위탁급식업체 31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10월 1일부터 2012년 10월 15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총 320부를 배포하였고, 302(94.3%)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부실 기재된 13부를 제외한 289부(90.3%)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조리종사자들이 지각하는 위생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질수록, 위생교육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아질수록, 위생교육에 대한 적용도가 높아질수록 위생지식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위생교육에 대한 만족수준이 위생지식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리종사자들의 위생지식 수준이 향상될수록 그들의 위생관리수행도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influence sanitary education have on sanitary knowledge in terms of frequency, necessity, degree of satisfaction, degree of understanding, and applicability, and what influence sanitary knowledge of cooks has on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targeting cooks employ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단체급식 시행 계기는? 이에 따라 식품산업분야에서 외식산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고, 복지제도 확대에 따른 단체급식도 확산되었다. 단체급식은 1998년 학교급식법의 개정으로 학교급식을 전면으로 실시하게 되었고, 2011년도 기준으로는 전국 단체급식소가 38,193개소에 이르고, 위탁급식소의 수는 8,042개소에서 급식을 시행하였다(보건복지부 2011). 이러한 추세로 최근에는 우리나라 국민의 20%가 넘는 1,000만 명 이상이 단체급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외식의 빈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과학기술의 발달, 교육수준의 증가,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의 변화로 인하여 외식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식품산업분야에서 외식산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고, 복지제도 확대에 따른 단체급식도 확산되었다.
위탁급식의 단점은? 위탁급식은 직영급식에 비해 인건비와 운영비 그리고 시설설비 등의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은 향상되며, 급식의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다양한 메뉴개발이 가능해지며, 문제 발생 시 전문가의 의견수렴으로 문제해결이 쉬우며, 서비스품질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지나친 영리화로 인해 급식비용이 증가된다는 단점도 있다(Yang TSㆍ You BJㆍJeon HJ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보건복지부 (2010). 2010 보건복지부통계연보. 제56호, 25-68. 

  2. 보건복지부 (2011). 2011 보건복지부통계연보. 제57호, 21-78. 

  3. 식품의약품안전청 (2003). 식중독 예방교육 표준교재. 1-15. 

  4. 식품의약품안전청 (2011). 식중독 통계시스템. http://e-stat.kfda.go.kr/ 

  5. Albrecht JA, Summer SS, Hemmeman A (1992). Food safety in child care facilities. Dairy Food Environmental Sanitation 12(12): 740-743. 

  6. Black RE, Dykes AC, Anderson KH, Gangaros EJ (1990). Hand washing to prevent diarrhea in child care center. American J Epidemiology 113(4):445-451. 

  7. Bryan FL (1978). Factors that contributute to outbreakes of foodbone disease. J Food Protection 41(10):816. 

  8. Bryan FL (1991). Teaching HACCP techniques and process that lead to outbreaks of foodborne diseases. J Food Prot 51: 663-673. 

  9. Bryan FL (1994). HACCP: Present status and future in contribution to food safety. Dirty, Food Environmental Sanitation 14(11): 650-655. 

  10. Chang HW (2007). Analysis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in Gyeongbuk province. MS thesis, Daegu University 1-56, Gyeongsan. 

  11. Chang HW, Bae HJ (2010). Assessment of food sanitatio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food service workers in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implementing HACCP. Korean J Food Cookety Sci 26(6): 781-790. 

  12. Ehiri JE, Morris GP (1997). Evaluation of food hygine trainning course in scotland. Food Control 8(1): 137-147. 

  13. Farkas D (1996). Creating awarness. Food Management 31(1): 100-104. 

  14. Featsent AW (1998). Food fright! consumers perceptions of food safety versus reality. Restaurants USA 18(6): 30-34 

  15. Gilmore SA, Brown NE, Dana JT (1998). A food quality model for school foodservices. J Child Nutrition Management, 22(1): 32-39. 

  16. Han EH (2003). Evaluation of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of hygiene for school cafeteria employees in Jeonju.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1-43, Jeonju. 

