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탐구공동체'의 과학 교육적 함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 : '과학 교실 탐구공동체'를 향해서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Implications of 'Community of Inquiry' for Science Education: Toward 'Community of Inquiry in Science Classroo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3, 2014년, pp.303 - 319  

정용재 (공주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탐구공동체의 의미와 특징을 Peirce와 Dewey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구공동체가 갖는 과학 교육적 함의에 대해 과학 수업과 교실, 과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논의함으로써 탐구공동체의 과학 교육적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탐구공동체의 의미와 특징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었다: 첫째, 탐구공동체에서 탐구는 진정한 의심으로부터 시작된다. 둘째, 탐구공동체에서 탐구가 시점은 진정한 믿음의 상태이다. 셋째, 탐구공동체에서 탐구는 실제적 효과의 관찰에 바탕을 둔 최선의 설명과 해결책을 시도한다. 넷째, 이상적으로 탐구공동체는 끊임없이, 그리고 무한히 탐구하는 공동체를 전제한다. 다섯째, 현실적으로 탐구공동체는 공동체 속에서 서로의 의견을 자유롭게 의사소통함으로써 최선의 설명과 해결책에 찾게 되는 공동체를 전제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 과학교육의 장에서 탐구공동체가 구현되려면, 흥미, 개방성, 엄격성, 오류가능성의 견지, 참여, 끊임없는 탐구 지향, 충분한 시간을 그 조건으로 하는 "자연 현상이나 사물과 관련하여 진정한 의심의 상태를 믿음의 상태로 바꾸는 것을 목적으로, 참여자로서 목적을 공유한 구성원들이 실제적 효과에 대한 관찰과 오류가능성을 견지하면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해 최선의 설명과 해결책에 이르고자 끊임없이 노력하는 교실 공동체"인 과학 교실 탐구공동체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이를 바탕으로 과학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oretically the meaning and features of the Community of Inquiry (CoI) based on the views of Peirce and Dewey,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CoI in science education. The meaning and features of CoI are: (a) inquiry in CoI is initiated with faithfu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eirce에게 있어서 믿음이란 무엇인가? Peirce에게 있어서 믿음이란 어떤 대상의 습관을 확립함으로써(CP 5.398) 그 대상의 본질적인 의미가 확립되어 있는 상태이다(Joung & Song, 2006). 습관은 특정한 조건 하에서 그 대상이 일관되고 반복적으로 특정한 행위를 하게 되는 경향성을 나타낸다.
장님 코끼리 만지기는 어떤 것을 비유한 이야기인가? 본래 ‘장님 코끼리 만지기’ 이야기는 코끼리의 각각 다른 부위를 만진 시각 장애인 세명이 코끼리가 어떻게 생겼냐는 질문에 대해서, 상아를 만진 사람은 무와 같이 생겼다고 대답하고, 꼬리를 만진 사람은 새끼줄과 같이 생겼다고 대답하고, 다리를 만진 사람은 나무와 같이 생겼다고 대답했다는 이야기이다. 이는 전체를 볼 수 없어 진실을 알지 못하는 개인의 한계를 비유한 이야기이다. 그런데 Shields(2003)는 만약 이들이 탐구공동체의 일원이었다면 다르게 행동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핵심 역량이란 무엇인가? , 2013),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핵심역량 재구조화 방안(Kwak, 2013) 등이 이뤄진 바 있다. 핵심 역량이란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을 말한다(Kwak, 2012). 예를 들어, OECD에서는 ‘양 방향적으로 도구를 활용하기’(언어와 상징 및 텍스트를 양 방향적으로 활용하기, 지식과 정보를 양 방향적으로 활용하기, 정보기술을 양 방향적으로 활용하기), ‘다양한 구성원들과 상호작용하기’(타인과 관계 맺기, 팀 속에서 일하고 협동하기, 갈등을 관리하고 해결하기), ‘자율적으로 행동하기’(장기적 전망 속에서 행동하기, 인생의 계획과 개인적 과제를 설정하고 수행하기, 권리와 관심, 한계, 필요를 주장하고 보호하기)의 세 가지를 핵심역량으로 선정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Burgh, G., & Nichols, K. (2012). The parallels between philosophical inquiry and scientific inquiry: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44(10), 1045-1059. 

  2. Cho, H. -H. (1992). An analysis of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and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ethod for promoting inquiry compet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2(2), 61-73. 

  3. Crawford, B. A., Krajcik, J. S., & Marx, R. W. (1999). Elements of a community of learners in a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3(6), 701-723. 

  4. Dewey, J. (1910), How we think. Boston: D.C. Heath, Lexington. Reprinted, Dover Publication, Mineola, NY, 1997. 

  5. Dewey, J.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Reprinted, Dover Publication, Mineola, NY, 2004. 

  6. Dewey, J. (1938), Logic: The theory of inquiry. New York: Henry Holt and Company, Reprinted as pp. 1-527 in John Dewey, The Later Works, 1925-1953, Volume 12: 1938, Jo Ann Boydston (Ed.), Kathleen Poulos (text. ed.), Ernest Nagel (intro.),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Carbondale and Edwardsville, IL, 1986. 

  7. Driver, R. (1983). The pupils as scientist?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8. Garrison, D. R., & Arbaugh, J. B. (2007). Researching the community of inquiry framework: Review,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0(3), 157-172. 

  9. Hanson, N. R. (1961). Patterns of discovery: an inquiry into the conceptual foundations of sci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Jeong, H.(2005). Pragmaticism: Incomplete system of Peirce [프라그마티시즘: 퍼스의 미완성 체계]. Seoul: Cheonggye. 

