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데이터 기반 고용보험 가입 예측 모델 개발 연구
A Development on a Predictive Model for Buying Unemployment Insurance Program Based on Public Data 원문보기

The journal of Bigdata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v.2 no.2, 2017년, pp.17 - 31  

조민수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산업경영공학과) ,  김도현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산업경영공학과) ,  송민석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산업경영공학과) ,  김광용 (근로복지공단) ,  정충식 (근로복지공단) ,  김기대 (근로복지공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공공기관에서는 다양한 빅데이터 관련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공공데이터이다. 공공데이터 기반의 다양한 활용 사례가 공유되고 있으며, 공공기관에서도 데이터 기반의 모델을 통해 공공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사회 보험 중 하나인 고용보험 케이스가 있다. 고용보험은 근로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근로자를 고용한 모든 사업주가 필수적으로 가입하여야 하는 보험이지만 가입누락의 경우가 많다. 가입누락을 막기 위한 데이터 기반의 접근이 필요하지만, 분산된 형태의 공공데이터, 수집 시기의 차이로 인해 데이터 통합이 어렵고, 체계적인 방법론이 부재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데이터를 기반의 고용보험 가입 예측을 위한 모델 도출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방법론은 데이터 수집, 데이터 통합 및 전처리, 데이터 탐색 및 이력 데이터 분석, 예측 모델 도출을 포함하며, 프로세스 마이닝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다. 또한, 사례 연구를 통해 본 방법론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big data environment, public institutions also have been providing big data infrastructures. Public data is one of the typical examples, and numerous applications using public data have been provided. One of the cases is related to the employment insurance. All employ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ecision Tree와 더불어, Random Forest, Support Vector Machine, Neural Network 알고리즘 기반의 모델 정확도 결과를 소개한다. <그림 13>은 해당 모델링 기법 적용에 따른 정확도 결과를 나타낸다(SVM: Support Vector Machine, NN: Neural Network, RF: Random Forest).
  • 추후 연구로 앞서 소개한 것처럼 다른 지역, 다른 산업 범위에 적용하여 해당 특성을 고려한 Context 기반의 고용 보험 예측 모델을 도출할 계획이다. 또한, 고용 보험 외에 산재 보험 등의 다른 분야에 적용하고자 한다. 이외에 Test 셋 기반이 아닌 본 모델 기반의 실제 실태 조사를 통해 본 모델을 검증할 계획이며 이를 기반으로한 정교화된 모델링 방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 본 논문에서는 공공기관에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용보험 가입 예측을 위한 모델 도출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방법론은 데이터수집, 데이터 통합 및 전처리, Exploratory Data Analysis & 프로세스 마이닝 기반 이력 데이터분석, 예측 모델 도출을 포함한다.
  •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수집, 데이터 통합 및 구성, 탐색적 데이터 분석(EDA) & 프로세스 마이닝 기반 이력 분석, 예측 모델 개발을 포함한 고용보험 가입 예측 모델 개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본 방법론 검증을 위해, 울산 내 사업장을 분류하여 편의점, 음식점, 의류점의 세 카테고리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울산 내 편의점사업장에 관한 분석 결과를 소개한다.
  • 본 사례 연구는 울산 지역 내 편의점 사업장의 연관 정보를 통해 고용 보험 가입 여부를 예측하는 모델 도출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표 2>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 프로세스 마이닝은 Discovery (프로세스 모델 도출), Conformance(적합도 검사), Enhancement(프로세스 모델 확장)의 세 가지 주요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11]. 본 연구 방법론에서는 Discovery를 중심으로 프로세스 마이닝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몇 가지 주요 알고리즘을 소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방식이 가지고 있던 불필요한 시간 및 비용의 소모를 줄이고, 데이터 기반으로 실제적인 고용 보험 가입 여부를 파악한데 있어 직접적인 기여점을 가진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특정 기관에 수집된 데이터가 아니라 다양한 공공데이터를 결합하여 활용함으로써, 공공데이터의 활용성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장에서는 고용보험 가입 예측 모델 개발 방법론 소개에 앞서, 방법론 내에서 주요하게 활용되는 데이터 분석 기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두 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먼저 본 방법론에서 활용되는 네 가지 데이터 기반 분류 모델에 대해 소개한다.
  • 본 장에서는 앞서 제시한 고용보험 가입 예측 모델 방법론의 검증을 위한 사례 연구 적용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 사례 연구를 위해, 실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데이터 수집, 데이터 통합 및 전처리 과정, EDA 및 프로세스 마이닝 분석, 예측 모델 도출, 결과 해석의 전체적인 과정에 대해 연구 결과를 제공한다.
  • 도출된 예측 모델과 관련해서도 약 70% 내외의 정확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정오 분류표 내 FP(False Positive), 즉, 예측은 가입으로 나타나지만 실제는 미가입으로 발생하는 사업장에 대한 상세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무진과의 협의를 통해, 해당 사업장들은 충분히 고용보험이 필요할 수도 있는 개체들로 지속적인 실태 조사 등의 관리를 수행하기로 하였다.
  • 기존에 해당 기관은 특정 지역 내 사업장의 고용보험 가입 여부를 파악하고 가입 누락 사업장에 대한 실태 조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왔다. 이로인해, 발생하는 시간과 비용이 누적되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방법을 필요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데이터 기반의 예측 모델은 큰 규모의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체계적인 사업장 관리가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추가적으로, 모바일 앱 혹은 시스템 개발을 통해 실용화 추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출된 모델을 기반으로 모바일 앱 개발을 수행할 예정이며, 해당 앱 개발은 가입 가능성이 높은 미가입 사업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다.
  • 이와 더불어,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이력 분석 방법도 제시하였다. 데이터 마이닝의 예측 알고리즘을 바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세스 마이닝 내 모델 도출 및 패턴 분석을 통해, 프로세스 관점에서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등 도출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사전 분석 기능으로 충분히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 탐색적 데이터 분석 후에 프로세스 마이닝 기반의 예측 분석이 필요하다. 해당 분석의 목적은 이력과 관련된 프로세스 모델 및 패턴을 도출하여 보험 가입과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제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andom Forest란 무엇인가? Random Forest는 <그림 1>과 같이 다수의 결정 나무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류하는 방법으로, Decision Tree부터 Bagging까지의 이론적 배경을 포함하고 있다[1, 4]. Random Forest는 여러 Decision Tree에서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 결과 값을 최종 결과로 판단하는 방식을 가진다.
Random Forest의 장점은 무엇인가? 즉, 개별 Decision Tree로부터 도출된 결과가 완벽한 모델이 아니더라도 통합적인 관점에서는 확률적으로 올바른 결과가 나타난다는 개념이다. Random Forest의 장점은 Decision Tree에 비해 다양성이 극대화되고 이를 통해 예측 결과를 종합함으로써 예측력 및 안정성이 우수해진다는 점이다.
고용 상시 인원 유무 예측 모델 도출 분석을 수행한 이유는 무엇인가? 고용보험 가입 예측 모델 도출과 더불어, 고용 상시 인원 유무 예측 모델 도출 분석을 수행하였다. 사업장에 고용 상시 인원이 있는 경우, 해당 사업장은 고용 보험 가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유사하게 고용 보험 가입 여부 예측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본 예측 모델 도출을 위해서 Decision Tree 만을 적용하였고, 총 5개의 결정 변수가 발견되었고 각각은 다음과 같다: 건폐율, 총 주차 수, 프랜차이즈, 지역코드, 나이.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reiman, L., "Random Forests", Machine Learning, Vol.45, No.1, pp.5-32, 2001. 