  17. Han JS, Lee YE (2011). Employees' sanitation practice level and sanitation knowledge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chungbuk province. Korean Association Human Ecology 20(3): 637-649. 

  18. Hernandez J (1998). Managing the flow of food. Food Management 33(1): 73-78. 

  19. Her WY (2006). Knowledge, attiudes and practices of food safety among foodservice employees.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1-48, Gyeongsan. 

  20. Holdt CS (1992). Attitudes and knowledge of university foodservice managers toward sanitation. J College University Food Services 16(1): 17-24. 

  21. Hong WS, Yim JM, Choi YS (2008). Sanitary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seoul.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4(4): 382-395. 

  22. Joint Hospitality Industry Congress (1997). Industry guide to good hygiene practice: Catering guide. chadwick house group Ltd, London, 9-15. 

  23. Kim DJ, Kim GJ (2010). A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anitation educ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sanitation know ledge and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of culinary employee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2): 291-307. 

  24. Kim GJ, Park SS (2008). A study on sanitation education and knowledge for each types of employees in food-service facility. J Foodservice Management 11(4): 115-137. 

  25. Kim GM, Lee SY (2009).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 sanitary education-Seoul, Gyeonggi, Kangwon and Choongchung area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5): 576-589. 

  26. Kim JE (2007). The influence of the hygiene practice on the HACCP hygiene education of employees cooking for school food service. MS thesis, Kyonggi University 1-36, Seoul. 

  27. Kim JG (2004). Studies on the food hygiene & safety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kitchen employees in school food-service programs. Korean J Environmental Health 30(2): 173-183. 

  28. Kim SO, Oh MS (2005).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mployees in hospital food service.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11): 127-140. 

  29. Kinnear J (1997). What's your candidate's food safety IQ? Food Management 32(8): 50-56. 

  30. Lee JH, Goh YK, Park KH, Ryu K (2007). Asses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for school food service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3): 310-321. 

  31. Lee JY, Yon MY, Lee YJ, Kim YJ (2011). Culinary employees'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 levels according to dietitians' sanitation training performance in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industry in the chungbuk province. J Korean Society Dietary Culture 26(2): 151-158. 

  32. Lee YJ (2003). A comparative study on sanitary practices and perception of employees in elementary school, hospital and industry food service in the inchon area.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9(1): 22-31. 

  33. Lim JH (2009). Education and performance for HACCP implementation of employees at contract foodservice. MS thesis, Kyungnam University 1-11, Masan. 

  34. Lim YH, Kwak HO (2006).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employees in Daejeon and Chungnam areas. J Korean Society Dietary Culture 21(4): 381-387. 

  35. Lyu ES, Chang HJ (1995). Food sanitary practices of the employees in university and industry foodservices. Korean J Soc Food Sci 11(3): 274-281. 

  36. Milheim WD (1994). A comprehensive model for the transfer of training.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7(2): 95-104. 

  37. Moon HK, Hwang JO (2003). Study on hygiene knowledge and recognition on job performance levels for HACCP application for employees at contract foodservic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1): 71-82. 

  38. Nam EJ, Kim MR, Lee YK (2003). Effects of HACCP implementation on an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 in Daegu. Korean J Nutrition 36(2): 223-230. 

  39. Smith PD (1992). A survey of foodservice operation in child care centers in washington state.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92(4): 483-484. 

  40. Um YH (2010). A study on actual sanitary management conditions and education pla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3): 237-249. 

  41. Weingold SE, Guzewich JJ, Fudala SK (1994). Use of foodborne disease data for HACCP risk assessment. J food protection 57(9): 820-830. 

  42. Woo IA, Hwang YK, Lee YS (2008). The status and the actual sanitation management conditions of food services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Korean J Food & Nutr 21(3): 355-365. 

  43. Yang HW (2006). A study on the level of hygiene practices in the contract foodservice establishments.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1-35, Seoul. 

  44. Yang TS, You BJ, Jeon HJ (2005). A atudy for(on) the satisfaction and the importance of contract foodservice in colleges in jeju. Korean J Culinary Research 11(2): 1-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