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vigorating strategies for open government dat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5 no.4, 2014년, pp.769 - 777  

홍연웅 (동양대학교 경영관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세계 주요국들은 데이터를 또 하나의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정부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경제 활성화 효과를 기대하기 위하여 공공데이터를 적극 개방하는 정책을 경쟁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의 개념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공공데이터 정책의 현재와 문제점 및 공공데이터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에 대하여 논의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품질의 중요성과 데이터 세트의 통일화 및 표준화 필요성, 공공 데이터 플랫폼 전략, 정부기관 간 또는 정부기관 내공공 데이터의 공유 필요성 및 데이터 산업의 중심축으로서의 공공데이터와 빅데이터의 통합 지원 정책의 필요성 등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many countries have established open government data platforms to disclose government or government controlled entities-owned data that can be freely used, reused and redistributed by anyone. Open government data can help you to make better decisions in your own life, or enable you to be 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KAN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의 공공 기관의 데이터 공급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공개하여 활용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데이터 수집이나 추가 기능 등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별로 확장이 가능하다.
  • 본 연구에서는 실무적인 차원에서 국내 공공데이터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데이터 품질의 중요성과 데이터의 통일화 및 표준화, 공공 데이터 플랫폼 전략, 정부기관 간 또는 정부 기관 내 공공 데이터의 공유 필요성 및 데이터 산업의 중심축으로서의 공공데이터와 빅데이터의 통합 지원 정책의 필요성 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무적인 차원에서 국내 공공데이터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데이터 품질의 중요성과 데이터의 통일화 및 표준화, 공공 데이터 플랫폼 전략, 정부기관 간 또는 정부 기관 내 공공 데이터의 공유 필요성 및 데이터 산업의 중심축으로서의 공공데이터와 빅데이터의 통합 지원 정책의 필요성 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끝으로 안전행정부와 미래창조과학부로 분리되어있는 공공데이터와 빅데이터 업무를 데이터 활용 부문만 통합 운영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빅데이터와 더불어 데이터 산업의 양대 축인 공공데이터의 이용활성화를 위해 이루어져야 할 실무적 내용을 제시한데 있다. 정부기관 내 또는 정부기관 간 보유 데이터를 공유할 법·제도적 대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점이 본 연구의 한계라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데이터란 무엇인가? 공공데이터란 데이터베이스, 전자화된 파일 등 공공기관이 법령 등에서 정하는 목적을 위하여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광 (光) 또는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된 자료 또는 정보를 말한다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호). 따라서 공공데이터는 개별 공공기관이 일상적 업무수행의 결과물로 생성 또는 수집·취득한 다양한 형태 (텍스트, 수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의 모든 자료 또는 정보를 의미한다.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공공데이터 포털 3가지는 무엇인가?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공공데이터 포털에는 3 가지 표준이 있다. 유럽형이라고 할 수 있는 CKAN과 미국형에 해당되는 Socrata 및 OGPL (open government platform)이다.
CKAN이란 무엇인가? ckan.org)은 공공데이터 개방 및 확산을 지원하는 오픈 소스 방식의 오픈 플랫폼으로, 비영리 단체인 Open Knowledge Foundation에 의해 개발되었다. 영국 (www.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ai, S. H., Lee, J. Y., Song, S. H., Jang, J. B., Kang, S. K., Yoon, J. S., Lee, D. H. and Kim, J. H. (2013). A study on the legislation necessity for activation of public data.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6, 67-86. 

  2. Lee, M. J. (2013). Public data analytics and visualiz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 Engineers, 31, 101-107. 

  3. Lee, S. H. (2013). A big data example to support public services. Proceedings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Summer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121-123. 

  4. Faniel, I. and Yakel, E. (2011). Significant properties as contextual metadata. Journal of Library Metadata, 11, 155-165. 

  5. Faniel, I., Kriesberg, A. and Yakel, E. (2012). Data reuse and sensemaking among novice social scientist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9, 1-10. 

  6. Heo, P. S., Park, K. M., Park, W. J., Cho, K. S. and Ryu, W. (2013). Domestic market and economic impact of the re-us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28, 118-131. 

  7. Kim, Y. and Cho, K. H. (2013). Big data and statistic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959-974. 

  8.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3). The law on provision and use of public data,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main.html. 

  9.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4). The law on information disclosure of a public institution,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main.html. 

  10.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Information strategy report for public information quality improvement,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Seoul. 

  11. Vickery, G. (2011). Review of recent studies on public sector information re-use and related market developments, European Commission Directorate- General for Information Society, EC. 

  12. Yiu, C. and Kelsey, T. (2012). A right to data-fulfilling the promise of open public data in the UK, Policy Exchange, U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