  2. Fayyad, U., G. Piatetsky-Shapiro, and P. Smyth, "From data mining to 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s", AI magazine, Vol.17, No.3, pp.37-54, 1996. 

  3. Kim, G.H., S. Trimi, and J.H. Chung, "Big-data applications in the government sector",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57, No.3, pp.78-85, 2014. 

  4. Liaw, A. and M. Wiener,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by random forest", R News, Vol.2, No.3, pp.18-22, 2002. 

  5. Provost, F. and T. Fawcett, "Data science and its relationship to big data and data-driven decision making", Big Data, Vol.1, No.1, pp.51-59, 2013. 

  6. Quinlan, J.R., "Simplifying decision trees", International Journal of Man-Machine Studies, Vol.27, No.3, pp.221-234, 1987. 

  7. Rosenblatt, F., "Principles of neurodynamics. perceptrons and the theory of brain mechanisms", Brain Theory, pp.245-248, 1961. 

  8. Rowley, H.A., S. Baluja, and T. Kanade, "Neural network-based face detection",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20, No.1, pp.23-38, 1998. 

  9. Song, M. and W.M.P. van der Aalst, "Supporting process mining by showing events at a glance", In Proceedings of the 17th Annual Workshop on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Systems(WITS), pp.139-145, 2007. 

  10. Tong, S. and D. Koller, "Support vector machine active learning with applications to text classifi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Vol.2, pp.45-66, 2001. 

  11. van der Aalst, W.M.P., "Process mining: data science in action", Springer, 2016. 

  12. van der Aalst, W.M.P., A.J.M.M. Weijters, and L. Maruster, "Workflow Mining: Discovering process models from event logs", IEEE Transactions on Knowledge and Data Engineering, Vol.16, 2003. 

  13. Vapnik, V., The nature of statistical learning theory, Springer, 2000. 

  14. Weijters, A.J.M.M., W.M.P van der Aalst, and A.A. De Medeiros, "Process mining with heuristics miner-algorithm", Technische Universiteit Eindhoven, Tech. Rep. WP, Vol.166, pp.1-34, 2006. 

  15. Witten, I.H., E. Frank, M.A. Hall, and C.J. Pal, "Data Mining: Practical machine learning tools and techniques", Morgan Kaufmann, 2016.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