  11. Jo, S. -M. (2008). How to teach the method of discussion and essay-writing in the community of inquiry. Education of Ethics and Philosophy[윤리철학교육], vol 10, 1-22. 

  12. Barab, S. A., & Duffy, T. M. (2000). From practice fields to communities of practice. In D. H. Jonassen, & S. M. Land (Eds).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pp. 25-56).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3. Joung, Y. J. (2008). Cased and features of abductive inference conducted by a young child to explain naturel phenomena in everyday lif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5), 197-210. 

  14. Joung, Y. J., & Song, J. (2006). Exploring the implication of Peirce's abduction in science education by theoret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6), 703-722. 

  15. Kim, D., (2002). Pragmatism[프래그머티즘]. Seoul: Acanet. 

  16. Kim, M. -G. (2004). Dewey's concept of situation and its educative implications.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32, 1-26. 

  17. Kim, M. -G. (2005). Transaction & Education. Seoul: Wonmisa. 

  18. Kim, M. -G. (2010). C. S. Peirce's view of reality and the logic of inquiry: Its implications for inquiry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48, 1-22. 

  19. Kwak, Y. (2012).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methods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5), 855-865. 

  20. Kwak, Y. (2013). Research on ways of restructuring key competencies for a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arth Society, 34(4), 368-377. 

  21. Kwon, Y. -J., Yang, I. -H., & Chung, W. -W. (2000). An explorative analysis of hypothesis-generation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 29-42. 

  22. Kwon, Y. -J., Jeong, J. -S., Park, Y. -B., & Kang, M. -J. (2003).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generating process of declarative scientific knowledge: Focused on inductive, abductive, and deductive process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3), 215-228. 

  23. Kwon, O. W. (2008). John Dewey's Understanding of Community and Its Implications for Christian Realism. Study on Theology[신학연구], 52, 185-208. 

  24.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Lee, J. (2013). A Survey of Physics Teachers' Opinions about the 2009 Revised High-school 'Physics I' Curriculum and Test, New Physics: Sae Mulli, 63(4), 400-410. 

  26. Lee, M., Shim, J., Kim, D., Gu, J., Kim, H., Choi, B., Kim, J., Min, G., Bae, Y., & Kim, Y. (2013).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key achievement standards for scienc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ccording to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Research report CRC 2013-9.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7. Lee, S. -K., Shin, M. -K., & Kim, C. -J. (2008). Exploring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the exhibits in natural history museums as socioscientific learning materials in the context of proposing science inquiry communities: Earthquake topic.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6), 506-519. 

  28. Lee, Y. -R., Kwak, Y., & Kim, D. -Y. (2005).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earth science content relevance i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8), 759-770. 

  29. Lim, P. K. (1999). Basis for between scientific inquiry and ethical inquiry: Focused on the Dewey's theory of inquiry and Thagard's connectionism program[과학탐구와 윤리탐구의 을 위한 기초: 듀이의 탐구 이론과 타가드의 연결주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30. Lim, P. K. (2010). Studies on the model of teaching philosophy & designing philosophy curriculum. Study on Ontology[존재론 연구], vol 24, 391-410. 

  31. Lipman, M. (2003). Thinking in educ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Ministry of Education (2007).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33. Ministry of Education (2011).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34. Oh, C. -J., & Kim, H. -Y.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ty of inquiry through comparing with the learning community.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5(3), 127-152. 

  35. Paik, S. -H., Woo, S. -k., Kim, H. -N., & Won, J. -A. (2011). An analysis on achievement degree of goals of science curriculum throug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1), 113-128. 

  36. Pardales, M. J., & Girod, M. (2006). Community of Inquiry: Its past and present future.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38(3), 299-309. 

  37. Park, S. -Y., & Kim, H. -Y. (2009). Reunderstanding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for children from Dewey's thought.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4(3), 25-48. 

  38. Peirce, C. S. (1899). The scientific attitude and fallibilism. In J. Buchler (Ed.). Philosophical writings of Peirce (pp. 42-59). NY: Dover Publication, 1940. 

  39. Peirce, C. S. Collected Papers of Charles Sanders Peirce [ab. CP], 8 vols. C. Hartshorne and P. Weiss (1931-1958) (Eds.) vols. 1-6; A. W. Burks (1931-1958) (Ed.) vols. 7-8,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0. Peterson, D. (1992). Life in a crowded place: Making a learning community. Heinmann: Portsmouth. 

  41. Popper, K. R. (1963). Conjecture and refutation. London: Rontledge & Kegan Paul. 

  42. Posner, G.J., Strike, K.A., Hewson, P. W., and Gertzog, W. A. (1982). Accommodation of a scientific 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2). 211-227. 

  43. Rogoff, B., Matusov, E., & White, C. (1996). Models of teaching and learning: Participation in a community of learners. In D. R. Olson & N. Torrance (Eds.). The handbook of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Oxford: Blackwell. 

  44. Roth, W. -M. (1995). Authentic school science. Dordrecht: Kluwer. 

  45. Roth, W. -M., Boutonne, S., McRobbie, C. J., & Lucas, K. B. (1999). One class, many world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1), 59-77. 

  46. Rychen, D. S., & Salganik, L. H. (2003). Key competenc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Cambridge, MA: Hogrefe & Huber. 

  47. Shields, P. M. (2003). The Community of Inquiry Classical Pragmatism and Public Administration. Administration & Society, 35(5), 510-538. 

  48. Splitter, L., & Sharp, A. M. (1995). Teaching for better thinking: the classroom community. Melbourne: ACER. 

  49.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Yoon, H. -G., Joung, Y. -J., & Kim, M. (2012). The challenges of science inquiry teaching for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classrooms: Difficulties on and under the scen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2(3), 580-608.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