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데이터 유형화를 위한 분류체계 설계에 관한 사례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산하기관의 공공데이터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Classification System Design for Public Sector Information Typolog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4, 2014년, pp.51 - 68  

김대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미래전략실) ,  주원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미래전략실) ,  김은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책연구실) ,  이용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책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의 공공데이터는 일상생활의 편의증진, 새로운 비즈니즈 및 일자리 창출 등의 사회 경제적 가치와 부가적 잠재력을 지닌 중요한 국가자산으로 인식되고 있어 해외 선진국들은 공공데이터를 적극 개방하고 민간 활용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정부도 창조경제를 지원하는 새로운 정부운영 패러다임으로 정부3.0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개방된 공공데이터는 공급자 관점의 분류체계로 유형화되어 있어 수요자 관점의 접근이나 정보소재 파악이 어려워 민간 활용를 확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공공데이터 개방 서비스의 분류체계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미래창조과학부 산하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대상으로 민간 활용 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관점의 데이터 개념을 정의하고 새로운 분류체계를 설계하여 정보관리 관점에 따른 5개 유형과 정보활용 관점에 따른 7개 분야, 21개 세부 분야의 분류체계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s public sector information is considered an important national asset that has social and economic value. Hence, developed countries are competitively promoting various policies to actively promote access to public sector information and the use of such information for private purposes. The K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공공데이터 개방 서비스의 분류체계에 대해 조사 및 분석하여 미래창조과학부 산하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OSMU(One Source Multi Use) 관점에서 DB관리 및 활용측면의 새로운 분류체계를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의 민간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공급자 중심의 분류체계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수요자관점의 분류체계를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류체계를 DB 서비스에 적용하여 그 활용가능성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가치와 부가적인 잠재력을 지닌 공공데이터의 민간 활용 활성화를 위해 사용자 친화적인 분류체계를 설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주요국의 공공데이터 개방 서비스 및 활용 분류 현황을 조사‧분석하였으며, 미래창조과학부 산하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중심으로 정보관리 측면과 정보활용 측면으로 구분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분류체계를 설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데이터의 ‘개방’은 무엇인가? 새 정부 출범이후 정보의 ‘공개’에 대한 개념이‘제공 및 이용 활성화’ 차원으로 확대되었으며, 그 목적도 민간에서의 활용을 도모하고 새로운 산업을 창조하는 관점으로 발전되고 있다. 공공데이터의 ‘제공’은 공공기관이 이용자로 하여금 기계 판독이 가능한 형태의 공공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하거나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며, 공공데이터의 ‘개방’은 공공기관이 용자에게 정보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제공받은 정보를 영리‧비영리적으로 이용할 권한을 부여함을 뜻한다[4-6].
공공데이터포털의 제공방식의 유형은 무엇인가? 공공데이터의 제공방식에 따라 데이터셋 제공, 오픈 API 제공, 다운로드, 웹파싱, 시스템 연계, Open API 연계, 파일 복제전송, 기타 등으로 8개 유형의 제공방법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지역별 분류는 전국 17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개방현황을 나타내고 있다[9].
공공데이터란 무엇인가? 공공데이터는 보유주체에 따라 공공기관이 가진 정보 또는 목적과 내용이 공공성을 띄고 있는 정보로서, 국가 기관, 지방자치단체 등의 공공기관이 정책 수립‧추진 등본연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생산‧보유‧관리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문서, 도면, 사진, 필름, 테이프, 전자문서, 데이터베이스 등 매체의 유형과 종류에 상관없이 공공기관의 모든 정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orea Database Agent, "Guidelines for the Re-us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2011. 

  2. Y. Chin, E.D. Kim, "Policy Measures for Enable the Open and Re-Us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Seoul: Y. Chin Parliamentary chamber, E.D. Kim Parliamentary chamber, 2012. 

  3.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Guide for Public Information Literacy", 2011. 

  4.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Act on Enable the Provision and Use of Public Data", Legislation No. 11956(31/10/2013 Enforcement), 2013. 

  5. Joint Interagency, "Plan to create jobs through the opening of public data('13-'17)", 2013. 

  6. Joint Interagency, "Government 3.0 Promotion Plan", 2013. 

  7. P.S. Heo, G.M. Park, W.J. Park, G.S. Cho, W. Ryu, "Domestic Market and Economic Impact of the Re-use of PSI(Public Sector Information)", 20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28(4), pp. 118-131, 2013. 

  8. Presidential Archives, "A Study on the Classifying and Selecting the. Presidential Records", Office of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of Chung-Ang University, 2012. 

  9. http://www.data.go.kr 

  10. http://data.seoul.go.kr 

  11. http://www.data.gov 

  12. http://data.gov.uk 

  13. http://data.gov.au 

  14. National Computerization Agency, "A Study on the Value-Added Utilization of Public Knowledge Resources", 2003.. 

  15.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Planning for Improving Social Value through Technology Innovation", 2007. 

  16. http://mirian.kisti.re.kr 

  17. G8 Summit, "G8 Open Data Charter and Technical Annex", 2013. 

  18. European Commission, "Europe 2020 Report", 2010. 

  19.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Realize the Creative Economy and National Happiness through Science Technology and ICT", The 2013 Work report, 2013. 

  20.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Creative Economy Development Plan through Government 3.0", 2013. 

  21. http://www.creativekorea.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